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의 몸에 대해서

  부활의 몸에 대해서   부활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명사 용법과 동사 용법은 의미가 다르다 . 부활이라는 명사는 헬라어 아나스타시스 ( ἀ ν ά στασις ) 으로서 , 예를 들어 , 생명의 부활 , 심판의 부활이라는 용어에서 이해될 수 있는데 , 부활한 몸을 의미한다 . 그런데 , 부활하다 라는 말은 헬라어 에게르데 ( ἠ γ έ ρθη ) 로서 , 일어나다 , 살아나다 라는 의미다 . 신도들은 대부분 부활 ( 명사 ) 이라는 용어를 부활한 몸을 생각하는데 , 죽었던 것이 살아나는 ( 동사 ) 의미도 포함된다 . 즉 부활 ( 부활하다 ) 이라는 말은 명사적 용법과 동사적인 용법이 혼합되어 있다 .  첫째 , 부활이 부모로부터 받은 육체가 다시 살아나는 것인가 , 아니면 영적으로 부활이 일어나는 것인가 ?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이 하늘에서 내려온 생명이라고 말씀을 한다 . 부활이라는 말에 대해서 , 육신의 입장에서 보면 , 육이 부활한다고 믿게 되지만 , 영의 입장에서 보면 원래 하늘의 생명인데 , 흙에 잠시 갇혀 있다가 다시 하늘의 생명이 부활한다는 것이다 . 예수 그리스도는 하늘의 생명이므로 , 육이 죽고 , 하늘의 생명으로 부활한 것이다 . 그런데도 , 육이 부활했다고 주장한다면 , 육의 눈으로 보기 때문이다 . 누가복음 20 장 35-36 절에서 " 저 세상과 및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함을 얻기에   합당히   여김을 받은 자들은 장가 가고 시집 가는 일이   없으며   그들은 다시 죽을 수도 없나니 이는 천사와 동등이요 부활의 자녀로서 하나님의   자녀임이라 " 그리고 , 마태복음 22 장 30 절 " 부활 때에는 장가도 아니 가고 시집도 아니 가고 하늘에 있는 천사들과 같으니라 " 라고 말을 한다 . 천사는 영이다 . 그래서 부활은 죽었던 영이 생명의 영으로 돌아간다는 말이다 .   요한복음 20 장 24-25 절에서 『열두 제자 중의 하나로서...

벳세다에서 맹인을 고치시다

  뱃세다에서 맹인을 고치시다   마가복음 8장 22-26절『 벳새다에 이르매 사람들이 맹인 한 사람을 데리고   예수께 나아와 손 대시기를 구하거늘 예수께서 맹인의 손을 붙잡으시고 마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사 눈에 침을 뱉으시며 그에게 안수하시고 무엇이 보이느냐 물으시니 쳐다보며 이르되 사람들이 보이나이다 나무 같은 것들이 걸어 가는 것을 보나이다 하거늘 이에 그 눈에 다시 안수하시매 그가 주목하여 보더니 나아서 모든 것을 밝히 보는지라 예수께서 그 사람을 집으로 보내시며 이르시되 마을에는 들어가지 말라 하시니라.(  )』 넷슬알란드 성경과 스테파누스 성경은 차이가 있다. 스테파누스 성경은 7장 26절에서 『  μηδ ὲ  ε ἰ ς τ ὴ ν κ ώ μην ( 코멘)   ε ἰ σ έ λθ ῃ ς.( 또 마을 안에서 아무에게도 그것을 말하지 말라 하시니라.) 』라는 부분이 있는데, 넷슬알란드 성경에는 없다. 개역개정 성경과 영어성경(niv)에도 없으며, 그러나 kjv성경은 스테파누스 성경을 번역하므로  nor tell it to any in the town 이 표현되어 있다. 한글 개역개정과 헬라어 성경의 내용은 상당히 차이가 있다. 맹인으로 번역된 뒤플론 ( τυφλ ὸ ν ) 은 투포우 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 교만하다는 의미를 갖는다. 디모데전서 3장 6절에서『 새로 입교한 자도 말지니   교만하여져서 마귀를 정죄하는 그 정죄에 빠질까 함이요』교만한 자는 율법주의에 빠져 있는 자를 의미한다. 핲세타이( ἅ ψηται ) 는 만지다 손을 대다 라는 의미 외에도 관계되다 라는 의미가 있다. 이 단어는 마가복음 7장 33절에서도 사용된 바 있다.  헾사토의 어근은 헾사스(불을 붙이다)에서 유래된 것으로 누가복음 8장 16절에서『 누구든지 등불을 켜서 그릇으로 덮거나 평상 아래에 두지 아니하고 등경 위에 두나니 이는 들어가는 자들로 그   빛을 보게 하려 함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