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도 만일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
(누가복음 13장 1-5절) 그 때 마침 두어 사람이 와서 빌라도가 어떤 갈릴리 사람들의 피를 그들의 제물에 섞은 일로 예수께 아뢰니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는 이 갈릴리 사람들이 이같이 해 받으므로 다른 모든 갈릴리 사람보다 죄가 더 있는 줄 아느냐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니라 너희도 만일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 또 실로암에서 망대가 무너져 치어 죽은 열여덟 사람이 예루살렘에 거한 다른 모든 사람보다 죄가 더 있는 줄 아느냐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니라 너희도 만일 회개하지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
예수님이 이 세상에 계신 당시 이런 유형의 사건이 두 가지가 있었다. 먼저는 빌라도라는 사람이 갈릴리 사람을 죽여 그의 피를 제물에 섞은 사건이다. 사람들은 예수님께 빌라도의 악과 빌라도에게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에 대해서 물었다. 그런데 예수님은 죽은 갈릴리 사람에 대해서『그 죽은 갈릴리 사람이 모든 갈릴리 사람보다 죄가 더 있는 줄로 생각하느냐?』라고 되물었다. 그리고『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이같이 망하리라』라고 말했다. 이 사건을 가지고 질문한 사람들에게 오히려 말한 것이다.
그리고 또 예루살렘 실로암의 망대가 무너져 18명이 죽은 사건을 더 말씀하셨다. 예루살렘의 모든 사람보다 죽은 그 사람의 죄가 더 있는 줄로 생각하느냐? 라고 물었다. 사고로 인하여 먼저 죽었는데, 살아있는 사람보다 죄가 더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사고 없이 더 오래 산 사람이 오히려 하나님의 심판을 더 쌓을 수 있다는 말이 된다. 비록 죽었지만 일찍 죽는 사람의 죄가 덜 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살아있다는 것이 은혜의 기회만 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예수님은 회개를 지적하기 위해서『회개하지 않으면 이와 같이 망하리라』라고 하셨다. 이게 예수님이 보시기에 회개하지 않는 것이 죄의 기준이 된다.
오늘날도 욥처럼 엄청난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다. 사람들은 이 고통 받는 사람들로 인하여 주님의 뜻을 알아야만 한다. 욥기 42장 5-6절에서『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사오나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 그러므로 내가 스스로 거두어들이고 티끌과 재 가운데에서 회개하나이다』욥은 고통 이전에는 주님을 귀로 듣기만 하였는데, 하나님이 사단으로 하여금 치게했던 아픔과 고통과 슬픔 속에서 주님을 눈으로 보게되었다.『내가 스스로 거두어들이고』라는 말은 욥이 하나님께 대해 잘못 생각한 것을 혐오한다는 말이다.
회개의 완성은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 것이다. 주님도 사랑하고 나도 사랑한다는 말은 성립이 안되는 말이다. 많은 교회사람들은『자기를 사랑하지 못하는 자는 하나님도 사랑하지 못하고, 이웃도 사랑하지 못한다』는 엉뚱한 논리를 펴는 경우도 있다.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자기를 버려야만 한다.『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라』는 말이다.
일상 생활 속에서『먹고 마시든지 말로는 주를 위하여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를 많이 본다. 먹고 마시는 것이 다 자기의 건강을 위하고 즐기기 위해서 좋은 음식을 찾아다니고 하는 것을 본다. 주를 위해서 먹고 마시는 것 자체가 예배가 된다. 그렇게 될 때 주님이 그 사람의 몸을 위하게 된다. 회개는 자기를 미워하고, 자기를 위하지 않는 것이다. 욥의 고백처럼『티끌과 재 가운데 회개하나이다』라고 한 것을 생각해야만 한다.『자기를 미워하는』자기는 바로 옛사람이기 때문이다. 육과 혈로부터 형성된 자기가 바로 옛사람이다. 그래서 미워해야만 한다.
마태복음 16장 24절에서는『누구든지 나를 따르고자 하는 자는 자기를 부인하고』라고 했는데,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이 어떻게 자기 십자가를 질 수 있겠는가? 회개하는 자는 자기를 사랑할 수 없는 것이다. 자기를 사랑하는 자는 세상을 사랑하는 자다. 그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는 회개하지 않는 자라고 말할 수 있다. 요한1서 2장 15절에서『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하지 말라 누구든지 세상을 사랑하면 아버지의 사랑이 그 안에 있지 아니하니』회개하는 자는 주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세상을 사랑하지 않고 자기를 미워하게 된다. 이게 자기 부인이다.
회개하는 자와 회개하지 않는 자는 빛과 어두움처럼 분명하게 구별된다. 고린도후서 2장 10절에서『우리가 항상 예수의 죽음을 몸에 짊어짐은 예수의 생명이 또한 우리 몸에 나타나게 하려 함이라』여기서 『항상』이라는 말을 잘 생각해야만 한다. 회개는 단 한번으로 끝나는 절차적인 문제가 아니라, 영적 상태의 연속성 상태를 보여준다. 회개의 영적 상태는 내가 판단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만이 판단하실 것이다. 십자가의 우편 강도처럼 단 한번으로 영적 상태가 이루어 질 수 도 있겠지만, 수 없는 회개 속에서도 어느 날 거듭난 것을 깨달을 수도 있을 것이다.
회개는 자기 부인이고 자아가 죽는 것이지만 이 말씀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세상 죄인 허물에 대해서 반성하는 차원에서『회개』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근본적인 의미는『그 때 그 때의 반성』이라는 절차적인 말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지속적으로 자아가 죽어있는『상태』에 있는 것이다. 그래서『날마다 죽노라』라고 고백한 사도바울의 말씀을 상기해야만 한다.『회개한 자』는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회개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영적으로 깨어있어만 한다. 그것을 위하여『날마다 회개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자들도 있다. 날마다 반복되는 죄를 회개할 것이 아니라 날마다『자아의 죽음』의 상태를 지켜 나가야만 한다. 잠언 4장 23절에서『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날마다 회개를 해야만 한다고 믿는 사람은 여전히 율법 가운데 있는 자들이다. 왜냐하면 죄를 지을 때마다 마치 율법의 제사를 드리는 것처럼 예수의 피를 통해서 죄를 용서받아야만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수도 믿고, 율법도 지키는 자가 되는 것이다. 이는 다른 복음을 전하는 자가 되는 것이다. 갈라디아서 1장 9절에서『우리가 전에 말하였거니와 내가 지금 다시 말하노니 만일 누구든지 너희가 받은 것 외에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지어다』
회개는 옛사람이 죽는 것이다. 옛사람이 죽은 자는 로마서 6장 7절의 말씀처럼 하나님이 (과거 현재 미래) 세상죄를 덮허주신다. 그러나 정말 자신이 하나님께 회개한 자인가를 생각해야만 하고, 자기를 부인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확실히 받아드려야만 한다. 그리고 받아드린 자는 그것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나가야만 한다. 그게 영의 마음이다. 살다가 보면 육체의 연약함으로 인해서 가끔 허물(세상죄)에 빠지는 경우가 있으나, 그 때는 회개한 당시로 돌아가야만 한다. 즉 회개의 상태를 다시 회복해야만 한다.『내가 심판 아래 죽을 수 밖에 없는 존재』라는 것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다.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됨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긍휼을 바라는 것이다. 이것 만이 살길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