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도 산 돌 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고
(베드로전서 2장 1-10절) 『그러므로 모든 악독과 모든 기만과 외식과 시기와 모든 비방하는 말을 버리고 갓난 아기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 이는 그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 너희가 주의 인자하심을 맛보았으면 그리하라 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께 나아가 너희도 산 돌 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기쁘게 받으실 신령한 제사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성경에 기록되었으되 보라 내가 택한 보배로운 모퉁잇돌을 시온에 두노니 그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하지 아니하리라 하였으니 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믿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건축자들이 버린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 또한 부딪치는 돌과 걸려 넘어지게 하는 바위가 되었다 하였느니라 그들이 말씀을 순종하지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그들을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너희가 전에는 백성이 아니더니 이제는 하나님의 백성이요 전에는 긍휼을 얻지 못하였더니 이제는 긍휼을 얻은 자니라』
2장 1-2절『그러므로 모든 악독과 모든 기만과 외식과 시기와 모든 비방하는 말을 버리고 갓난 아기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토 로기콘) 젖을 사모하라 이는 그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소테리안)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 로기콘은 로고스에서 유래된 단어로서 말씀에서 나온 젖(생명)이다. 소테리안은 구원으로 번역되었지만, 문맥상 하나님 나라를 상속받는 것에 이른다는 의미다. 결국 하나님 나라 상속자가 되도록 순전하고 생명이신 하나님 말씀을 먹으라는 것이다.
2장 3-5절『너희가 주의 인자하심을 맛보았으면 그리하라 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께 나아가 너희도 산 돌 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기쁘게 받으실 신령한(프뉴마티카스) 제사(뒤시아스)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돌은 성전을 건축할 때 사용하는 돌을 의미한다. 예루살렘 성전은 돌로 지어졌다. 그런데, 그 돌은 생명이 없는 돌이다. 생명이 있는 돌이 산 돌이다. 생명이 있는 성전 곧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성도 안에도 성령이 임하시는 성전이 있다. 그리고 성도들 간의 공동체가 교회로서 성전이다. 교회 건물이 아니라, 성도들 간의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래서 성도들도 산 돌과 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라는 것이다.
프뉴마티카스는 영적인, 뒤시아스는 제물이다. 성도는 자신을 영적 제물로 드리는 자가 된다. 거룩한 산 제물인 것이다. 그래서 제사장이 된다. 만인제사장이라는 말은 성도 모두가 제사장이라는 의미다. 그래서 목회자만 제사장이고, 신도들은 제사장을 따르는 자라는 인식을 버려야만 하는 것이다. 만일 그런 교회가 있다면, 그것은 구약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마틴 루터는 종교개혁에 대해서 두가지를 핵심 과제로 여겼다. 오직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 것과 만인제사장을 강조했다.
2장 6절『성경에 기록되었으되 보라 내가 택한 보배로운 모퉁잇돌을 시온에 두노니 그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하지 아니하리라 하였으니』다윗성이 있던 곳이 시온이다. 일반적으로 성전은 예루살렘 성전을 의미하는데, 베드로는 성전되는 성도를 시온에 둔다고 말한 것이다. 다윗의 믿음과 연결시키려고 한 것이다. 지성소 안에 언약궤가 있으며, 언약궤 안에는 십계명의 두 돌판과 아론의 싹난 지팡이와 맛나가 든 항아리가 있었다. 그리고 언약궤 위에는 두 천사 모양의 것(그룹:케르빔)이 있다. 두 천사 가운데는 하나님의 보좌를 상징하는데, 시은좌(은혜의 보좌)라고 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언약궤의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했다. 그저 그들을 보호하는 존재로 여기는 정도였다. 심지어 엘리 대제사장 시절 언약궤를 전쟁의 방어막으로 사용하다가 적에게 빼앗기는 사건이 발행했는데, 언약궤를 빼앗은 적군도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돌려보내려고 하다가 사람들이 죽고 다치는 일이 발생한다. 이스라엘 중에서 가장 언약궤를 소중하게 여긴 자가 바로 다윗이다. 다윗은 언약궤가 돌아올 때 춤을 추고 직접 영접한 한 것이다. 그리고 다윗은 언약궤를 모시고, 주님과 대화를 하는 것이다. 모퉁이 돌은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시온에 두었다는 말은 시온성에 두었다는 것이 아니라, 다윗과 같이 말씀을 사모하고 지성소의 은혜의 보좌에 나가기를 원하는 자에게 다가간다는 의미다.
2장 7-8절『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믿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건축자들이 버린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 또한 부딪치는 돌과 걸려 넘어지게 하는 바위가 되었다 하였느니라 그들이 말씀(토 로고)을 순종하지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그들을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믿는 자는 모퉁이 머릿돌이 보배로운 말씀(그리스도)이나, 믿지 않는 자에게는 그냥 하나의 돌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의미상으로는 『그 돌이 (믿는 자에게)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로서 (믿는 자에게)라는 것이 들어있다. 토 로고는 말씀이신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오늘날에도 말씀을 성경책에 기록된 말씀으로 여긴다. 그냥 성경 말씀을 읽는 정도로 그치는 것이다. 그래서 성도의 마음에 성령으로 역사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지 못하는 것이다.
2장 9절『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네가지로 말한다. 택하신 족속, 왕 같은 제사장, 거룩한 나라, 하나님의 백성이다. 제사장은 하나님과 죄인 사이의 중보자 역할을 했다. 동물을 죽여 그 피를 가지고 성소에 들어가므로 제사장이 죄인의 대리자로, 그리고 제사장은 하나님의 죄 용서를 주시는 은혜의 중보자로 역할을 한 것이다. 그런데, 예수님이 부활하시고 대제사장으로서 하나님께 직접 나아갔으며, 그 분이 또한 성부 하나님 우편에 앉으시므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도 중보자로서 하나님께 직접 나아가는 제사장이 되는 것이다. 정체성을 말한 이유는 어두움(사탄:죄의 근원)에서 불러내고, 기이한 빛(하나님의 의)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2장 10절『너희가 전에는 백성이 아니더니 이제는 하나님의 백성이요 전에는 긍휼을 얻지 못하였더니 이제는 긍휼을 얻은 자니라.』율법을 지키려고 한 유대인들은 율법주의에 빠져, 율법을 지키기만 하면 하나님의 의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제사를 통해서 하나님을 떠난 죄인임 깨닫고, 장차 오실 그리스도가 아니면 하나님의 의에 이를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고백할 때,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보내시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긍휼인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