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불의가 죄로되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죄도 있도다
(요한1서 5장 13-21절) 내가 하나님의 아들의 이름을 믿는 너희에게 이것을 쓰는 것은 너희로 하여금 너희에게 영생이 있음을 알게 하려 함이라 그를 향하여 우리가 가진 바 담대함이 이것이니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이라 우리가 무엇이든지 구하는 바를 들으시는 줄을 안즉 우리가 그에게 구한 그것을 얻은 줄을 또한 아느니라 누구든지 형제가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죄 범하는 것을 보거든 구하라 그리하면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범죄자들을 위하여 그에게 생명을 주시리라 사망에 이르는 죄가 있으니 이에 관하여 나는 구하라 하지 않노라 모든 불의가 죄로되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죄도 있도다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는 다 범죄하지 아니하는 줄을 우리가 아노라 하나님께로부터 나신 자가 그를 지키시매 악한 자가 그를 만지지도 못하느니라 또 아는 것은 우리는 하나님께 속하고 온 세상은 악한 자 안에 처한 것이며 또 아는 것은 하나님의 아들이 이르러 우리에게 지각을 주사 우리로 참된 자를 알게 하신 것과 또한 우리가 참된 자 곧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니 그는 참 하나님이시요 영생이시라 자녀들아 너희 자신을 지켜 우상에게서 멀리하라
5장 13절『내가 하나님의 아들의 이름을 믿는 너희에게 이것을 쓰는 것은 너희로 하여금 너희에게 영생이 있음을 알게 하려 함이라』 이름을 믿는(피스튜우신 에이스 토 오노마) 으로 번역되었으나, 이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믿는 의미이고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는 믿음이다. 영생을 갖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을 때 가능한 일이다.
5장 14-15절『그를 향하여 우리가 가진 바 담대함(헤 파르레시아)이 이것이니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아이토메다) 들으심이라 우리가 무엇이든지 구하는 바를 들으시는 줄을 안즉 우리가 그에게 구한 그것을 얻은 줄을 또한 아느니라』헤파르레시아는 담대함이라기 보다, 솔직히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토메다는 여쭈어보다라는 의미다. 성도가 하나님께 솔직하게 여쭈어보는 것은 쉽지 않지만, 그 뜻대로 여쭈어보면 들으신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뜻을 따라 여쭙는 그 하나님의 뜻은 죄와 구원에 관한 것이다. 성도가 하나님께 여쭈어보고 들어시는 것을 믿는다면, 하나님이 그 여쭈어보는 것을 알려주신다는 것이다.
5장 16절『누구든지 형제가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죄 범하는 것을 보거든 구하라(아이테세이) 그리하면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범죄자들을 위하여 그에게 생명을 주시리라 사망에 이르는 죄가 있으니 이에 관하여(에케이네스) 나는 구하라(에로테세) 하지 않노라』아이테세이는 여쭙다라는 의미다.
형제가 사망에 이르지 않은 죄를 범했을 때, 형제를 위해 하나님께 여쭈어 볼 때, 하나님이 여쭈어보는 자에게 생명을 준다는 것이다. 『이에 관하여』라고 번역된 에케이네스는 생명에 관하여 라는 의미다. 에로테세는 하나님께 여쭙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구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뜻은 아들을 믿게 하는 것이고, 아들을 믿는 것은 그 아들 안에 있는 자는 모든 죄(원죄와 세상죄)를 다 사해주셨는데, 성경을 통해서 충분히 알 수 있는데, 인간적인 생각과 다른 사람들에게 물어본 결과로 자기들 생각대로 믿는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에게 모든 죄(원죄와 세상죄)를 다 사해주시겠다고 약속하셨는데, 믿지 않으면 그에게는 죄가 그대로 있으며, 구원받지 못한다. 원죄는 하나님처럼 되고 싶었던 그 탐욕이 원죄다. 그래서 회개하여 예수와 같이 죽은 자가 되어 하나님께 돌아올 때,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의 원죄를 다 사해주셨다. 그런데, 하나님 약속을 믿지 않는 자는 미래에 발생할 세상죄는 용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계속 발생하는 세상죄에 대해서 예수의 피를 요구하는 것이다. 예수님이 흘리신 피는 단 한번에 모든 효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더 이상 십자가에서 죽을 수 없는 것이다. 히브리서 10장 17-18절에서『또 그들의 죄와 그들의 불법을 내가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리라 하셨으니 이것들을 사하셨은즉 다시 죄를 위하여 제사드릴 것이 없느니라』 동물을 죽여서 희생제사를 드리듯이 죄를 지을 때마다 예수의 피로 용서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죄는 예수와 함께 우리의 옛사람이 죽었는가 아닌가의 문제이다. 이것이 믿음인 것이다.
그런데, 사망에 이르지 않는 죄는 세상에서 짓는 죄다. 이 세상죄는 부활하신 주님이 중보자로서 대제사장으로서 성부 하나님께 보좌로 나아갔으므로, 그리스도와 함께 죽은 자에 대해서는 이미 다 사함을 받았다는 것이다. 과거 현재 미래의 죄까지도 다 가지고 가셨다. 다만 전제는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은 자에 대해서 그렇게 하겠다는 것이다. 로마서 6장 7절에서 죽은 자가 죄에서 벗어난다고 말씀하셨으며, 로마서 8장 1절에서 다시는 죄를 묻지 않겠다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성도는 이 부분에 대해서 형제의 잘못을 보거든, 먼저 형제가 예수와 함께 죽은 자가 되어야 함을 말해주고, 육의 몸이 죽고, 성령으로 거듭난 자에게 하나님이 죄 없음을 보증한다고 설명해주어야 한다.
5장 17-18절『모든 불의가 죄로되 사망에 이르지 아니하는 죄도 있도다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게겐네메노스)는 다 범죄하지 아니하는 줄을 우리가 아노라 하나님께로부터 나신 자가 그를(아우톤) 지키시매(테레이) 악한 자가 그를 만지지도 못하느니라』게겐네메노스는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다. 테레이는 붙잡다 라는 의미다. 아우톤은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그래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예수님을 단단히 붙잡고 있으므로 죄를 범하지 않는다. 예수를 단단히 붙잡는다는 말은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것과 죽은 자는 죄에서 벗어난다는 것을 단단히 믿는 것이다. 날마다 십자가를 바라보면서 죽는 자가 되는 것이다.
5장 20절『또 아는 것은 우리는 하나님께 속하고(에크 투 데우) 온 세상은 악한 자 안에 처한 것이며 또 아는 것은 하나님의 아들이 이르러 우리에게 지각(디아노이안)을 주사 우리로 참된 자를 알게(기노스코멘) 하신 것과 또한 우리가 참된 자 곧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니 그는 참 하나님이시요 영생이시라 자녀들아 너희 자신을 지켜 우상에게서 멀리하라』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나온(태어난)자라는 의미다. 디아노이안은 하나님의 아들과 소통하는 것이다. 기노스코멘은 히브리어 야다와 같은 의미다. 부부가 서로 알듯이 그런 관계를 의미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