3월, 2024의 게시물 표시

모든 계명 중에 첫째가 무엇이니이까

  모든   계명   중에 첫째가 무엇이니이까   마가복음 12장 28절에서  『 서기관 중 한 사람이 그들이 변론하는 것을 듣고   예수께서 잘 대답하신 줄을 알고 나아와 묻되 모든   계명   중에 첫째(프로테: 프로토스)가 무엇이니이까』 프로테( πρ ώ τη ) 는 순서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중요성에 있어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12장 29-30절에서『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첫째는 이것이니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 곧 우리 하나님은 유일한 주시라 네 마음(카르디아스  καρδ ί ας ) 을 다하고 목숨(프쉬케  ψυχ ῆ ς ) 을 다하고 뜻(디아노이아스  διανο ί ας ) 을 다하고 힘(이스퀴오스  ἰ σχ ύ ος ) 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신 것이요』 여기서 네가지가 등장한다. 카르디아스는 마음으로 번역되었는데, 데살로니가전서 3장 13절에서 『너희 마음(카르디아스)을 굳건하게 하시고 우리 주 예수께서 그의 모든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파루시아) 때에 하나님 우리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원하노라』카르디아스는 영적 마음이다. 파루시아를 강림으로 번역했는데, 교회 사람들은 종말 때 예수님의 지상 재림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성도의 심령 속으로 그리스도께서 들어오셔서(재림), 성도의 심령 속에 세워지는 성전에 임재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마음으로 번역된 것은 새사람의 몸을 입은 영적인 마음이다. 프쉬케는 혼이다. 부모로부터 받은 혼을 의미한다. 이 혼은 죽어야 할 혼이다. 옷을 갈아입듯이 이전의 혼(옛사람)은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아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목숨을 다한다는 말은 옛사람을 십자가에 못박고 라는 의미다. 디아노이아스는 에베소서 2장 3절에서도 표현되었다. 『전에는 우리도 다 그 가운데서 우리   육체의 욕심을 따라 지내며   ...

이는 성경을 이루려 함이니라

  이는 성경을 이루려 함이니라   마가복음 14장 46-50절 『 그들이   예수께 손을 대어 잡거늘 곁에 서 있는 자 중의 한 사람이 칼을 빼어 대제사장의 종을 쳐 그 귀를 떨어뜨리니라 예수께서 무리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너희가   강도를 잡는 것 같이 검과 몽치를 가지고 나를 잡으러 나왔느냐 내가 날마다 너희와 함께 성전에 있으면서 가르쳤으되 너희가 나를 잡지 아니하였도다 그러나 이는 성경을 이루려 함이니라 하시더라 제자들이 다 예수를 버리고 도망하니라』 “ 성경을 이루는 것 ” 은 구약성경에서 언약의 성취를 의미한다.  예수님이 요한복음 5장 39절에서『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연구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니라』여기에서 성경은 바로 구약성경이다. 구약성경이 말하고 있는 분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이야기라는 말씀이다. 성경의 언약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약속이다. 하나님은 인간에게 일방적으로 언약을 체결하시고 순종하도록 하셨다. 그러나 인간이 불순종하므로, 이전의 것은 무효화되고, 새사람과 다시 언약을 체결하신다. 가장 먼저 언약을 체결한 사람은 아담이였다. 하나님이 세상에서 태어난 아담을 에덴동산에 넣어주시고,『선악을 알게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그러나 아담과 하와는 불순종하므로 에덴동산에서 쫒겨났다. 불순종의 결과는 죽음이었다. 하나님이 동물을 희생시켜, 가죽옷을 지어 입히셨다. 동물의 가죽옷을 입은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과 다시 언약을 체결하신다. 그 새언약이 바로 창세기 3장 15절의『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하시고』여자의 후손은 장래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하나님은 언약 속에 들어가지 않은 자를 모두 심판한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노아시대 대홍수를 통해서 노아와 그 가족 8명을 제외하고는...

이 때가 자기에게서 지나가기를 구하여

마가복음 14장 32-35절『그들이 겟세마네라 하는 곳에 이르매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기도(프로슠소마이) 할 동안에 너희는 여기 앉아 있으라(카디사테) 하시고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데리고 가실새 심히 놀라시며 슬퍼하사 말씀하시되 내 마음(프쉬케)이 심히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너희는 여기 머물러 깨어 있으라 하시고 조금 나아가사 땅에 엎드리어 될 수 있는 대로 이 때가 자기에게서 지나가기를 구하여』   프로슠소마이(προσεύξωμαι)는 문법적으로 아오리스트 중간 디포테를 사용했다. 성령의 인도를 받아서 기도를 하는 모습이다. 지성소 기도에 해당된다. 카디사테(καθίσατε)는 예수님은 기도하고 제자들은 앉아있는 모습이지만, 그러나 의미상으로는 기도하라는 말이다. 프쉬케는 혼이다. 혼이 심히 고민되고 죽게 되었다는 말이다. 마가복음 14장 41절에서『마음(프뉴마)에는 원이로되 육신(사륵스)이 약하도다 하시고』 프뉴마(spirit)는 영(성령)이다. 그래서 영의 마음은 곧 하나님의 마음이며, 소마(육체)로부터 온 사륵스(육신)는 육의 마음(육적자아: 일곱 가지의 유형)이며, 프쉬케(soul)는 혼이다. 혼은 영과 육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생명체(옷으로 표현)라는 의미다. 그래서 혼의 마음은 생명체가 갖는 마음이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영생(구도의 길)을 생각한다.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는 것은 옛혼(옛사람)에 대한 죽음이다. 그래서 새혼(새사람)으로 부활한다. 새혼을 그리스도의 옷이라고도 한다. 베드로전서 1장 9절에서는 혼의 구원에 대해서 말을 한다.『믿음의 결국 곧 영혼(프슈케)의 구원을 받음이라』영혼이라 번역되었는데, 혼이다. 예수님의 사례를 통해서 인간의 마음은 세가지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첫째는 영(성령)의 마음이다. 아버지의 뜻대로 나가는 마음이다. 둘째, 육(사륵스)의 마음이다. 첫사람 아담의 흔적인 육적 자아(일곱가지 육적 속성)이다. 그리고 셋째, 혼의 마음이다. 이는 육과 영이 결합되므로서 나타나는 마음이다. ...

한 청년이 벗은 몸으로 도망하니라

한 청년이 벗은 몸으로 도망하니라   마가복음 14 장 51-52 절 『한 청년이 벗은 몸에 베 홑이불을 두르고   예수를 따라가다가 무리에게 잡히매 베 홑이불 ( 신도나 ) 을 버리고 벗은 몸으로 도망하니라』 κα ὶ νεαν ί σκος τις συνηκολο ύ θει α ὐ τ ῷ περιβεβλημ έ νος σινδ ό να ἐ π ὶ γυμνο ῦ , κα ὶ κρατο ῦ σιν α ὐ τ ό ν 청년의 헬라어는 네아니스코스 ( νεαν ί σκος ) 로서 새로운 , 신선한 이라는 네오 ( 영어의 new) 에서 어근을 찾을 수 있다 . 이 이야기는 예수님이 잡히시던 날 제자들이 다 도망간 후에 일어난 일을 마가가 기록하고 있다 . 이 상황은 마치 창세기 3 장의 에덴동산에서 일어난 사건을 연상시킨다 . 하와가 하나님께 먹지 말라는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었으므로 , 눈이 밝아져서 자기들이 벗은 줄 알고 무화과 나무 잎을 엮어 치마로 삼았더라 라고 표현되는데 , 에덴동산의 이 사건은 하나님 나라에서 범죄한 천사의 이야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 자기 지위를 지키지 않은 천사가 하나님을 배반하여 , 천사의 옷을 벗기고 흑암에 갇혀버린 이야기다 . 천사가 하나님을 배반한 사건은 제자들이 예수님을 배반한 사건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 한 청년은 표면적으로는 마가 자신일 것이라고 사람들이 추측을 하지만 , 예수님의 제자를 상징하는 인물로 볼 수 있다 . 하나님을 배반하여 벌거벗음을 당하는 자 , 예수님을 배반하여 도망가는 제자들을 상징하는 것이다 . 청년은 베 홑이불 ( 신도나 σινδ ό να ) 을 걸쳤다고 한다 . 신도나는 베옷의 일종이다 . 요한계시록 11 장 3 절에서는 『내가 나의 두 증인에게 권세를 주리니 그들이 굵은 베옷을 입고 천이백육십 일을 예언하리라』 굵은 베옷은 거친 ( 염소털이나 낙타 털로 만든 것 ) 베옷이다 . 세례요한과 엘리야가 연상된다 . 요나 3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