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가 해를 받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야 할 것을 증언

(사도행전 17장 1-15절) 그들이 암비볼리와 아볼로니아로 다녀가 데살로니가에 이르니 거기 유대인의 회당이 있는지라 바울이 자기의 관례대로 그들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 뜻을 풀어 그리스도가 해를 받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야 할 것을 증언하고 이르되 내가 너희에게 전하는 이 예수가 곧 그리스도라 하니 그 중의 어떤 사람 곧 경건한 헬라인의 큰 무리와 적지 않은 귀부인도 권함을 받고 바울과 실라를 따르나 그러나 유대인들은 시기하여 저자의 어떤 불량한 사람들을 데리고 떼를 지어 성을 소동하게 하여 야손의 집에 침입하여 그들을 백성에게 끌어내려고 찾았으나 발견하지 못하매 야손과 몇 형제들을 끌고 읍장들 앞에 가서 소리 질러 이르되 천하를 어지럽게 하던 이 사람들이 여기도 이르매 야손이 그들을 맞아 들였도다 이 사람들이 다 가이사의 명을 거역하여 말하되 다른 임금 곧 예수라 하는 이가 있다 하더이다 하니 무리와 읍장들이 이 말을 듣고 소동하여 야손과 그 나머지 사람들에게 보석금을 받고 놓아 주니라 밤에 형제들이 곧 바울과 실라를 베뢰아로 보내니 그들이 이르러 유대인의 회당에 들어가니라 베뢰아에 있는 사람들은 데살로니가에 있는 사람들보다 더 너그러워서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므로 그 중에 믿는 사람이 많고 또 헬라의 귀부인과 남자가 적지 아니하나 데살로니가에 있는 유대인들은 바울이 하나님의 말씀을 베뢰아에서도 전하는 줄을 알고 거기도 가서 무리를 움직여 소동하게 하거늘 형제들이 곧 바울을 내보내어 바다까지 가게 하되 실라와 디모데는 아직 거기 머물더라 바울을 인도하는 사람들이 그를 데리고 아덴까지 이르러 그에게서 실라와 디모데를 자기에게로 속히 오게 하라는 명령을 받고 떠나니라 


데살로니가에서 일어난 일과, 그 다음 도시 베뢰아에서 일어난 일을 전하고 있다. 여기서도, 복음을 전하면 난관이 닥치고 그 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는 역사하시며 계속해서 복음을 더 널리 퍼지게 하시는 과정이 계속 반복되고 있음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바울 일행은 빌립보에서 암비볼리와 거기서 또 남서쪽으로 아볼로니아를 거쳐 다시 서쪽으로 데살로니가에 도착했다. 로마의 식민지였던 빌립보와는 달리 데살로니가는 자유도시였다. 독자적인 법과 제도와 세금, 행정관과 의회를 갖추고 있는 도시였다. 

데살로니가에는 빌립보와 달리 유대인의 회당이 있었다. 회당이 있는 곳에서는 의례히 거기 들어가 유대인들을 상대로 먼저 복음을 전하는 것이 바울의 전도방법이었다. 바울은 거기서 세 번의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을 했다. 그의 강론은 성경을 읽고 그 뜻을 풀어 그리스도가 해를 받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야 할 것을 증언하는 것이었다. 그리스도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방정복자의 통치와 억압의 굴레에서 그들을 해방시켜줄 구원자로, 오랫동안 기다려온 메시야를 지칭한다. 그러기에 그런 메시야가 십자가에 달려 죽는다는 것은 유대인들에게는 받아들일 수도, 이해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그런 유대인들에게 자신들 때문에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다가 다시 살아나신 나사렛 예수가 바로 그 그리스도라고 말하려면 왜 그리스도가 십자가의 고난을 받고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야 했는지를 설명해주어야 했다. 

바울은 그렇게 강론을 하고나서 말하기를『내가 너희에게 전하는 이 예수가 곧 그리스도라.』했다. 그러자 그 회당에 함께 있던 수많은 경건한 헬라인의 큰 무리와 많은 귀부인들도 권함을 받고 바울과 실라를 따르게 되었다. 유대인들이 있는 곳에서는 언제나 그랬듯이,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복음을 믿지 않는 유대인들의 반발과 그들의 선동에 따른 이방인들의 박해가 데살로니가에서도 어김없이 일어났다. 많은 경건한 헬라인들과 귀부인들이 바울 일행의 말을 따르게 되자 이를 시기한 유대인들이 시장이나 광장 등에서 불러 모은 불량배들을 데리고 떼를 지어 나타나 성 안에서 소동을 일으켰다. \

그들은 바울 일행을 영접하여 머물게 한 야손이란 사람의 집에 침입해서 바울 일행을 찾아 끌어내려 했고 그들을 발견하지 못하자 야손과 그 형제들을 끌고 읍장들 앞에 가서 소리 질러 고하기를 『천하를 어지럽게 하던 이 사람들이 여기도 이르매 야손이 그들을 맞아 들였도다. 이 사람들이 다 가이사의 명을 거역하여 말하되 다른 임금 곧 예수라 하는 이가 있다 하더이다.』라고 했다. 다른 임금을 인정한다는 것은 곧 로마 황제에 대한 반역죄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 바람에 무리와 읍장들이 다 이 말을 듣고 야단법석을 떨었으며 야손과 그 나머지 사람들은 보석금을 받고서야 놓아 주었다. 

데살로니가에서 믿게 된 형제들의 도움으로 불량배들의 손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바울과 실라는 데살로니가에서 베뢰아로 보내졌다. 또 한 번 위기를 모면한 바울 일행이었지만 어디 가나 전도를 해야 하는 그들의 열심은 지칠 줄을 몰랐다. 그들은 베뢰아에 가서도 역시 유대인의 회당으로 들어가 말씀을 전했습니다. 베뢰아 사람들은 간절한 마음으로 바울이 전하는 말씀을 듣고 그 들은 말씀의 참됨을 성경에 쓰인 말씀으로 확인하려고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는 가운데 많은 유대인과 헬라의 귀부인과 남자들이 믿게 되었다. 

바울이 베뢰아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다는 소문이 전해지자 데살로니가에 있는 유대인들은 다시 베뢰아까지와서 무리를 움직여 소동을 일으켰고, 그 때문에 바울은 실라와 디모데하고는 나중에 다시 합류하기로 하고 베뢰아에서 믿게 된 형제들의 인도를 받아 아덴으로 가게 되었다. 

데살로니가에서 바울이 회당에 들어가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 그리스도가 해를 받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야 할 것을 증언하고 말하기를 『내가 너희에게 전하는 이 예수가 곧 그리스도라』하자 경건한 헬라인의 큰 무리와 적지 않은 귀부인도 권함을 받고 바울과 실라를 따랐다고 했다. 베뢰아에 있는 사람들은 데살로니가에 있는 사람들보다 더 너그러워서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므로 그 중에 믿는 사람이 많고 또 헬라의 귀부인과 남자가 적지 아니했다고 기록한다. 

바울이 전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에 관해 듣고는 많은 헬라인들이 믿었다. 헬라인들은 철학적인 사변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다. 대단히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사람들이었다. 그런데 나사렛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든가,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난다든지 하는 말도 되지 않는 주장을 일축해버리지 않고 믿고 받아들였다는 사실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