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마태복음 26장 36-46절)이에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겟세마네라 하는 곳에 이르러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저기 가서 기도할 동안에 너희는 여기 앉아 있으라 하시고 베드로와 세베대의 두 아들을 데리고 가실새 고민하고 슬퍼하사 이에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너희는 여기 머물러 나와 함께 깨어 있으라 하시고 조금 나아가사 얼굴을 땅에 대시고 엎드려 기도하여 이르시되 내 아버지여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 제자들에게 오사 그 자는 것을 보시고 베드로에게 말씀하시되 너희가 나와 함께 한 시간도 이렇게 깨어 있을 수 없더냐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기도하라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 하시고 다시 두 번째 나아가 기도하여 이르시되 내 아버지여 만일 내가 마시지 않고는 이 잔이 내게서 지나갈 수 없거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시고 다시 오사 보신즉 그들이 자니 이는 그들의 눈이 피곤함일러라 또 그들을 두시고 나아가 세 번째 같은 말씀으로 기도하신 후 이에 제자들에게 오사 이르시되 이제는 자고 쉬라 보라 때가 가까이 왔으니 인자가 죄인의 손에 팔리느니라 일어나라 함께 가자 보라 나를 파는 자가 가까이 왔느니라
예수님도 마음(혼:soul)이 고민하여 죽게 되었다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베드로와 세베대의 두 아들을 데리고 기도하러 갈 때 고민하고 슬퍼했다고 26장 37절에서 말한다. 그리고 38절에서『이에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너희는 여기 머물러 나와 함께 깨어 있으라 하시고』 영어성경을 보면 Then saith he unto them, My soul is exceeding sorrowful, even unto death: tarry ye here, and watch with me. (kjv)
천지를 창조하신 창조주 하나님이 육신을 입고 이 땅에 오셨다. 그 분이 예수님이시다. 그런데 위대하신 이 분도 죽음 앞에서 고민되고 슬퍼했다. 육에서 비롯되는 혼은 그렇게 반응한다. 위로받고 싶어서 제자들을 동반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심지어는『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창세 전에 계획하신 분이 이런 발언을 하신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피조물인 인간이 쉽게 십자가 앞에서, 예수님을 부인하지 않겠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성경에서 말하는 것은 육의 혼은 그렇게 반응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혼은 자기라는 존재다. 이것을 부인하지 않으면 모든 사람들은 다 예수를 부인한다는 말씀이다. 41절에서『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 하시고』
예수님은 두번째 기도하러 나아갔다. 첫번째는『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라고 시작했다. 그러나 두번째는 『다시 두 번째 나아가 기도하여 이르시되 내 아버지여 만일 내가 마시지 않고는 이 잔이 내게서 지나갈 수 없거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시고』부정에 부정을 나타낸다.『만일 내가 마시지 않고는 이 잔이 내게서 지나갈 수 없거든』자기라는 존재를 스스로 내려놓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 알 수 있다. 예수님은 세번이나 기도하셨다. 우리의 자세도『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시고』라고 해야만 할 것이다.
예수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자기를 부인하지 않는 자는『누구든지 사람 앞에서 나를 부인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부인하리라』가 되는 것이다. 내가 나를 내려놓는다는 것이 어렵지만, 하나님 뜻대로 따른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성경은 말해주고 있다. 그 뜻은『죽어서 돌아오라』는 것이다. 무엇이 죽어서 돌아오는가? 하나님처럼 되고 싶어서 하나님을 떠난 탐욕이 죽어서 돌아오라는 말씀이다. 돌아온 탕자는 아버지를 떠날 때의 탕자의 모습이 아니라 죽은 자같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죽은 자같이 되는 것이 바로 회개다.
누가복음 17장 31-33절에서『그 날에 만일 사람이 지붕 위에 있고 그의 세간이 그 집 안에 있으면 그것을 가지러 내려가지 말 것이요 밭에 있는 자도 그와 같이 뒤로 돌이키지 말 것이니라 롯의 처를 기억하라 무릇 자기 목숨을 보전하고자 하는 자는 잃을 것이요 잃는 자는 살리리라』자기 목숨이 바로 자기라는 혼이다. 여기에서 롯의 처를 등장시킨다. 롯의 처는 뒤돌아보다가 소금기둥이 되었다. 세상에 묶여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자기라는 혼은 세상에 묶여 있는 존재다. 돌이키지 않으면 다 자기 목숨을 위해 예수를 버리는 자가 된다는 말씀이다. 이게 쉬운 말인가? 그런데 교회에 처음 나온 사람들에게 『예수를 영접하면 구원을 얻는다』라거나,『믿기만 하면 구원받는다』라는 식으로 말해버리므로 구원이 쉽게 느껴지는 것이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은 자기를 부인하는 삶을 살고 있는지 궁금하다.
구원은 좁은 길이다. 자기를 부인하는 길이다. 아무리 쉽게 이 말을 한다 하더라도 구원은 땀방울이 핏방울처럼 되는 어려운 길임을 깨달아야만 한다. 예수님의 재림의 때를 알고자 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그러나 그 때를 안다고 구원받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부인하는 자가 구원받는 것이다. 그래서『깨어있으라』고 말한다. 예수님의 재림의 때를 늘 기억하여『이렇게 살아서는 안되지』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 말의 뜻은『자기를 부인하는 삶』을 살고 있는지 말씀의 거울을 통해서 늘 살펴보라는 것이다.『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시고』
원래『자기』라는 존재가 형성되기 전의 영은 하나님과 하나였다. 영은하나님께 속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이 육에 들어가 이 세상의 생명체가 되면서, 하나님을 떠난 존재가 되어, 하나님과 분리되어 버린 것이다. 바로『자기』라는 혼적인 존재가 하나님에 대해서는 이질적인 존재가 되었다. 하나님은 영으로 하나가 되기를 원하시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 말씀 앞에서 회개하여 혼적인 자기를 버려야만 되는 것이다.
성경에서 혼적인 자기를 옛사람이라고 사도바울은 말했다.
로마서 6장 3-6절에서『세례는 옛사람이 물에서 죽고, 하늘로부터 새 사람이 태어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구약성경에서 옛사람은 광야에서 죽고, 광야에서 태어난 새사람 만이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으로 들어갔다. 가나안은 이 세상이면서 천국을 상징한다. 구원받기 위해서는 거듭나야만 한다. 거듭난다는 말은 다시 태어난다는 말이다. 다시 태어나는 것은 옛사람이 죽고 하늘로 부터 새생명이 들어오는 것이다. 그래서 옛사람은 죄에 대해서 죽었으므로 새생명은 죄로부터 상관이 없는 존재인 것이다. 요한1서 3장 9절에서는『하나님께로 난 자마다 죄를 짓지 아니하나니 이는 하나님의 씨가 그의 속에 거함이요 저도 범죄치 못하는 것은 하나님께로 났음이라』그러나 죄를 짓는 자는 3장 8절에서『죄를 짓는 자는 마귀에게 속하나니 마귀는 처음부터 범죄함이라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
마귀로부터 벗어나는 일은 오직 회개하여 자기를 부인하고, 옛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는 것 만이 가능한 일이다. 마귀로부터 벗어나는가 못하는가의 문제이다. 자기를 부인하는가 안 하는가의『인간 내적』싸움이다. 회개한 사람은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이다. 순종하는 사람은 하나님 말씀 앞에서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떠나는 사람이다. 탐욕으로 부터, 미움과 분노와 시기로 부터, 세상 사랑하는 마음으로 부터 떠난 자다. 회개하지 않은 사람은 하나님 말씀보다 자기 생각대로 하는 사람이다. 주님은『나는 너를 모른다』라고 하실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