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회개에 합당한 일을 하라 전하므로
(사도행전 26장 19-32절) 아그립바 왕이여 그러므로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내가 거스르지 아니하고 먼저 다메섹과 예루살렘에 있는 사람과 유대 온 땅과 이방인에게까지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회개에 합당한 일을 하라 전하므로 유대인들이 성전에서 나를 잡아 죽이고자 하였으나 유대인들이 성전에서 나를 잡아 죽이고자 하였으나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아 내가 오늘까지 서서 높고 낮은 사람 앞에서 증언하는 것은 선지자들과 모세가 반드시 되리라고 말한 것밖에 없으니 곧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으실 것과 죽은 자 가운데서 먼저 다시 살아나사 이스라엘과 이방인들에게 빛을 전하시리라 함이니이다 하니라 바울이 이같이 변명하매 베스도가 크게 소리 내어 이르되 바울아 네가 미쳤도다 네 많은 학문이 너를 미치게 한다 하니 바울이 이르되 베스도 각하여 내가 미친 것이 아니요 참되고 온전한 말을 하나이다 왕께서는 이 일을 아시기로 내가 왕께 담대히 말하노니 이 일에 하나라도 아시지 못함이 없는 줄 믿나이다 이 일은 한쪽 구석에서 행한 것이 아니니이다 아그립바 왕이여 선지자를 믿으시나이까 믿으시는 줄 아나이다 아그립바가 바울에게 이르되 네가 적은 말로 나를 권하여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려 하는도다 바울이 이르되 말이 적으나 많으나 당신뿐만 아니라 오늘 내 말을 듣는 모든 사람도 다 이렇게 결박된 것 외에는 나와 같이 되기를 하나님께 원하나이다 하니라 왕과 총독과 버니게와 그 함께 앉은 사람들이 다 일어나서 물러가 서로 말하되 이 사람은 사형이나 결박을 당할 만한 행위가 없다 하더라 이에 아그립바가 베스도에게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가이사에게 상소하지 아니하였더라면 석방될 수 있을 뻔하였다 하니라
회개하고 돌이켜져서 회개의 합당한 열매를 맺는 것, 이것만이 살길이다. 바울은 아그립바 왕에게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도바울이 들은 음성이『어둠에서 빛으로, 사탄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고』그 다음에 죄사함이 나온다. 죄사함은 예수의 피만이 적용된다. 예수의 피로만 우리의 죄가 씻어진다. 그런데 모든 사람은 허물과 죄로 죽어있다는 것이다. 영적으로 죽어있는 사람들이 예수의 피로 씻는다고 해서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일단 살아나야지만 죄가 예수의 피로 씻어지는 것이다. 영이 살아나야지 하나님이 이렇게 죄를 씻어주신다는 말이다. 내가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피로 씻어지는게 아니라는 말이다. 죄를 씻기 위해서는 먼저 죄의 몸이 죽어야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믿음인 것이다. 회개하여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은 원래 하나님과 하나였는데, 스스로 하나님처럼 되고 싶어서 분리된 것이다. 그래서 돌이키라는 것이다.
탕자의 비유는 세번째 비유인데, 앞에 두 비유가 있다. 첫번째, 잃은 양이 돌아오는 것, 그리고 두번째, 드라크마를 등불을 켜서 찾는 것, 첫번째는 목자를 버려 잃어버린 양이 된 것이다. 목자에게 돌아오는 것이 자기의 행동을 회개하는 것이다. 이게 양의 허물이다. 양이 지은 죄다. 두번째 비유는 동전이 죽어있는 것이다. 영접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죄다. 앞의 두 비유는 인간의 영적인 것이 허물과 죄로 죽어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죄인 하나가 회개하면』라고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탕자의 비유는 회개라는 말이 없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말하기를『죽었다가 살아났으며』라고 했다. 탕자의 비유는 거듭남의 비유인 것이다. 인간의 힘으로는 하나님께로 돌아갈 수 없다. 바로왕의 노예가 스스로 나와서 하나님께로 나아갈 수 없다.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부르짖는 것 뿐이었다. 오늘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부르짖는 것이다. 그 때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신다. 중세 때 면죄부보다 더 많은 미혹을 하는 것이 바로 회개없이 하는 영접기도라는 사실이다. 모든 죄를 버리고 합당한 열매를 맺고, 그럴 때 주님이 우리를 거듭나게 하신다. 그리고 그런 다음에 죄사함을 얻게된다. 죄 사함 다음에 나오는 말이『나를 믿어 거룩하게 된 무리 가운데서 기업을 얻게 하리라』
예수님이 다메섹에서 바울에게 직접 말한 것은『사단의 권세로 부터 하나님께로 돌이키게 하고, 그 다음에 죄사함과 그리고 나를 믿어 거룩히 된 무리 가운데서 기업을 얻게 하리라』라고 말했는데, 아그립바 왕에게 이것을 들었다고 말하는 장면이다. 성령이 하시는 일은 예수를 믿는 믿음으로 거룩히 된 무리 가운데서 기업을 있게 하신다. 사도행전 2장 38절에는『베드로가 이르되 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받으라 그리하면 성령의 선물을 받으리니』이 문장은 네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개(능동), 세례받는 것(수동), 죄사함을 받는 것(수동), 성령의 선물(수동)이다.
세례받는 것은 죄를 씻는 것이 아니라 옛사람이 죽는 것이다. 베드로전서 3장 21절에서『물은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리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리고 로마서 6장 3-6절에서『세례는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장사되었으며, 우리 옛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히는 것』으로 말씀하고 있다. 세례는 회개없이는 불가능하다. 그런 후에 죄사함을 얻는 것이다. 얻는 것이 아니라 죄사함을 위하여 세례를 받으라는 말이다. 세례를 받아야지만 죄사함을 얻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은 어떠한가? 죄사함을 받아 깨끗해진 것으로 믿고, 증표로 세례를 주는 것이다. 세례를 죄사함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례는 죄사함이 아니라 죄에 대하여 죽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교회에서 말하기를『예수님이 당신을 대신해서 죽었습니다. 우리의 죄는 예수의 피로만 씻어집니다』그러면 구원받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 죄 용서만 받으면 구원받는 줄 믿는다. 절반이 부족하다. 회개하고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죽는 것 만이 구원의 길이다. 회개할 때 예수님과 함께 죽는 믿음이 생기는 것이다. 이것은 선물이다. 이것이 바로 유다서 1장 3절에서 말하는 성도들에게 단번에 주신 믿음이다. 그 속에 기업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는 모든 사람에게 구원이 적용된다. 이것이 디도서 1장 1절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택하신 자의 믿음이다. 그리고 이것이 가나안을 들어가는 믿음이다. 이 믿음은 병 고치기 위해 예수님께 나아 온 믿음과는 다르다. 구원받으려 나온 믿음이다. 구원의 조건은 회개와 믿음이다. 그 믿음은 예수와 함께 죽는 믿음이다. 창세기에서 두루도는 불 칼을 맞고 육적인 것이 죽어 생명나무로 들어가는 믿음이다.『이같이 하나님이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 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 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육적인 마음은 죽어야만 하는 것이다.
사도행전 3장 19절에서『그러므로 너희가 회개하고 돌이켜 너희 죄 없이 함을 받으라 이같이 하면 새롭게 되는 날이 주앞으로 부터 이를 것이요』회개해야 새롭게 되고, 새롭게 되는 날, 성령을 선물로 받는 것이다. 내가 죽을 수 밖에 없는 타락한 존재라는 것을 깨달을 때 예수님의 죽으심과 연합되는 것이다. 이것이 세례다. 그리고 예수의 피로 죄사함을 얻는 것이다. 그런 후에 성령을 받아 예수님을 향한 거룩한 성도에게 기업이 주어지는 것이다. 이 땅에서 기업이 있는 것이다. 가나안을 얻는 것이 기업이다. 이 땅에서의 기업은 믿는 믿음을 통해서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 나가는 기업이다. 주님이 십자가에 죽으려 오신 이유는 이 땅에서의 승리를 위함이었다.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를 이루기 위해서 오신 것이다. 이것이 교회의 사명이다. 성도 한 사람 한 사람 모두가 교회가 되어야 한다. 오늘날 한 사람 한 사람이 교회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회개에 합당한 열매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회개없는 사람들은 교회가 될 수 없다. 다만 회개없는 사람들이 교회라는 이름으로 모이는 장소일 뿐이다. 내가 교회가 되고 성도가 될 때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로 들어가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