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이 악함을 회개하고 주께 기도하라
(사도행전 8장 14-24절)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들이 사마리아도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다 함을 듣고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매 그들이 내려가서 그들을 위하여 성령 받기를 기도하니 이는 아직 한 사람에게도 성령 내리신 일이 없고 오직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만 받을 뿐이더라 이에 두 사도가 그들에게 안수하매 성령을 받는지라 시몬이 사도들의 안수로 성령 받는 것을 보고 돈을 드려 이르되 이 권능을 내게도 주어 누구든지 내가 안수하는 사람은 성령을 받게 하여 주소서 하니 베드로가 이르되 네가 하나님의 선물을 돈 주고 살 줄로 생각하였으니 네 은과 네가 함께 망할지어다 하나님 앞에서 네 마음이 바르지 못하니 이 도에는 네가 관계도 없고 분깃 될 것도 없느니라 그러므로 너의 이 악함을 회개하고 주께 기도하라 혹 마음에 품은 것을 사하여 주시리라 내가 보니 너는 악독이 가득하며 불의에 매인 바 되었도다 시몬이 대답하여 이르되 나를 위하여 주께 기도하여 말한 것이 하나도 내게 임하지 않게 하소서 하니라
사마리아 사람들도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다는 소식을 들은 예루살렘의 사도들은 베드로와 요한을 사마리아로 보냈다. 두 사도는 사마리아로 내려가서 그곳의 새신자들을 위하여 기도하고 안수했으며,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는 동안 사마리아인의 여러 마을에서 복음을 전했다. 그곳 신자들에게도 성령께서 임하셨다. 성령께서는 빌립을 또 다른 이방전도에 사용하셨다. 박해 받는 복음을 더 널리 퍼뜨리시고 박해 아래 있는 교회를 더 성장시키시는 하나님의 역사는 참으로 놀랍게 이루어져 갔다. 열두 사도 못지않게 훌륭한 일꾼이었던 스데반이 너무나 일찍 순교한 사실은 교회의 큰 손실이 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순교는 결코 헛되지 않았다.
이어지는 이야기가 마술장이 시몬에 대한 이야기다. 오늘날 대부분 교회는 마술장이 시몬 보다 빌립보 간수의 이야기가 설교된다. 사도행전 16장에 나오는 빌립보 간수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 간수가 바울에게『내가 어떻게 해야 구원을 얻으리이까』라고 묻는다.『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라고 말했다. 사도바울은 항상 구원의 조건을 두가지로 말했다. 하나님께 대한 회개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전했다. 바울은 간수에게『너의 몸을 헤치지 말라』라고 말했다. 이 말을 들었을 때 간수는 떨며 두려워했다고 한다.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보내신 자 바울이 말하므로 떨었다.
회개하지 않은 증상이 로마서 1-3장에서 나오는데,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는 회개하지 않은 자들이다.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내가 구원받아야 할 존재라는 것을 깨닫는 것, 이것이 회개하는 사람에게 생기는 반응이다. 그래서 바울이『주 예수를 믿으라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라고 말했던 것이다. 마가복음 1장 15절에서『때가 찼고 하나님 나라가 가까웠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고 말한다. 회개해야 복음이 믿어지는 것이다. 많은 교회 사람들은『내가 예수의 피 공로로 죄를 씻고 예수를 믿는다』고 말을 하지만, 자기를 부인하지 않는 회개는 죄의 뿌리는 그대로 두고 죄의 열매 만을 없애는 모양이다. 죄의 뿌리를 없애는 길은 자기를 부인하는 길이고,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는 길이다.
죄사함을 얻는 믿음이 있어서 세례를 받는 것이 아니라, 세례의 결과로서 죄 사함을 얻는 것이다. 세례는 죽는 것을 의미한다. 로마서 6장 3절에서『무릇 그리스도 예수와 합하여 세례를 받은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은 줄을 알지 못하느냐』하나님께 죄인은 영이 하나님에 대해서 죽어있는 것이다. 하나님께 대하여 반대로 반응하는 자들이다. 하나님께 원수가 된다. 그래서 죄에 대해서 죽어야만 된다. 인간적으로 선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하나님께 대하여 죽어야 하는 죄인이라고 말하는 것을 받아드리기가 가장 어려운 것이다. 예수 믿는 사람들 중 죄인이라고 말은 하지만, 예수와 함께 죽지 않는 자들이 많을 것이다. 회개하지 않은 자라고 할 수 있다.
영이 죽어있으며, 혼이 주인행세를 하고 있는데, 이 혼(자아)이 죽어야만 영이 살아나는 것이다. 영이 죽고 혼이 주인 행세하는 사람의 대표가 범죄한 하와였다. 하와는 옛뱀 사탄의 말을 믿었다. 사탄은 하나님 없이 생각을 자극한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순종한 다음 생각하게 하신다. 사탄은 생각하게 한 다음 순종하도록 자극한다. 놀랍게 하와(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자)는 하나님 말씀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했다. 뱀(사탄)과 대화를 하는 순간, 하와가 주인이 된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을 주인으로 생각한다면, 하나님께 여쭈어 보아야만 하지만 하와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믿는다』는 말은 전적으로 의탁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오늘날 대부분 교회사람들은 믿음을『지적으로 동의한다』고 생각한다.『지적동의』는 행동의 반응없이 마음으로만 믿는다는 것이다. 지적동의는 예수가 나를 위해 죽었다는 것이다. 믿고 의심하지 않는다. 그런데 예수가 주인은 아닌 것이다. 지식으로만 있을 뿐이지,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는다. 거짓된 믿음인 것이다. 하와는 사단과 대화를 하는 순간부터 더 이상 하나님께 말하지 않는다. 성경은 이것을 하나님을 향한 반역이라고 말한다.
우리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는다는 것은 물 속에 잠긴다는 것이다. 베드로가 물속에 잠긴다는 것에 대해서『노아의 홍수 때 사람들이 하나님의 심판 받는 것을 상징한다』고 말한다.『나는 노아의 홍수 때 복음을 받아드리지 않을 자』라는 것이다. 이것을 내가 인정하는 것이 곧 물에 들어가는 행위다. 노아 때 살았더라면 죽을 자라는 것이다. 그래서 세례는 물에 잠겨, 죽는 것을 의미한다. 베드로 전서 3장 20-21절에서『씻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옛뱀에 반응한 하와의 마음, 즉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마음, 오늘날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영을 죽게 만드는 것이다. 이것을 성경은 옛사람이라고 말한다. 로마서 6장 6절에서『우리가 알거니와 우리의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 죄의 몸이 죽어 다시는 우리가 죄에게 종 노릇 하지 아니하려 함이니』
옛사람은 반드시 죄를 짓는다. 옛사람은 하나님과 같이 되고 싶은 욕망의 모습이다. 오늘날 정치 경제 사회 과학 모든 분야에서 하나님 없는,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욕망이 분출하고 있다.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의 모습을 나타낸다. 그래서 그 옛사람(혼)이 죽어야만, 죽었던 영이 구원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회개하지 않는 자는 하나님보다 자기를 더 믿는 존재다. 성찬은 예수의 몸을 먹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가 된다. 예수의 떡을 먹는 우리도 예수와 함께 죽은 자가 되는 것이다. 여기에 그냥 지적으로 동의가 아니라 삶의 행동에서 그렇게 행하는 것이다. 자기를 부인하지 않으면 이런 행동이 나오지 않는다. 자기를 부인하는 자가 성화된 자다. 거듭난 자가 칭의이고 성화다. 거듭난 자가 사단과 싸울 수 있는 힘이 점점 자라는 것은 성화가 아니라 성령의 능력을 말한다. 예수님의 죽으심과 연합되지 않으면서, 죄사함을 받을 수는 없다. 예수님의 죽으심과 연합된다는 것은 결국 자기를 부인하는 회개다. 하나님 말씀 앞에서 지적인 생각을 모두 내려놓아야만 한다. 하나님 말씀이 없는 자는 대상이 되지 않는다. 오늘날은 중세 때의 암흑보다 더 어두울지도 모른다. 가짜 복음에서 깨어나지 않으면 암흑과 같은 소경이 되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