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사도행전 26장 1-18절) 아그립바가 바울에게 이르되 너를 위하여 말하기를 네게 허락하노라 하니 이에 바울이 손을 들어 변명하되 아그립바 왕이여 유대인이 고발하는 모든 일을 오늘 당신 앞에서 변명하게 된 것을 다행히 여기나이다 특히 당신이 유대인의 모든 풍속과 문제를 아심이니이다 그러므로 내 말을 너그러이 들으시기를 바라나이다 내가 처음부터 내 민족과 더불어 예루살렘에서 젊었을 때 생활한 상황을 유대인이 다 아는 바라 일찍부터 나를 알았으니 그들이 증언하려 하면 내가 우리 종교의 가장 엄한 파를 따라 바리새인의 생활을 하였다고 할 것이라 이제도 여기 서서 심문 받는 것은 하나님이 우리 조상에게 약속하신 것을 바라는 까닭이니 이 약속은 우리 열두 지파가 밤낮으로 간절히 하나님을 받들어 섬김으로 얻기를 바라는 바인데 아그립바 왕이여 이 소망으로 말미암아 내가 유대인들에게 고소를 당하는 것이니이다 당신들은 하나님이 죽은 사람을 살리심을 어찌하여 못 믿을 것으로 여기나이까 나도 나사렛 예수의 이름을 대적하여 많은 일을 행하여야 될 줄 스스로 생각하고 예루살렘에서 이런 일을 행하여 대제사장들에게서 권한을 받아 가지고 많은 성도를 옥에 가두며 또 죽일 때에 내가 찬성 투표를 하였고 또 모든 회당에서 여러 번 형벌하여 강제로 모독하는 말을 하게 하고 그들에 대하여 심히 격분하여 외국 성에까지 가서 박해하였고 그 일로 대제사장들의 권한과 위임을 받고 다메섹으로 갔나이다 왕이여 정오가 되어 길에서 보니 하늘로부터 해보다 더 밝은 빛이 나와 내 동행들을 둘러 비추는지라 우리가 다 땅에 엎드러지매 내가 소리를 들으니 히브리 말로 이르되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가시채를 뒷발질하기가 네게 고생이니라 내가 대답하되 주님 누구시니이까 주께서 이르시되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라 일어나 너의 발로 서라 내가 네게 나타난 것은 곧 네가 나를 본 일과 장차 내가 네게 나타날 일에 너로 종과 증인을 삼으려 함이니 이스라엘과 이방인들에게서 내가 너를 구원하여 그들에게 보내어 그 눈을 뜨게 하여 어둠에서 빛으로, 사탄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고 죄 사함과 나를 믿어 거룩하게 된 무리 가운데서 기업을 얻게 하리라 하더이다 

 
바울은 새롭게 부임한 총독 베스도와 분봉왕 아그립바, 그리고 그의 누이 버니게 앞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25장에 이어 26장에서도 계속해 나가고 있었다. 특별히 26장에서는 바울 자신이 과거 유대교 믿던 때의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이 얼마나 기독교인들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심하게 기독교인들을 박해하였는지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다 어느 날 다메섹으로 가던 가운데 그가 그렇게 핍박하던 예수그리스도를 만나게 됨을 고백한다. 바울의 인생에서 예수님과의 만남은 그의 일생을 완전히 새롭게 바꾸어 놓는 계기가 되었다. 예수님과의 만남 이후 바울은 그가 남은 생애를 어떠한 일을 하며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분명히 알게 된다. 

바울은 하나님의 소명에 대해 거스르지 않고 심지어 죽음의 위기 앞에서도 자신이 해야 할 복음 전파 사명을 최선을 다해 감당하였다. 때로는 돌에 맞아 죽을 뻔 하기도 하였고, 자신을 잡으려고 하는 사람들로부터 도망 다니는 신세가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제 죄인으로 잡혀 로마로 압송되기 위해 기다리는 고립된 상황가운데 처하게 되었지만 그는 어떤 상황에 처해있더라도 예수님을 만난 이후 한결같이 최선을 다해 말씀을 실천에 옮기며 살았다.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아 내가 오늘까지 서서 높고 낮은 사람 앞에서 증언하는 것은 선지자들과 모세가 반드시 되리라고 말한 것밖에 없으니 곧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으실 것과 죽은 자 가운데서 먼저 다시 살아나사 이스라엘과 이방인들에게 빛을 전하시리라 함이니이다 하니라』선지자들과 모세가 장차 되어질 것이라고 이야기 한 것 바로 구약 성경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으실 것과 죽은 자 가운데 먼저 다시 살아나사 이스라엘과 이방인들에게 빛을 전하시리라 한 이것을 바울은 죽도록 충성하며 이루어 갔던 것이다. 이러한 바울의 열심에 대해 총독 베스도는 바울이 많은 학문을 공부하여서 미친 것 같다며 비아냥거리는 말투로 바울을 조롱하지만 바울은 이에 아랑곳 하지 않고 담대히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당하신 것과 죽은 자 가운데 부활하신 것에 대해 담대히 전하였다. 그리고 오히려 위축되기 보다는 아그립바 왕에게 그가 전한 복음의 메시지에 대한 믿음의 결단을 촉구하는 말을 담대하게 전하고 있다. 

바울은 다메섹으로 가는 도중 예수님을 만난 이후 하나님께서 그를 부르신 목적인 이스라엘 사람들과 이방인들을 향해 복음을 전하라는 소명에 따라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던 바울이었기에 그 자리에 있던 아그립바 왕, 베스도 총독과 버니게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자리를 떠나면서 바울은 사형이나 결박 당할만한 행위를 한 사람이 아니라고 이야기하며 돌아갔다. 그리고 아그립바 왕도 베스도 총독에게 만약 이 사람이 가이사에게 상소하지 않았으면 석방도 가능했을 것이라 말하여 그 자리를 떠났다.

26장 22절과 23절은 바울이 그의 소명으로 여기며 일평생 동안 이스라엘 사람들과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했던 그의 삶을 잘 요약해 줌과 동시에 이 말씀은 신약 성경 역시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 그리고 복음이 땅 끝까지 전파되는 선교에 관해 기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구절이다. 이러한 바울의 고백을 통해 복음 전파에 대한 바울의 열정은 총독과 분봉왕 앞에서도 담대히 복음을 전하고 있다. 비록 미쳤다는 소리를 들어도, 생명의 위협을 당한다 하더라도 그는 복음을 끝까지 전한 것이다. 

사도바울이 로마로 압송되는 과정에서 사도행전이 거의 마치기 전에 아그립바 왕에게 다메섹에서 들은 음성을 간증하면서, 모든 사람에게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회개에 합당한 일을 하라 전하므로, 사람들이 자기를 잡아 죽이려고 한 사정을 말하고 있다. 회개없는 믿음은 하나님이 보시기에 불가능하다. 그것은 사람들이 스스로 믿는 믿음에 불과하다. 사도바울이 들은 음성이『그 눈을 뜨게 하여 어둠에서 빛으로, 사탄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고』이 말씀의 전제는 인간은 자기 스스로 사단의 권세로 부터 하나님께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왕의 백성이었던 히브리 백성이 자기네 힘으로 애굽을 나올 수 없는 것과 같다. 그래서 그들이 부르짖은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은 모세를 보내 주셨다. 

회개없는 영접기도는 가짜다. 모든 인간은 사단의 노예다. 세상의 노예인 것이다. 세상으로 부터 절대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이다. 세상의 모든 것이 없으면 살 수 없는 존재이다. 다 하나님의 진노 아래 있는 자들이다. 히브리인들의 육신은 바로왕의 진노 아래에서 살았다. 그런데 그들이 하나님께 부르짖었을 때 유월절에 하나님이 보여주신 것은 바로왕의 진노가 문제가 아니라 세상 모든 사람들은 하나님의 진노 아래 있다는 것을 보여주신 것이다. 그래서 사단의 권세로 부터 하나님께로 돌아갈 때 알게 된 것이 하나님의 진노였다. 

하나님의 진노로 부터 놓이는 것, 이것이 바로 회개의 시작이라는 말이다. 사단의 권세로 부터 놓이는 것을 회개라고 하지 않는다. 사단의 권세로 부터 놓이는 것은 구속(속량)이라고 한다. 그러나 속량과 회개는 붙어있다. 이 두 가지는 동전의 양면성처럼 붙어 있어서 우리를 거듭나게 한다. 문제는 십자가에서 주님이 혼인잔치의 짐승처럼 잡혀 죽었다. 주님은 자신의 잔치를 위하여 친히 2000여년 전에 제물로 오셨다. 이 번에는 제물로 오시지 않으신다. 이번에는 제사장으로 오신다. 양과 염소를 가르실 것이다. 모든 땅 다메섹, 유대땅, 예루살렘, 이방인에게 까지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이켜야 한다. 그런데 회개하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다. 돌이키는 것이 바로 거듭남이다. 거듭나지 않은 자들에게 회개를 외쳐야만 하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