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의 사도로 삼으셨느니라



(갈라디아서 2장 5-10절) 그들에게 우리가 한시도 복종하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복음의 진리가 항상 너희 가운데 있게 하려 함이라 유력하다는 이들 중에 (본래 어떤 이들이든지 내게 상관이 없으며 하나님은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아니하시나니) 저 유력한 이들은 내게 의무를 더하여 준 것이 없고 도리어 그들은 내가 무할례자에게 복음 전함을 맡은 것이 베드로가 할례자에게 맡음과 같은 것을 보았고 베드로에게 역사하사 그를 할례자의 사도로 삼으신 이가 또한 내게 역사하사 나를 이방인의 사도로 삼으셨느니라 또 기둥 같이 여기는 야고보와 게바와 요한도 내게 주신 은혜를 알므로 나와 바나바에게 친교의 악수를 하였으니 우리는 이방인에게로, 그들은 할례자에게로 가게 하려 함이라 다만 우리에게 가난한 자들을 기억하도록 부탁하였으니 이것은 나도 본래부터 힘써 행하여 왔노라 

『십사 년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나니』사도바울이 다메섹에서 예수님을 만난 후 아라비아로 갔다가 다시 다메섹으로 가서 지내다가, 3년후에 예루살렘에 베드로를 만나기 위해서 갔었으며, 14년이 지나서 예루살렘에 간 것이다. 사도행전 15장에서 나타나는 사건들과 동일한 사건이다. 사도행전 15장에서 사도바울과 바나바가 예루살렘에 가게된 이유는 안디옥 교회의 문제와 동일한 문제인 율법에 대한 것이었다. 안디옥 교회에서 사도바울이 성도들을 가르쳤다. 바울이 다소라는 그의 고향에서 7년간 거주하고 있었는데, 바나바가 찾아가서 안디옥 교회를 맡아보라는 권고에 따라 사도바울이 가르치는 것이다. 그런데 바울이 도착하기 전에 유대인들이 그곳에서 율법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었으므로 큰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비단 안디옥 교회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교회도 같은 문제로 당면하고 있었다. 

사도바울과 바나바가 안디옥 교회에 가서 율법에 의해서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로 인해서 구원을 받는다는 것을 가르침에, 안디옥의 신자들이 혼란에 빠진 것이다. 그래서 안디옥 교회에서 바울과 바나바를 예루살렘 교회에 보내어, 이 문제의 해답을 가져오게 한 것이다. 물론 사도바울과 바나바는 너무나 잘 알고 있던 내용이지만, 그들은 절차를 따르기로 한 것이다. 그래서 바울이 14년 만에 예루살렘에 올라갔다는 것이다.

사도바울과 바나바는 예루살렘 총회가 열리기 전에 베드로, 야고보, 요한을 먼저 만났다. 그래서 그들은 안디옥 교회가 처한 이야기를 해주었다. 이 내용이『내가 이방 가운데서 전파하는 복음을 그들에게 제시하되 유력한 자들에게 사사로이 한 것은 내가 달음질하는 것이나 달음질한 것이 헛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유력한 자들이 바로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 등 예수님의 제자들이었다. 그들이 사전 조율 결과 바울과 바나바가 전하고 있는 복음에 하자가 없음을 인식하고, 예루살렘 총회를 개최하여, 확정했다. 

당시 안디옥 교회는 율법에 따라 할례를 하는 자들이 있었으며,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만 할례도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안디옥 교회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계시를 전혀 알지 못한 것이다. 덮개가 덮혀져서 창창세로 부터 감추어져 있는 비밀을 깨닫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히브리서 10장 1절에서『율법은 장차 올 좋은 일의 그림자일 뿐이요 참 형상이 아니므로 해마다 늘 드리는 같은 제사로는 나아오는 자들을 언제나 온전하게 할 수 없느니라』율법에서 정하고 있는 다섯가지의 제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음을 나타내는 그림자라는 것이다. 제사를 통해서 장차 오실 그리스도를 바라보지 못했다면, 그들은 계시를 받은 적이 없다는 것이다. 
할례도 마찬가지로 육체를 베는 의식을 통해서 장차 오실 약속의 씨(그리스도)를 발견하라는 것이다. 할례는 두가지의 의미를 갖는다. 장차 오실 그리스도를 발견하는 것이고, 육적인 것이 그리스도와 함께 죽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할례를 통해서 그리스도를 발견했으며, 할례가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전히 할례를 한다는 것은 장차 오실 그리스도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 된다. 예수 그리스도가 이 세상에 오셨는데, 그리스도를 기다린다는 말은 오신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다는 말이다. 당시 안디옥 교회에서 할례를 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말하면서도 할례도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래서 할례를 주장하는 자들은 그리스도의 계시를 깨닫지 못한 자들이 된다. 

오늘날에도 율법주의자들이 교회 안에 많이 있다. 각종 제도나 절차 등에서 율법이 숨어있다. 성도들은 이를 발견하고 하루빨리 제거해야만 한다. 성도는 율법에 의해서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으므로 구원받는다.
교회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할례에 대해서 생각하기를 할례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에게 거룩한 백성, 하나님의 택한 백성임을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 육체에 표시를 하는 것이다 라고 한다. 온전한 설명이 될 수 없다. 그러나 할례를 통해서 율법과 복음,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간을 위하여 무엇을 하셨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할례는 오늘날로 말하면 남자의 생식기 표피 부분을 위생상 잘라내는 것을 말한다. 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할례를 받게 하셨는가, 그리고 받지 않으면 백성 중에서 끊어진다고 하셨는가 궁금해진다. 

창세기 17장 1-14절에서『하나님이 아브람에게 언약을 하셨다. 심히 번성하게 되리니 언약을 지키라』는 것이다. 하나님이 그렇게 해 주신다고 하니 아브람이 할 것은 없다. 단지 자손이 대대로 할례를 하라는 것이다. 이것이 영원한 언약이다. 하나님의 언약은 단 한가지이다. 영원한 언약을 창세기 17장 19절에서 다시 언급하고 있다. 아브라함과 이삭에게 같은 영원한 언약을 하고 있다. 어떤 언약인가 하면 창세기 26장 2-4절에서 자손인 씨의 약속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약속을 이삭에게만 한 것이 아니고 아브라함에게 모리야 산에서 약속을 한 바 있다. 그런데 씨의 약속은 아담과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범죄하자마자 창세기 3장 15절에서 하나님이 여인의 후손인 씨에 대한 약속을 하셨던 것을 기억해야 한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할례를 받으라 라고 하시는데, 그 의식 속에는 하나님의 씨에 대한 언약이 있는 것이다. 

결국 영원한 언약은『네 씨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구원을 얻겠다』인 것이다. 씨의 약속이 할례 의식에 들어있는 것이다. 창세기 17장 13절에 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내 언약이 네 살(생식기)에 있어』라고 하셨다. 생식기는 씨를 생산한다. 그 생식기인 살에 약속을 두고 할례를 하면서 이스라엘 백성들은『내가 하나님의 그 약속을 믿는다』라고 하는 증표이다. 씨로 말미암아 장차 구원받게 될 것을 믿는 것이다. 그 약속의 씨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 라고 사도바울은 말을 했다. 할례를 받는 것은 하나님께서 하신 씨의 약속, 즉『예수 그리스로 말미암아 장차 구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하는 것을 믿는다』라는 고백이며 표시이다.

 하나님이『너희는 내 백성이 될 것이고,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겠다』라는 말의 전제는 아직은 너희들이 내 백성이 아니라는 말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