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음성이 이르되 이리로 올라오라

(요한계시록 4장 1-11절) 이 일 후에 내가 보니 하늘에 열린 문이 있는데 내가 들은 바 처음에 내게 말하던 나팔 소리 같은 그 음성이 이르되 이리로 올라오라 이 후에 마땅히 일어날 일들을 내가 네게 보이리라 하시더라 내가 곧 성령에 감동되었더니 보라 하늘에 보좌를 베풀었고 그 보좌 위에 앉으신 이가 있는데 앉으신 이의 모양이 벽옥과 홍보석 같고 또 무지개가 있어 보좌에 둘렸는데 그 모양이 녹보석 같더라 또 보좌에 둘려 이십사 보좌들이 있고 그 보좌들 위에 이십사 장로들이 흰 옷을 입고 머리에 금관을 쓰고 앉았더라 보좌로부터 번개와 음성과 우렛소리가 나고 보좌 앞에 켠 등불 일곱이 있으니 이는 하나님의 일곱 영이라 보좌 앞에 수정과 같은 유리 바다가 있고 보좌 가운데와 보좌 주위에 네 생물이 있는데 앞뒤에 눈들이 가득하더라 그 첫째 생물은 사자 같고 그 둘째 생물은 송아지 같고 그 셋째 생물은 얼굴이 사람 같고 그 넷째 생물은 날아가는 독수리 같은데 네 생물은 각각 여섯 날개를 가졌고 그 안과 주위에는 눈들이 가득하더라 그들이 밤낮 쉬지 않고 이르기를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여 전에도 계셨고 이제도 계시고 장차 오실 이시라 하고 그 생물들이 보좌에 앉으사 세세토록 살아 계시는 이에게 영광과 존귀와 감사를 돌릴 때에 이십사 장로들이 보좌에 앉으신 이 앞에 엎드려 세세토록 살아 계시는 이에게 경배하고 자기의 관을 보좌 앞에 드리며 이르되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권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하더라

 
하늘은 영적으로 하나님 나라를 의미한다.  하나님의 보좌가 있는 곳으로 하나님의 뜻에 따른 다스림이 이루어지는 영적인 장소를 나타낸다. 『이 일 후에 내가 보니 하늘에 열린 문이 있는데 내가 들은 바 처음에 내게 말하던 나팔 소리 같은 그 음성이 이르되 이리로 올라오라 이 후에 마땅히 일어날 일들을 내가 네게 보이리라 하시더라』 사도 요한은 하늘에 열린 문을 통해 하늘 성전의 환상을 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환상에 대해 『내가 곧 성령에 감동되었더니 보라 하늘에 보좌를 베풀었고 그 보좌 위에 앉으신 이가 있는데 앉으신 이의 모양이 벽옥과 홍보석 같고 또 무지개가 있어 보좌에 둘렸는데 그 모양이 녹보석 같더라』 고 말한다.

4장에서만 보좌라는 말이 총 14번이 반복이 된다. 여기서 보좌는 하나님의 능력과 통치를 상징하는 말이다. 또한 하나님의 통치의 장엄함은 이 세상 그 어떠한 통치자의 영광과도 비교될 수가 없다. 즉, 요한이 살았던 1세기의 로마 황제의 영광도 하나님의 통치의 영광에는 전혀 비교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지개가 있어 보좌에 둘렸다고 한다. 무지개는 노아 홍수 이후로 하나님께서는 다시는 세상을 물로 심판하시지 않으시겠다는 언약의 표시였다. 그러나 무지개는 심판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고의 표시이기도 하다. 공의이시며, 심판자이신 하나님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보좌에 둘려 이십사 보좌들이 있고 그 보좌들 위에 이십사 장로들이 흰 옷을 입고 머리에 금관을 쓰고 앉았더라』고 말한다. 여기서 이십사 장로의 이십사라는 숫자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와 신약의 열 두 사도에서 가져왔기에 이십사 장로는 하나님의 백성들, 교회 공동체를 상징하는 존재다. 그리고 그들은 흰 옷을 입고 머리에 금관을 썼다고 한다. 흰 옷은 거룩함을 나타내며, 거룩은 자기를 부인하고 그리스도와 함께 죽은 자를 의미한다. 금관은 하나님 말씀으로 통치에 함께 참여함을 상징한다.

그런데 『이십사 장로들이 보좌에 앉으신 이 앞에 엎드려 세세토록 살아 계시는 이에게 경배하고 자기의 관을 보좌 앞에 드리며 이르되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권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하더라』고 말씀한다. 이십사 장로들은 하나님께서 영원하신 분이시며 창조주가 되시기에 예배를 받으시기에 지극히 합당하신 분이라고 찬송을 하는 것이다. 

사도 요한은 보좌 가운데와 보좌 주위에 네 생물을 보았는데 앞뒤에 눈들이 가득하다고 했다. 그 네 생물에 대해서 그 첫째 생물은 사자 같고 그 둘째 생물은 송아지 같고 그 셋째 생물은 얼굴이 사람 같고 그 넷째 생물은 날아가는 독수리 같은데, 네 생물은 각각 사자, 송아지, 사람, 독수리 같다고 말했다. 이 네 생물은 모든 피조물들을 상징한다. 그리고 이 네 생물 역시 이십사 장로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을 경배하고 찬양을 했다. 

『네 생물은 각각 여섯 날개를 가졌고 그 안과 주위에는 눈들이 가득하더라 그들이 밤낮 쉬지 않고 이르기를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여 전에도 계셨고 이제도 계시고 장차 오실 이시라 하고 그 생물들이 보좌에 앉으사 세세토록 살아 계시는 이에게 영광과 존귀와 감사를 돌릴 때에』라고 말한다. 세상의 모든 피조물들을 상징하는 네 생물들은 한시도 쉬지 않고 밤낮으로 거룩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며 영광과 존귀와 감사를 드린다고 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들은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하나님의 섭리에 따라 움직이는 존재들이다. 고린도전서 15장 38-44절에서 『하나님이 그 뜻대로 그에게 형체를 주시되 각 종자에게 그 형체를 주시느니라 육체는 다 같은 육체가 아니니 하나는 사람의 육체요 하나는 짐승의 육체요 하나는 새의 육체요 하나는 물고기의 육체라 하늘에 속한 형체도 있고 땅에 속한 형체도 있으나 하늘에 속한 것의 영광이 따로 있고 땅에 속한 것의 영광이 따로 있으니 해의 영광이 다르고 달의 영광이 다르며 별의 영광도 다른데 별과 별의 영광이 다르도다 죽은 자의 부활도 그와 같으니 썩을 것으로 심고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아나며 욕된 것으로 심고 영광스러운 것으로 다시 살아나며 약한 것으로 심고 강한 것으로 다시 살아나며 육의 몸으로 심고 신령한 몸으로 다시 살아나나니 육의 몸이 있은즉 또 영의 몸도 있느니라』 

예수 그리스도는 만물 위에 계시며, 만물을 충만하고 있으시다. 모든 만물이 그로부터 시작되었으며, 만물은 그를 위해 찬송하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생명체가 부활하는 것이다. 육을 가진 모든 육체는 영이신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 오직 영이 영의 몸을 입고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영의 몸을 입는 것이 바로 부활인 것이다. 모든 생명체들이 부활하기 위해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연합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이리로 올라오라고 말씀하신다.

성도는 부활을 믿고, 십자가의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사람들이다. 성도는 왜 그들이 이 땅에서 살고 있으며, 언젠가 육의 몸을 벗을 때 영적 고향인 하나님 나라로 돌아가야만 하는 것을 알고 있다. 하나님께서 거듭난 자에게 이 약속을 하신 것을 감사하고 찬송하는 이유인 것이다. 성도는 늘 깨어서 기도하는 이유는 하나님 나라로 돌아갈 존재라는 사실이다. 이 땅에서 영원히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로 돌아가야만 하는 사실을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세상에 대해서는 죽은 자같이 되라는 말씀이다. 

성도는 율법에 대해서 예수와 함께 죽임을 당한 자들이다. 그래서 죄에 대해서도 죽은 자들이다. 죄에 대해서 죽었으므로 세상에 대해서 역시 죽은 것이다. 세상을 사랑하는 자들은 죄에 대해서 죽지 않은 자들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말을 하면서, 세상을 사랑한다면 그것은 마술쟁이 시몬과 같은 자들과 같은 자들이 된다. 회개하여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려야만 하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