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를 던져 먼저 오르는 물고기 입을 열면
마태복음 17장 24-27절『가버나움에 이르니 반 세겔 받는 자들이 베드로에게 나아와 이르되 너의 선생은 반 세겔을 내지 아니하느냐 이르되 내신다 하고 집에 들어가니 예수께서 먼저 이르시되 시몬아 네 생각은 어떠하냐 세상 임금들이 누구에게 관세와 국세를 받느냐 자기 아들에게냐 타인에게냐 베드로가 이르되 타인에게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그렇다면 아들들은 세를 면하리라 그러나 우리가 그들이 실족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네가 바다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오르는 고기를 가져 입을 열면 돈 한 세겔을 얻을 것이니 가져다가 나와 너를 위하여 주라 하시니라』
이 말은 비유의 말씀이다. 사람들은 성전세라는 것에 대해서 성전을 보수하고 성전에 봉사하는 일을 위하여 내는 세금이라고 생각한다. 성경에 성전세라는 규정은 없다. 예수님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이 출애굽기 30장 12-16절에서 말한 속전을 근거로 세겔을 내라는 것이다. 속전(반 세겔)은 몸값(히브리어:코페르)을 말한다. 반 세겔은 부자나 가난한 자나 차별없이 내라는 것이다.
속전은 성막을 봉사하는 자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반 세겔(구약성경)은 헬라(그리스)의 돈, 두 드라크마에 해당한다. 드라크마는 노동자의 2-3일의 품삯 정도다. 속전의 속은 대속의 의미를 갖는다. 속전은 몸값을 대신해서 내는 것이다. 우리의 대속자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하나님께 회개하는 자를 위하여 십자가에서 자기 아들을 죽게 하신 것이다. 피값을 사탄에게 지불하고, 회개하는 자를 사탄으로부터 사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왜 속전을 내라고 하셨는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유월절 어린양의 대속으로 애굽으로부터 건져주셨다. 유월절 어린양은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하신다. 어린양의 피로 말미암아 이스라엘 백성들은 대속되었다. 대속되었으므로, 그들은 하나님께 바쳐진 백성들이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하고, 홍해바다를 건너 광야로 들어갔을 때, 출애굽을 기억하게 하기 위해 유월절을 지키게 하시고, 레위사람들을 택해서 하나님의 일을 하도록 시켰다. 하나님이 백성들에게 대속의 의미를 깨닫게 해주시는 것이다. 애굽에서 종된 것을 기억하고 자유함(대속)을 입은 것을 통해서, 그들이 장차 하나님의 약속을 통해서 오시게 될 대속(그리스도)을 바라보라는 것이다.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성소를 주신 이유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함께 하신다는 것이다. 성소는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표시이다. 그러나 앞으로 실제로 하나님께서 와서 이스라엘에게 함께 하시겠다는 약속이다. 장차 성도들을 성전 삼고, 하나님과 성도들이 하나가 되겠다는 것이 그 안에 들어있는 것이다. 몸값을 내도록 한 것은 장차 하나님께서 이루어주실 일을 믿겠다는 표현인 것이다. 인구조사를 해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20세가 될 때마다, 속전을 내게 한 것이다. 속전을 내는 것은 하나님께서 구원해주실 것을 믿는다는 표현이다. 믿음으로 돈을 내는 것이 아니라 돈을 내므로 장차 구원받을 자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속전을 내는 것은 할례를 받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할례는 몸에 표시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구원해주실 것을 믿는 것이다. 장차 씨의 약속이 이루어 질 것을 믿는 표현이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이런 속의 의미를 통해서 깨닫게 해주셨지만, 예수님 당시에 속전이 성전세처럼 된 것으로 와전되었다. 역대하 24장 4-6절에서『회중이 성막을 위하여 정한 세』라고 표현되어 있으나, 세금이 아니라 여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몫이다. 우리말 번역의 오류라고 할 수 있다. kjv는the collection, niv는 tax라고 되어 있다.
열왕기하 12장 4절에서는 몸값으로 번역되었다. 그래서 반 세겔이라는 말이 세금이라는 의미가 아닌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성전세를 근거로 하여 예수님도 성전세를 냈다고 말하는 것이다. 성전의 주인이신 예수님이 성전세를 냈다는 것이 말이 되는가? 반 세겔의 속전은 몸값이고, 예수님은 자기를 위해 몸값을 낸다는 말은 성립이 안된다. 예수님도 성전세를 내셨다고 말하는 자들은 예수님이 이루시는 대속의 의미를 알지 못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속전을 성전세로 바꾸어 놓은 자가 누구인가? 사탄을 따라 가는 자는 사탄의 자식이 된다.
『반 세겔 받는 자들이 베드로에게 나아와 이르되 너의 선생은 반 세겔을 내지 아니하느냐』베드로가 낸다고 하고 들어가니, 예수님이 베드로가 물어보지도 않았는데,『시몬아 네 생각은 어떠하냐 세상 임금들이 누구에게 관세와 국세를 받느냐 자기 아들에게냐 타인에게냐』
관세와 국세에 대해서 kjv는 custom과 tribute, niv는 duty와 tax로 되어 있다. 관세라는 말의 원어는『끝』이라는 의미의 단어다. 국세는『겐서스』(영어 센서스: 인구조사),『베드로가 이르되 타인에게니이다』베드로가『주님도 내신다』라고 말하고 들어오니 예수님이 이렇게 질문하신 것이다. 예수님은 베드로가 그 사람에게 말한 것이 잘못된 것임을 지적하고 수정해주신다.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로 오셨는데, 아들이 대속하기 위해 오셨지만, 아들이 속전을 낸다는 말은 성립이 안되는 것이다.『예수께서 이르시되 그렇다면 아들들은 세를 면하리라』에서 여기서도『세를 면하리라』라는 말은 센서스를 면한다는 것이다. 아들들은 상관이 없다는 말이다. 아들들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이다. 낚시를 던져 낚인 자들이 아들들이 되는 것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속전을 통해서 장차 오실 그리스도에 대한 약속의 말씀이 그 안에 담겨져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성전을 보수하기 위한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다. 예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잘못 생각하고 있던 것을 바로 잡기 위하여 베드로에게 질문을 했던 것이다. 예수님은 자기 자신이 바로 속전이라고 말씀하신 바가 있다. 마태복음 20장 28절에서『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여기서 대속물은 헬라어로 리트론(히브리어:코페르: 몸값)이라는 단어다.
『그러나 우리가 그들이 실족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네가 바다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오르는 고기를 가져 입을 열면 돈 한 세겔을 얻을 것이니 가져다가 나와 너를 위하여 주라 하시니라』예수님이 대속물(속전)로 이 세상에 왔다고 말한다면 그들이(이스라엘 백성들) 믿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실족하게 된다. 물고기 입에서 한 세겔이 나온다. 두 사람 몫의 속전이다. 한 세겔은 헬라어로『스타테르』라고 표현되었다. 스타테르는 네 드라크마와 같은 양의 돈이다. 이 단어는 『카우케시스(자랑)』라는 단어로부터 유래(어간)되었다.
바다와 베드로에 대해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바다는 하나님이 궁창의 아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해서 궁창 아래의 물을 바다라고 하셨다. 궁창 아래 있는 물은 땅에 속한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하고 율법을 뜻한다.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해 주신다고 말씀하셨다. 사람을 세상(바다)에서 낚는 것이다. 베드로가 낚시를 던져 보니 물고기가 올라왔다는 말은 세상(율법)에 가서 낚시를 던져 사람을 건졌다.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낚시에 걸려든 것이다. 그래서 하늘의 생명을 얻어, 하나님의 아들들이 된 것이다.
하나님의 아들들이 되면 자랑(예수 그리스도)이 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카우케시스(자랑)』라는 말이 사용되게 된 것이다. 갈라디아서 6장 14절에서『그러나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으니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세상이 나를 대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고 내가 또한 세상을 대하여 그러하니라』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