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마가복음 12장 17절『이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그들이 예수께 대하여 매우 놀랍게 여기더라』 표면적으로는 세금 문제로 나타난다. 이 세상에서 살고 있는 나라의 백성이라면 나라의 임금에게 세금을 내야 한다. 그래서 그들이 로마의 지배 하에 있으므로 가이사에게 세금을 내라는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의 것은 무엇인가? 율법 아래 있는 자는 율법에 따라, 성령 아래 있는 자는 성령을 따라 세금을 내면 되는 것이다. 율법은 레위기 27장 30절에서 『그리고 그 땅의 십분의 일 곧 그 땅의 곡식이나 나무의 열매는 그 십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이니 여호와의 성물이라』구약시대는 율법에 따라 그렇게 드렸다. 율법을 반드시 지켜야 생각한다고 생각하는 자들은 십일조를 반드시 내라는 말이다. 그런데, 십일조를 하는 이유를 알고 내야만 한다. 마태복음 23장 23절에서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너희가 박하와 회향과 근채의 십일조는 드리되 율법의 더 중한 바 정의와 긍휼과 믿음은 버렸도다 그러나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버리지 말아야 할지니라』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버리지 말아야 할지니라” 이 부분의 헬라어를 보면, ταῦτα [δὲ] ἔδει ποιῆσαι κἀκεῖνα μὴ ἀφιέναι. 『이것도 행했어야 하고, 저것도 버리지 말았어야 했다.』 라고 번역된다. 목회자들은 예수님이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행하라 하였으니 여전히 십일조를 해야한다고 말을 한다. 이 말은 과거의 일을 지적하는 말이다. 예수님이 유대 지도자들을 보고 너희들이 이것도 행했어야 하고 저것도 행했어야 하는데, 그렇게 행하지 못하였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들은 십일조를 철저히 했지만 정작 율법이 말하는 바 의와 인과 신은 버렸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 말씀은 과거의 사실을 지적하는 말씀이다. 십일조는『그리스도를 바라보라』는 뜻이 담겨져 있는데, 그리스도를 발견하지 못했으므로, 예수님이 이스라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