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나라를 위하여 너희가 또한 고난을 받느니라


 
(데살로니가후서 1장 1-12절)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할지니 이것이 당연함은 너희의 믿음이 더욱 자라고 너희가 다 각기 서로 사랑함이 풍성함이니 그러므로 너희가 견디고 있는 모든 박해와 환난 중에서 너희 인내와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여러 교회에서 우리가 친히 자랑하노라 이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표요 너희로 하여금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여김을 받게 하려 함이니 그 나라를 위하여 너희가 또한 고난을 받느니라 너희로 환난을 받게 하는 자들에게는 환난으로 갚으시고 환난을 받는 너희에게는 우리와 함께 안식으로 갚으시는 것이 하나님의 공의시니 주 예수께서 자기의 능력의 천사들과 함께 하늘로부터 불꽃 가운데에 나타나실 때에 하나님을 모르는 자들과 우리 주 예수의 복음에 복종하지 않는 자들에게 형벌을 내리시리니 이런 자들은 주의 얼굴과 그의 힘의 영광을 떠나 영원한 멸망의 형벌을 받으리로다 그 날에 그가 강림하사 그의 성도들에게서 영광을 받으시고 모든 믿는 자들에게서 놀랍게 여김을 얻으시리니 이는 (우리의 증거가 너희에게 믿어졌음이라) 이러므로 우리도 항상 너희를 위하여 기도함은 우리 하나님이 너희를 그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여기시고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고 우리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대로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바울은 데살로니가전서에서 데살로니가 교회의 믿음과 소망과 사랑을 칭찬하며 주님의 재림을 소망과 기쁨으로 삼을 것을 권면하였다. 그런데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에 첫 번째 편지를 보낸 이후에 다시 들려오는 소식 중에는 좋은 내용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외부로부터의 박해와 환난에 대해서 굳건한 믿음을 지키고 있으나 종말과 재림에 대해 그릇된 자세를 지닌 자들이 있어 교회가 무질서의 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었다. 이런 사정을 듣고 바울은 다시금 편지를 쓰게 되었다. 환난을 당하는 성도들을 격려하는 한편 종말과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그릇된 신앙으로 인해서 흔들리는 성도들이 없도록 권면하기 위해서 데살로니가후서를 쓴 것이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에 나타난 문제들을 지적하고 꾸짖기 전에 먼저 박해와 환난 가운데서도 계속해서 자라나는 믿음과 사랑에 대하여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고 있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믿음이 더욱 자라날 뿐만 아니라, 다른 지체들과의 관계에서도 사랑이 풍성하도록 자라가고 있었다. 바른 믿음은 이처럼 하나님과의 깊은 관계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웃들과의 관계에서도 더욱 더 풍성하여 지는 것이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그들에게 닥치는 박해와 환난이 많았지만 인내하며 믿음에 굳게 서 있을 뿐 아니라 계속 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것에 대해 바울은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바울은 믿음의 진보를 이루고 있는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믿는 자가 당하는 환난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믿는 자가 당하는 환난을 박해자들의 번영이라는 현실과 비교하면서 하나님의 심판이 공의로운가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왜 자기 백성이 환난과 고통을 당하도록 내버려두는가 하는 것이다. 

시편 73편 1-3절에서 『하나님이 참으로 이스라엘 중 마음이 정결한 자에게 선을 행하시나 나는 거의 넘어질 뻔하다 나의 걸음이 미끄러질 뻔하였으니 이는 내가 악인의 형통함을 보고 오만한 자를 질투하였음이로다』 하박국도 1장 13절에서 하나님께 묻는다.『어찌하여 거짓된 자들을 방관하시며 악인이 자기보다 의로운 사람을 삼키는데도 잠잠하시나이까』 

그런데 바울은 성도가 받는 환난에 대해서 오히려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표라고 말한다. 환난은 성도들을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여기심을 얻게 하시려는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있는 일이고, 장차 성도들을 박해하고 예수의 복음에 복종하지 않은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형벌이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성도가 만나는 그 어떤 환난도, 위기도, 고난도 하나님의 사랑이 부족해서 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무관심과 외면 때문에 시작되는 것이 아니다. 환난에도 반드시 하나님의 섭리가 있는 것이다. 고난 속에서 믿음이 자라고 사랑이 풍성하여지고 하나님 나라에 합당한 자가 되어진다는 것이다. 

바울은 하나님께서는 성도들로 하여금 환난을 받게 하는 자들에게는 환난으로 갚으시고 성도들에게는 안식으로 갚으시는 공의로우신 분이심을 설명했다. 또한 주님의 재림의 날에 하나님을 모르는 자들과 복음을 복종치 않는 자들에게는 영원한 멸망의 형벌이 임할 것임을 언급하면서 환난 중에 있는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격려하고 있다. 빌립보서 1장 28절에서 『무슨 일에든지 대적하는 자들 때문에 두려워하지 아니하는 이 일을 듣고자 함이라 이것이 그들에게는 멸망의 증거요 너희에게는 구원의 증거니 이는 하나님께로부터 난 것이라』 

데살로니가 교회와 같이 세워진지 얼마 되지 않는 교회가 환난을 견디는 것은 그리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위해 기도했다. 하나님의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살아가는 것을 위해 기도했다. 모든 선을 기뻐함과 능력으로 믿음을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했다. 환난을 이기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은 세상보다 강해지고, 높아지고, 부유해지는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것이기 때문이다.

신명기 8장 2-3절『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사십 년 동안에 네게 광야 길을 걷게 하신 것을 기억하라 이는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네 마음이 어떠한지 그 명령을 지키는지 지키지 않는지 알려 하심이라 너를 낮추시며 너를 주리게 하시며 또 너도 알지 못하며 네 조상들도 알지 못하던 만나를 네게 먹이신 것은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요 여호와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사는 줄을 네가 알게 하려 하심이니라』

두려움이라는 단어를 보면『두려워 말라』라고 하시는 말도 있고,『두려워 하라』는 말씀도 있다. 시험이라는 단어도 마찬가지다. 『시험하지 않는다』는 말씀도 있고, 『시험한다』는 말씀도 있다. 성경을 보면 분간을 할 수 있지만 우리의 삶 속에서 체험할 수 있다. 주님이 40년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을 낮추셨다. 그것은 가나안 땅을 주시기 위함이었다. 그들은 애굽에 살면서 가나안이 보이지 않았지만 가나안에 들어가는 것은 이 땅에서의 승리였다. 가나안에 입성은 천국에 입성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애굽에서 바로왕 밑에서 힘든 생활을 했다. 애굽 사람들은 뱀신을 믿고 있었다. 파라오의 이마에는 코브라가 있다. 애굽은 사단의 힘으로 부강해진 나라였다. 애굽은 세상을 상징한다. 세상도 마찬가지다. 세상에 대해서 우리는 노예와 같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사단의 힘으로 부요한 자들이 가득 잡고 있는 것이다. 그 곳에서 성도들은 겨우 살고 있는 것이다. 세상에서 주 께 부르짖는 삶인가, 세상을 즐기고 있는 삶인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우리의 성실함 만으로는 살 수 없다. 세상 속에서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사단에게 송두리째 주어서 악을 행하는데,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악의 힘으로 부요한 자가 온 세상을 잡고 있는 것이다. 그곳에 그리스도인들이 힘들게 사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