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나의 비유
누가복음 19장 14-15절 그 귀인이 왕위를 받아가지고 돌아와서 은화를 준 종들이 각각 어떻게 장사하였는지를 알고자 하여 그들을 부르니
이 비유는 마태복음에서 나오는 달란트의 비유와 흡사하다. 그러나 다른 이야기다. 교회 사람들은 전도를 잘하면 하나님이 상급을 내리신다 라고 생각한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셨다가 부활하셔서 아버지께로 가셨으며, 다시 재림하실 때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것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행동했는가를 보고자 하는 것이 이 비유의 핵심이다. 이 비유는 구원받는 자와 구원받지 못한 자를 분명하게 나타내 보인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셨다가 부활하시고, 승천 하실 때에 말씀하신 것이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율법을 이루셨는데, 세상에 남겨신 것은 율법이 아니라, 은혜의 복음인 생명의 말씀이다. 생명의 말씀을 떡으로 표현했다. 요한복음 6장 48-51절에서『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라 너희 조상들은 광야에서 만나를 먹었어도 죽었거니와 이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떡이니 사람으로 하여금 먹고 죽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니라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내가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니라 하시니라』이 말씀은 율법을 성취하시고 이루어진 것이다.
달란트(헬라어)는 히브리어로『키카르』라고 하는데, 성소의 진설병의 하나였다. 즉 율법을 나타낸다. 신명기 18장 22절에서『만일 선지자가 있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말한 일에 증험도 없고 성취함도 없으면 이는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것이 아니요 그 선지자가 제 마음대로 한 말이니 너는 그를 두려워하지 말지니라』장래 하나님이 세우는 선지자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서 하신 일이 증험도 있고 성취함도 있는지를 보는 것이 바로 달란트 비유와 므나의 비유인 것이다.
『장사하다』라는 헬라어로『엘가죠마이』라고 한다. 예수님이 오병이어의 기적을 베푸셨다. 그래서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왕으로 삼으려고 했다. 예수님은 이 사실을 알고 그 자리를 피하셨다. 그 다음날 또 유대인들이 찾아왔다. 예수님이『너희들이 나를 찾은 이유는 표적을 본 것 때문이 아니라 먹고 배부른 까닭이라고 말씀하시면서, 썩을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일을 하라』고 말씀하셨다.『일을 한다』는 것이『엘가죠마이』다. 히브리어로 『아바드』라고 한다. 일을 한다는 것은 경작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경작은 씨를 뿌리고 열매를 수확을 한다. 영적으로는 마음 밭을 갈아서 하나님의 말씀을 담으라는 것이다. 그래서 나오는 열매가 하늘의 생명이다.『엘가죠마이』라는『일을 한다』는 말이 이런 의미에서 사용되었다. 즉 『장사한다』는 말이 바로 이런 뜻이다.
달란트로 장사했다는 말은 앞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떡을 통해서 영생을 발견하라는 것이다. 다섯 달란트, 두 달란트, 한 달란트를 주었다. 다섯은 율법을 말한다. 다섯 달란트(율법)로 장사를 해서 다섯 달란트를 남겼다. 그래서 열 달란트가 되었다. 열 달란트는 율법의 완성을 의미한다. 율법의 완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이다. 그리스도의 죽으심으로 떡과 포도주를 남겨신 것이다. 달라트 비유는 이스라엘에게 하신 말씀이다. 달란트를 남긴 사람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율법을 성취한 자들이다. 두 달란트는 산 떡이 두개다. 두 달란트 받은 자가 두개의 달란트를 벌었다. 산떡 두개를 다른 사람에게 주어서 열매를 맺은 것이다. 두개는 초림의 예수와 재림의 예수를 나타낸다. 한 달란트를 받은 자는 떡 하나를 받아서 땅에 묻었다. 누구도 알 수 없게 만들었다.
마태복음 23장 13-15절에서『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너희는 천국 문을 사람들 앞에서 닫고 너희도 들어가지 않고 들어가려 하는 자도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도다 (없음)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너희는 교인 한 사람을 얻기 위하여 바다와 육지를 두루 다니다가 생기면 너희보다 배나 더 지옥 자식이 되게 하는도다』 땅에 묻었다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땅에 맞추어서 하늘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하는 자를 말한다.
므나의 비유도 달란트와 거의 같이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므나의 비유는 므나(산떡)를 열 사람에게 주었다.『내가 돌아올 때까지 장사하라 하니라』 그리고『한 므나로 열 므나를 남겼나이다』라고 말한다. 열이라는 말은 온 세상을 말한다. 여기서 『장사한다』는 말은 달란트의 비유에서 말하는『엘가죠마이』와 다르다. 헬라어『프라그마 듀오마이』라는 말로서 이 말은『프라스오』에서 온 말이다. 『행한다』는 것이다. 고린도후서 5장 10절에서『이는 우리가 다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나타나게 되어 각각 선악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으려 함이라』그 몸으로 행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어서 의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즉 예수의 살을 먹고, 피를 마셔서 의로운 자가 되라는 것이다. 므나로 장사하는 것은 의로운 자가 되는 의미를 갖는다.
『한 므나로 열 므나를 남겼나이다』열 므나는 말씀이 완성이 되는 것을 말한다. 즉 예수의 살과 피로 의로운 자가 되었다는 것이다.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다 착한 종이여 네가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하였으니 열 고을 권세를 차지하라 하고』고을은 성읍을 말한다. 예루살렘 성을 말한다. 예루살렘 성은 참 성전(새 예루살렘 성)의 그림자다. 열 고을은 새 예루살렘 성을 말한다. 권세는 하늘로부터 오는 권세를 말한다.
마태복음 9장 6-8절에서『그러나 인자가 세상에서 죄를 사하는 권능이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려 하노라 하시고 중풍병자에게 말씀하시되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시니 그가 일어나 집으로 돌아가거늘 무리가 보고 두려워하며 이런 권능을 사람에게 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니라』그리고 마태복음 28장 18절에서『예수께서 나아와 말씀하여 이르시되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으니』이 권세는 하나님 나라를 소유할 수 있는 권세를 주시는 것이다. 이 권세는 하나님이 주시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살과 피로 인해서 하나님 나라를 소유할 수 있는 권세를 주신다는 것이다. 예수의 살을 먹고, 피를 마시는 것은 십자가에서 죽은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것이다.
다섯 므나를 받은 사람도 한 므나를 가지고 다섯므나를 남겼다고 말한다. 그래서 주인이『그에게도 이르되 너도 다섯 고을을 차지하라』이 말의 해석이 잘못되었다.『다섯 고을을 만들어라』는 말이다. 그래서 열 므나가 되도록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즉 다섯 므나 밖에 못만들었으니 다섯 므나가 더 필요한 것이다. 여전히 율법 아래 있는 자를 의미한다. 율법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이다. 『한 므나를 수건으로 싸서 감추었다』는 것은 자기도 의에 이르지 못하고, 다른 사람도 의에 이르지 못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자기도 율법 아래 있으면서, 다른 사람도 율법 아래서 벗어나지 못하게 한 것이다.
『어찌하여 내 돈을 은행에 맡기지 아니하였느냐 그리하였으면 내가 와서 그 이자와 함께 그 돈을 찾았으리라』여기서 은행(헬라어:트라페자)이라는 말은 헬라어로『테이블』(상)이라는 말이다. 진설병 상(떡 상)을 말한다.
히브리서 9장 2절에서『예비한 첫 장막이 있고 그 안에 등잔대와 상과 진설병이 있으니 이는 성소라 일컫고』 출애굽기 25장 30절에서도『상 위에 진설병을 두어 항상 내 앞에 있게 할지니라』예수 그리스도라는 산떡을 왜 떡 상에 올리지 않았는냐 라는 것이다. 떡 상에 올려 놓으면 누구라도 먹고, 생명을 얻게 되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말씀이다. 생명의 떡을 먹게 되면 새로운 생명이 탄생(이자)하게 된다는 것이다. 떡을 감추어 둔 자(바리새인들)의 죄는 큰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