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여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마태복음 15장 21-28절)예수께서 거기서 나가사 두로와 시돈 지방으로 들어가시니 가나안 여자 하나가 그 지경에서 나와서 소리 질러 이르되 주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 딸이 흉악하게 귀신 들렸나이다 하되 예수는 한 말씀도 대답하지 아니하시니 제자들이 와서 청하여 말하되 그 여자가 우리 뒤에서 소리를 지르오니 그를 보내소서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외에는 다른 데로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노라 하시니 여자가 와서 예수께 절하며 이르되 주여 저를 도우소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 여자가 이르되 주여 옳소이다마는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나이다 하니 이에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여자여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하시니 그 때로부터 그의 딸이 나으니라 

이 여인은 자신의 딸에 관한 문제로 예수님께 나온 여인이었는데, 그는 혈통적으로 이방인이었고, 지리적으로는 우상을 숭배하는 이방인의 땅에 살고 있었으며, 또 그동안의 삶을 그렇게 이방인으로서, 우상숭배자로서 그렇게 하나님도 죄도 무엇인지도 모르고 살아왔던 여인이었다. 특별히 이 두로와 시돈 하면 가나안 중에서도 아주 영적으로 문제가 심각한 곳이었다. 그런데 이곳에 이례적으로 예수님께서 지나가시게 되었다. 예수님은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해야만 하는데, 그 역할을 제자들에게 맡기실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전도의 훈련을 하시는 것이다. 

이 여인은 예수님께 대단히 간절한 모습으로 나아갔다. 여인은 예수님을 주 다윗의 자손이라고 메시야적 칭호로 불렀다. 이 여인은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다윗의 자손이라고 부르면서, 소리를 지르면서 자신의 처지를 탄원하고 있다. 자신의 딸이 흉악하게 귀신 들렸다는 것이다. 그 여자는 몇번 소리지르다가 그냥 포기해버리는 것이 아니라 주님이 가시는 길을 같이 가면서 계속 무리 속에서 소리를 질렀다. 그런데 그러한 여인의 소리에 예수님께서 계속 침묵하셨다. 보다못한 제자들이 이렇게 말을 합니다.『그 여자가 우리 뒤에서 소리를 지르오니 그를 보내소서』그런데, 예수님이『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외에는 다른 데로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노라』라고, 말씀하셨다. 『너는 이방인이지 않느냐, 너는 나와 상관이 없다』라고 제자들이 지켜보는데서, 거절하셨다. 

예수님은 이방인에 대한 전도를 제자들에게 가르켜 주시고자 하시는데, 왜 이렇게 반대적으로 말씀하시는가? 이 때 이 여자는 포기하고 뒤로 물러나지 않고 더 과감한 행동을 했다. 그 앞에서 절하며 『주여 저를 도우소서』라고 간구했다. 그런데 그 다음 이 여인에게 하신 예수님의 말씀은 정말 귀를 의심케 한다.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치 아니하리라』이 말씀은 『너는 개다』라는 말이다. 그리고『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라고 심하게 말씀하셨다. 이 대목에서 여인은 『주여, 옳소이다마는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나이다.』라고 대답했다. 이 대답은 예수님도 조금은 당황할 만큼의 놀라운 대답이었고, 모든 시대를 넘어 죄인이 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고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마태복음 7장 6절『거룩한 것을 개에게 주지 말며 너희 진주를 돼지 앞에 던지지 말라 그들이 그것을 발로 밟고 돌이켜 너희를 찢어 상하게 할까 염려하라』 개라고 표현할 때, 개의 습성을 나타낸다. 잠언 26장 11절에서『개가 그 토한 것을 도로 먹는 것 같이 미련한 자는 그 미련한 것을 거듭 행하느니라』이 말은 율법에서 자유함을 주었는데, 다시 율법에 얽매겨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해당하는 말이다. 사도바울은 갈라디아서 5장 1절에서『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건하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고 했는데, 다시 종의 멍에를 메는 것을 두고 말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출애굽시켜 주었으며, 홍해 바다가 갈라지는 놀라운 기적을 보여주었는데, 광야에서 다시 애굽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종의 멍에를 메는 것과 같은 미련한 일인 것이다. 빌립보서 3장 2절에서『개들을 삼가고 행악하는 자들을 삼가고 몸을 상해하는 일을 삼가라』몸을 상해하는 일은 율법에 따라 육체에 할례를 행하는 것을 말한다. 개와 행악 자와 육체에 할례를 받는 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서 구원을 받는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율법주의를 벗어나지 못하는 자들을 말한다. 예수님은 율법 아래에서 십자가에 처형당하셨으며,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도 율법에 대해서 다 죽었는데, 다시 율법을 적용받으려고 한다면, 하나님이 보시기에 예수님이 이루신 것을 무시하는 개와 같은 자들이 되는 것이다. 

예수님은 이 여인에게『여자여 네 믿음이 크도다』라고 말씀하셨으며, 예수님께서는 그 믿음대로 그녀의 딸을 치료해 주셨다. 예수님은 자신을 비난하고 있는 이스라엘 사람인 바리새인들과 간절한 마음을 가지고 병을 고치러 나온 이방 사람들을 대비시키면서 제자들에게 이스라엘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복음은 이방인을 향해 나가야 함을 묵시적으로 말씀하시는 것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전도훈련을 시켰다. 사마리아에게도 가지 말고, 이방인에게도 가지말고,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찾아가 복음을 전하라고 말씀하셨다. 그러나 제자들은 자기 백성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 절감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체험적으로 미리 훈련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결국 구원은 이방인으로부터 시작됨을 알려주시는 것이다. 

로마서11장25-27절에서『형제들아 너희가 스스로 지혜있다 함을 면키 위하여 이 비밀을 너희가 모르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이 비밀은 이방인의 충만한 수가 들어오기까지 이스라엘의 더러는 완악하게 된 것이라 그리하여 온 이스라엘이 구원을 얻으리라 기록된바 구원자가 시온에서 오사 야곱에게서 경건치 않은 것을 돌이키시겠고 내가 저희 죄를 없이 할 때에 저희에게 이루어질 내 언약이 이것이라 함과 같으니라』

사도바울이『이스라엘은 눈이 감겨지고 이방인이 구원을 받게될 것』이라고 설명하는 내용이다. 누가는 이스라엘의 멸망을 두고『이 날들은 기록된 모든 것을 이루는 형벌의 날이라』고 했는데, 하나님께서 이방에 빛을 비추어 주시고,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시는 것은 누가는『이방인의 때』라고 했다.『이방인이 다 구원 받을 역사가 일어날 때까지 예루살렘은 이방인들이 차지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지금도 예루살렘은 이슬람교도들이 지배하고 있다. 이방인의 때가 차면 다시 이스라엘에게로 돌아올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있다. 사도바울이『이방인의 충만한 수가 들어오기까지 이스라엘의 더러는 완악하게 된 것이라』고 말한 이방인의 수와 누가가 말한『예루살렘은 이방인의 때가 차기까지 이방인들에게 밟히리라』에서 이방인의 때는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