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삼십을 가지고 토기장이의 밭값으로 주었으니
은 삼십을 가지고 토기장이의 밭값으로 주었으니(구약성경 인용) 마태복음 27장 5-10절『유다가 은을 성소에 던져넣고 물러가서 스스로 목매어 죽은 지라, 대제사장들이 그 은을 거두며, 가로되 이것은 피값이라, 성전고에 넣어 둠이 옳지 않다하고 의논한 후, 이것으로 토기장이의 밭을 사서 나그네의 묘지를 삼았으니, 그러므로 오늘날까지 그 밭을 피밭이라 일컫느니라,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로 하신 말씀이 이루었나니 일렀으되, “저희가 그 가격 매긴자의 가격 곧 은 삼십을 가지고 토기장이의 밭값으로 주었으니 이는 주께서 내게 명하신 바와 같으니라 하였더라』 대제사장과 장로들 그리고 가룟유다 간에 은 30 이 왔다 갔다 하고 있었다 . 대제사장과 장로들이 가롯유다에게 은 30을 다시 주면서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고 하면서 네가 당하라 우리에게는 책임이 없다』고 말하므로, 유다가 다시 그 돈을 받아서 성소에 던져넣고 물러가서 스스로 목메어 죽음을 택한 것을 볼 수 있다 . 그러므로 오늘날도 불의의 삯을 받고 예수를 파는 자가 결국은 사망으로 가게 된다는 교훈이 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성경을 보면서 가룟유다의 잘못된 행동만을 본다면 이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민족간에 일어났던 일에 대하여 역사공부 하는 것이다. 가롯유다를 통해서 깨달아야만 하는 것은 대제사장과 장로들이 불의의 삯으로 무죄한 피를 팔고 돈받은 것에 대하여 모든 죄를 가룟유다에게 돌리고 있는 것처럼, 오늘날도 교회 안에서 하나님께 재물을 받쳐야 한다는 율법적 근거를 대면서 신도들을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다. 그러면서 교회가 강요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유다는 은 30 받은 돈을 다른 곳에 사용하려고 하지 않았다 . 자기의 잘못을 깨닫고 다시 그 돈을 성소에 던져넣고 나온다. 가룟유다는 대제사장이나 장로들이 항상 헌금을 받아왔던 자들 이었기 때문에 은 30 을 다시 성소에다 갖다 던져 버렸던 것이다. 우리가 이 말씀에서 깨달아 알아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