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방들아 주의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라


(로마서 15장 1-13절) 믿음이 강한 우리는 마땅히 믿음이 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 그리스도께서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나니 기록된 바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위로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너희도 서로 받으라 내가 말하노니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진실하심을 위하여 할례의 추종자가 되셨으니 이는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들을 견고하게 하시고 이방인들도 그 긍휼하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심이라 기록된 바 그러므로 내가 열방 중에서 주께 감사하고 주의 이름을 찬송하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또 이르되 열방들아 주의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라 하였으며 또 모든 열방들아 주를 찬양하며 모든 백성들아 그를 찬송하라 하였으며 또 이사야가 이르되 이새의 뿌리 곧 열방을 다스리기 위하여 일어나시는 이가 있으리니 열방이 그에게 소망을 두리라 하였느니라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본문을 읽어보면, 강한 믿음의 소유자가 약한 믿음의 소유자의 약점을 담당해야 한다는 권면으로 읽기 쉽다. 그러면 강한 믿음의 소유자는 어떤 약점도 없고, 약한 믿음의 소유자는 대단히 문제가 있는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 그리고 신앙생활의 궁극적인 목표가 강한 믿음으로 여기게 될 수 있다. 믿음은 하나님의 선물이지만 그 믿음을 바라보는 성도들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강하게 또는 약하게 반응할 뿐, 믿음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믿음은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하늘로부터 오는 믿음을 강약이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 경우, 강한 믿음을 지니기 위해 어떤 노력도 불사해야 할 거 같은 유혹에 빠지게 된다. 내가 믿는 믿음은 의지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에베소서 2장 8절에서『믿음은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말한다. 믿음은 내게서 나오는 것이 아니며, 나의 소유도 아니다. 그러니 자랑할 것이 아니다. 강한 믿음이 최고라고 말하지 않고, 선물로 받은 믿음을 통해 성도가 무엇을 해야 할지 다루고 있다. 나의 의지로 믿는 믿음을 부인하고, 성령의 능력으로 인도받는 믿음이 참 믿음인 것이다. 내가 믿는 믿음과 성령의 능력으로부터 오는 그리스도의 믿음은 서로 다른 것이다.

 성도는 자기를 부인하고 그리스도의 믿음 안으로 들어가야만 구원받는 믿음이 된다. 
『그러나 성경이 모든 것을 죄 아래에 가두었으니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약속을 믿는 자들에게 주려 함이라』 But the scripture hath concluded all under sin, that the promise by faith of Jesus Christ might be given to them that believe. (갈라디아서 3장 22절: kjv) 우리말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번역되었지만, 영어성경은 faith of Jesus Christ(그리스도의 믿음)이다. 주체가 내가 아니라 그리스도가 되어야만 믿음이 온전해지고, 구원받는 믿음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믿음이 될 때 믿음이 완전해지고 성도가 그리스도의 믿음 속으로 들어가 성도의 믿음이 되는 것이다. 자기를 부인하라고 하신다. 믿음은 이웃을 기쁘게 하고 선과 덕을 이루는 도구라고 한다. 믿음의 주요, 온전하게 하시는 주님께서 자신을 기쁘게 하지 않고, 자신을 우리를 위해 내어주셨기에 인류가 소망을 품을 수 있었다. 믿음은 나의 만족과 기쁨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주변의 덕과 소망을 나누는 도구여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죽어있던 영을 살리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서로 뜻이 하나가 된다는 것, 한마음과 한입이 된다는 것은 오직 본질에 충실할 때 가능한 일이다. 초대교회는 한마음과 한 뜻을 지닌 공동체였다. 그들 가운데도 감정충돌과 갈등이 있었다. 이단의 공격도 있었고, 신학적 논쟁도 있었다. 그때마다 그들은 복음 앞에 한마음과 한 뜻을 품기 위해 주저하지 않았다. 그들은 대화했고, 기도했고 주님을 본받으며 뜻을 같이하였다. 같은 목적을 지니게 된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홀로 소리 내지 않으시고, 성부 하나님의 구원의 경륜에 친히 동참하셨다. 그리고 성도에게 긍휼을 허락해주셨다.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음성을 들으시고, 스스로 구원할 수 없는 우리의 탄식을 들어주셨기에 구원사역은 완성될 수 있었다. 예수님께서 그러셨듯이 복음은 우리 또한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서로 받아들이라고 명한다. 강한 믿음의 소유자만 약한 이들을 돕는 것이 아니라, 약한 자도 강자와 함께 어우러지며 함께 은혜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예수가 주인인 사람은 주님의 사명에 따라 살게하신다. 주님은『너는 가이샤 앞에 서야 하리라』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주님은 바울을 통해서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알게 하셨다. 하나님을 아는 것은 성경을 읽어서 『하나님이 이런 분이구나』라고 아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신뢰하며 의지하며, 하나님이 주시는 사명이 생명보다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오늘날도 하나님을 믿는 자는 사명을 이루라고 생명을 연장시켜 주시는 것이다. 사명이 생명보다 중요하게 다가와야 한다. 

사명이라는 말은 심부름과 목숨으로 이해된다. 헬라어로는 디아코니아(diakonia)라는 말로 섬긴다는 말이다. 하나님의 심부름을 받은 섬기는 목숨이라는 말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도행전 20장 24절에서『내가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 곧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을 마치려 함에는 나의 생명조차 조금도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노라』그리고 그 사명은 바로 20장 27절에서『이는 내가 꺼리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다 여러분에게 전하였음이라』주를 섬기는 자에게 하나님의 뜻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는 것이 될 것이다. 

구약의 세 구절을 인용하여, 주님의 합창대가 불러야 할 노래를 알려준다. 『열방들아 주의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라』(신 32:43) 『모든 열방들아 주를 찬양하며 모든 백성들아 그를 찬송하라』(시 117:1) 『이새의 뿌리 곧 열방을 다스리기 위하여 일어나시는 이가 있으리니 열방이 그에게 소망을 두리라』(사 11:10)
위의 세 곡의 찬양은 온 땅의 사람들이 주님을 향한 찬양의 대열에 동참할 것을 노래한다.

 피부색과 이념, 종교의 다름으로 서로를 적대시하는 일은 거듭된 인류의 역사가 말해준다. 믿음이라는 허울을 쓰고 자행된 수많은 전쟁, 지금도 일어나는 자살폭탄테러, 주고받는 악의 고리를 과연 누가 끊을 수 있겠는가? 그리스도인 개개인이 아무리 노력해도, 변화가 없어 보이기에 쉽게 포기하고 만다. 그래서 우리의 인생의 노래는 뚝뚝 끊어져 있다. 하지만 신앙인의 삶은 점이 아니라 선이기에, 비명이 아니라 화음이기에, 각자의 자리에서 소리를 반드시 내어야 한다. 비록 나의 목소리가 세상에 파묻히고 세상이 주목해주지 않더라도, 우리의 지휘자이신 성령님께서 개개인의 삶의 노래를 엮어, 가장 웅장하고 아름다운 교향곡으로 바꾸실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