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사의 재판 자리 앞에 섰으니 마땅히 거기서 심문을 받을 것이라

(사도행전 25장 1-12절) 베스도가 부임한 지 삼 일 후에 가이사랴에서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니 대제사장들과 유대인 중 높은 사람들이 바울을 고소할새 베스도의 호의로 바울을 예루살렘으로 옮기기를 청하니 이는 길에 매복하였다가 그를 죽이고자 함이더라 베스도가 대답하여 바울이 가이사랴에 구류된 것과 자기도 멀지 않아 떠나갈 것을 말하고 또 이르되 너희 중 유력한 자들은 나와 함께 내려가서 그 사람에게 만일 옳지 아니한 일이 있거든 고발하라 하니라 베스도가 그들 가운데서 팔 일 혹은 십 일을 지낸 후 가이사랴로 내려가서 이튿날 재판 자리에 앉고 바울을 데려오라 명하니 그가 나오매 예루살렘에서 내려온 유대인들이 둘러서서 여러 가지 중대한 사건으로 고발하되 능히 증거를 대지 못한지라 바울이 변명하여 이르되 유대인의 율법이나 성전이나 가이사에게나 내가 도무지 죄를 범하지 아니하였노라 하니 베스도가 유대인의 마음을 얻고자 하여 바울더러 묻되 네가 예루살렘에 올라가서 이 사건에 대하여 내 앞에서 심문을 받으려느냐 바울이 이르되 내가 가이사의 재판 자리 앞에 섰으니 마땅히 거기서 심문을 받을 것이라 당신도 잘 아시는 바와 같이 내가 유대인들에게 불의를 행한 일이 없나이다 만일 내가 불의를 행하여 무슨 죽을 죄를 지었으면 죽기를 사양하지 아니할 것이나 만일 이 사람들이 나를 고발하는 것이 다 사실이 아니면 아무도 나를 그들에게 내줄 수 없나이다 내가 가이사께 상소하노라 한대 베스도가 배석자들과 상의하고 이르되 네가 가이사에게 상소하였으니 가이사에게 갈 것이라 하니라


네로가 황제로 있던 당시 벨릭스에 이어 유대의 총독으로 부임한 베스도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대제사장들과 유대인 중 높은 사람들이 바울을 고소했다. 대제사장들과 유대인들은 권력을 위임받은 베스도 총독에게 청탁하여 호의를 베풀어 달라고 요청했다. 지난 2년간 감옥에 수감되어 있는 바울을 예루살렘으로 보내달라는 것이다. 대제사장들과 유대인들은 베스도 총독에게 청탁할 것들, 논의할 것들이 많았을텐데, 바울을 죽이려는 음모를 먼저 꺼낸 것을 보면, 지난 2년간 그들의 바울을 향한 얼마나 분노와 노여움이 컸는지 짐작 할 수 있다. 그러나 베스도는 바울이 가이사랴에 무사히 감금되어 있으니, 그를 고발하고자 하면 자신과 함께 내려가자고 말했다. 대제사장들과 유대인 중 높은 사람들은 더 높고 강한 권력을 가진 유대의 총독 베스도에게 호의를 베풀어달라고 요청했다. 호의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해결하려 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를 카리스 즉, 은혜로 여기려 했을 것이다. 반면, 바울은 지난 2년 동안 아무런 호의를 더 높고 강한 권력자를 찾아 구걸하지 않았다. 

베스도는 예루살렘에서 약 8-10일쯤을 보내고 가이사랴로 내려갔다. 이튿날 바울을 불러 재판장에 세우자, 예루살렘에서 함께 온 유대인들이 그를 에워싸고 여러 가지 죄목들을 걸어서 고발했다. 그러나 충분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그리고 바울은 23장1절에서 공회앞에서 자신을 변호했던 것처럼 또, 24장16절에서 총독 벨릭스 앞에서 변호했던 것처럼, 동일하게 25장 8절에서도 변호했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 앞에서도, 신앙 공동체 안에서도, 그리고 세상법적으로도 전혀 죄가 없다고 변론한 것이다. 그러자 베스도도 유대인들의 마음, 호의, 즉, 카리스를 사람들로부터 얻기 위해 바울에게 묻는다. 

그러나 사도바울은 단호하게 거절했다. 그 이유는 사도바울은 분명한 자신의 사명을 알았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전적으로 값없이 주신 은혜로 말미암아 로마까지 갈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바울은 3차례 전도여행을 통해 이방인들의 사도로 많은 교회들을 세웠고, 이제 임금들 앞에 서서 복음을 전했으며 이제 로마황제에게 까지 갈 것을 처음 부르심을 받을 때부터 알고 있었다. 마침내 사도바울은 죄목을 찾지 못하고 증오와 분노로 가득한 예루살렘에서 온 유대인들 앞에서 그리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호의로 해결하려 했던 베스도 총독 앞에서 단호하고 담대하게 말했다. 『이 사람들이 나를 고발하는 것이 다 사실이 아니면 아무도 나를 그들에게 내줄 수 없나이다. 내가 가이사께 상소 하노라』즉, 로마로 가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그리고 황제 앞에 당당히 서겠다고 단호하고 담대하게 선포한 것이다. 

아그립바 왕과 베스도는 한 가지 사실에 동의했다. 바울이 가이사에게 상소하지 않았다면 그는 무죄로 석방되었을 것이다. 베스도는 바울이 너무 많은 학문을 배웠기에 그것이 바울을 미치게 만들었다고 생각했다. 이 모든 법정 진술에서 바울은 강력한 복음을 전했다. 그는 유대인 통치자들과 로마 통치자들에게 말했다. 그의 말과 행동은 그가 믿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들은 그가 말한 것에 대해 생각해야만 했다. 머지않아 그는 로마 제국의 가장 중요한 법정에 서게 될 것이다. 하나님은 바울이 로마의 법정에서도 복음을 전하기 원하셨다. 아무도 막을 수 없다.  바울은 감옥에 있을 때도 그런 일을 하였다.

사도행전에는 바울이 로마로 향하는 여정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그 당시 여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했다. 하지만 그 여정은 하나님의 목적이 있었다. 율리오라 불리는 백부장이 바울을 호송하였고 그는 바울에게 호의를 베풀었다. 여정은 느렸다. 그들은 도중에 어딘가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 멈춰야한다는 것을 알았다. 바울은 여정이 곤경에 처할 것이라 예상하고 출항을 만류했다.  그러나 아무도 그가 한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나 곧 매우 강한 광풍을 만나 배는 큰 위험에 빠졌다. 사람들은 배를 가볍게 하려고 많은 화물을 바다로 던져 버렸다. 그들은 여러 날 동안 해나 별을 보지 못했고 먹을 수도 없었다. 바울만 두려움을 떨쳐버리고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이야기하였다.

그들은 멜리데(몰타) 섬 해안에 이르렀다. 바울은 죄수였지만 명령을 내렸다. 일부 선원들이 작은 배를 타고 탈출을 시도하자 그들을 막도록 명하였다. 배가 육지에 도달하여 모든 사람들이 배를 버리고 육지에 오를 수 있었다. 그 섬의 주민들은 친절했고 나무불을 피워 주었다. 뱀이 나와 바울을 물었지만 그는 독에 해를 입지 않았다. 그러자 섬의 일부 사람들은 바울이 신이라고 생각했다. 나중에 바울은 복음을 전하고 많은 병자들을 치료해 주었다. 멜리데 섬을 떠날 때, 섬 주민들은 그들에게 식량과 보급품을 주었다.

마침내 그들은 이탈리아 로마에 도착했다. 로마의 기독교인들은 바울이 온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들은 바울을 따뜻하게 환영해 주었다. 바울은 감옥에 있지 않았다. 그는 가정집에 거주하며 군인들의 보호를 받았다. 바울은 유대인 지도자들을 청하여 복음을 나누었는데 그들 중 일부는 복음을 믿고 받아들였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믿지 않았기에 바울은 이사야서의 유대인을 위한 마지막 메시지, 깨닫지 못하는 우둔함을 전하였다.

바울은 꿈에 그리던 로마에서 죄수의 신분이었지만 많은 자유를 누리며 복음을 전할 수 있었다. 그는 참으로 주어진 삶의 기회를 허비하지 않고 선용한 지혜로운 사람이다. 감옥에 있으면서도 더욱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이 전해지고 있다는 소식은 그에게 큰 격려가 되었다.  인간은 바울을 사슬에 묶어 사역을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복음은 멈추지 않았다. 계속 퍼져 나갔다. 바울이 고난을 받았기 때문에 더 많이 퍼져 나갔다. 수많은 군인들이 바울을 통해 예수님을 믿었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다. 다른 관리들도 아마 믿었을 것이다. 바울은 또한 지역 성도들을 크게 격려했다. 이것은 그들의 믿음을 더 강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