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는 불의를 행하고 속이는구나 그는 너희 형제로다
(고린도전서 6장 1-8절) 너희 중에 누가 다른 이와 더불어 다툼이 있는데 구태여 불의한 자들 앞에서 고발하고 성도 앞에서 하지 아니하느냐 성도가 세상을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세상도 너희에게 판단을 받겠거든 지극히 작은 일 판단하기를 감당하지 못하겠느냐 우리가 천사를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그러하거든 하물며 세상 일이랴 그런즉 너희가 세상 사건이 있을 때에 교회에서 경히 여김을 받는 자들을 세우느냐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 하여 이 말을 하노니 너희 가운데 그 형제간의 일을 판단할 만한 지혜 있는 자가 이같이 하나도 없느냐 형제가 형제와 더불어 고발할 뿐더러 믿지 아니하는 자들 앞에서 하느냐 너희가 피차 고발함으로 너희 가운데 이미 뚜렷한 허물이 있나니 차라리 불의를 당하는 것이 낫지 아니하며 차라리 속는 것이 낫지 아니하냐 너희는 불의를 행하고 속이는구나 그는 너희 형제로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 교회 내에 일어난 여러 가지의 문제들을 풀어주기 위해 권면의 편지를 써 보내고, 디모데를 고린도에 보내고 또 직접 고린도 교회를 방문하려고 하는 다각적인 방법을 동원하고 있음을 우리들은 알고 있다. 그런데 편지를 보내든, 사람을 보내든, 직접 본인이 고린도를 방문하든지 그에게는 분명한 목표가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 목표란 고린도 교회 성도들이 미래에 하나님의 나라에 입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의 나라에는 하나님의 백성만이 들어가므로 모든 성도들은 일상 생활에서 마땅히 하나님의 백성답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려고 하는 것이다.
교회내의 성도들간의 분쟁이 있을 경우에 이 분쟁을 세상 재판관에게 맡기지 말고 교회 내에서 이를 해결하라는 교훈이다. 교회 내에서 일어난 성도들간의 문제를 교회 내에서 형제들끼리 사랑으로 해결이 불가능하여 세상 재판에 맡겨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면 비록 세상 재판에서는 그 중 한 사람이 승리한다고 할 지라도 하나님의 심판에서어떻게 될 것인가를 생각하라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 백성이라면 성도답게 서로 사랑하고 양보하고 용서하여 교회 내에서 충분히 풀 수 있어야 한다는 강력한 호소이기도 한 것이다. 이 강력한 호소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기 위해 세상 재판관에게 가느니 차라리 상대방에게 속임을 당하고 자기가 손해를 보라고 분명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고린도 교회는 교회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당파가 생기고 당파간에 분쟁이 심했다. 이런 당파간의 분쟁이 있는 교회의 분위기이므로 성도들 개인적인 분쟁이 또한 가능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 당시 사회 분위기는 로마 법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크고 적은 일을 로마법에 호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또 그 당시의 법이 많은 배심원들로 구성되도록 하여 자기의 재판 일로나 아니면 배심원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법정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 형편이었다.
이런 사회적 습관으로 교인들끼리의 문제를 가지고도 세상 법에 호소하여 자기의 이익을 보호하려고 했다.
이런 분위기에서 생활하고 있는 고린도 교회에 사도 바울은 너무나도 분명하게 몇 가지의 질문을 던짐으로 그들의 잘못을 책망하고 있는 것이다. 첫 질문은 왜? 성도들끼리의 일을 성도 앞에서 하지 아니하고 불의한 자들 앞에서 하느냐? 이다. 여기에서 불의한 자들이란 재판관들의 판단이 불의하다는 뜻이 아니고 불신자들임으로 하나님 앞에서 불의한 자들이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세상 사람들을 전도해야 하겠는데 교회의 수치를 세상에 공개를 하는 일이므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는커녕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결과가 된다는 뜻이다. 다른 의미로 본다면 불신자를 어떻게 교회 문제에 개입하도록 하느냐는 말도 된다.
두 번째는 성도가 세상을 심판하는 것을 너희는 알지 못하느냐는 것이다. 마태복음 19장 28절을 보면 『인자가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을 때에 나를 좇는 너희도 열두 보좌에 앉아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심판하리라』 한 것 같이 성도들이 세상을 심판할 위치에 있는 자들인데 세상더러 성도들을 심판하도록 맡기니 자신들의 신분을 너무 깍아 내릴 뿐 아니라 그 신분을 우리들에게 주신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것이 아니겠느냐는 뜻이다.
세 번째의 질문은 성도가 천사를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천사란 타락한 천사를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타락한 천사는 이 세상에 육을 입고 인간이 되었으나,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옛사람을 버리고 다시 태어난 존재가 된다. 그래서 거듭난 성도는 타락한 천사가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하나님 없이도 하나님처럼 될 수 있어서 이 세상에 태어나 자신의 왕국을 세워나가려고 하는데, 그게 잘못된 것임을 성도는 깨닫게 되는 것이다. 성도간에 재판에 대해서도 엄밀히 생각해보면 잘잘못을 떠나 자기의 의를 나타내려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네 번째의 질문은 문제가 있을 때에 교회에서 경히 여김을 받는 자들에게 맡기느냐는 것이다. 교회에서 경히 여김을 받는다는 것은 교회로서는 세상의 불신자 심판관들을 성도들을 심판할 수 있는 자로 존경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다섯 번째의 질문은 너희 가운데 형제간의 일을 판단할만한 지혜 있는 자가 이같이 하나도 없느냐는 것이다. 교회 안에 성도 중에서도 형제들간의 일을 충분히 판단할 자가 있을 터인데 세상 법정으로 가지고 가서 하나님을 욕되게 하느냐는 말이다.
『차라리 불의를 당하는 것이 낫지 아니하며 차라리 속는 것이 낫지 아니하냐 너희는 불의를 행하고 속이는구나 그는 너희 형제로다』 사도 바울은 형제가 형제로 더불어 소송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교인들끼리의 재산 문제이거나 다른 문제라도 있다면 사랑과 용서로 문제를 풀고 화해를 해야함을 잘 알고 있다. 두 사람만으로 할 수 없다면 교회내의 다른 사람이 개입하여 양쪽이 서로 양보하고 용서하여 화목을 이루도록 해야할 것이다.
아무리 화목을 권해도 문제를 풀려고 하지 않고 기어이 법정에서 풀겠다고 한다면 세상 사람들에는 보통일 이지만 주님께서는 원치 않는 문제요 심히 부끄러운 일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법정에서는 자기가 승리하기 위해 상대방의 약점을 사정없이 폭로하게 되어 세상이 교인들의 썩어 있음을 알게 되어 결과적으로 당사자들도 만신창이가 되고 교회의 권위도 땅에 떨어져 결과적으로 하나님 앞에 책망 받을 일이 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도 바울은 불신자 앞에서 소송을 하는 그 자체만 가지고도 이미 하나님 앞에 허물이 된다고 했다. 재판정에서 이기고 지게 되는 결과가 오기 전에 소송 사건을 시작함으로 하나님 앞에는 불의한 자가 된다는 뜻이다. 그런 의미에서 차라리 소송을 안하고 자기가 주장한 권리를 포기하므로 불이익을 당하고 속는 것이 낫겠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하기 때문에 현세적인 어떤 이익은 포기하고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겠다는 큰 뜻을 펼치라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