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왕을 존대하라

(베드로전서 2장 11-25절) 사랑하는 자들아 거류민과 나그네 같은 너희를 권하노니 영혼을 거슬러 싸우는 육체의 정욕을 제어하라 너희가 이방인 중에서 행실을 선하게 가져 너희를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자들로 하여금 너희 선한 일을 보고 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 인간의 모든 제도를 주를 위하여 순종하되 혹은 위에 있는 왕이나 혹은 그가 악행하는 자를 징벌하고 선행하는 자를 포상하기 위하여 보낸 총독에게 하라 곧 선행으로 어리석은 사람들의 무식한 말을 막으시는 것이라 너희는 자유가 있으나 그 자유로 악을 가리는 데 쓰지 말고 오직 하나님의 종과 같이 하라 뭇 사람을 공경하며 형제를 사랑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왕을 존대하라 사환들아 범사에 두려워함으로 주인들에게 순종하되 선하고 관용하는 자들에게만 아니라 또한 까다로운 자들에게도 그리하라 부당하게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이는 아름다우나 죄가 있어 매를 맞고 참으면 무슨 칭찬이 있으리요 그러나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그는 죄를 범하지 아니하시고 그 입에 거짓도 없으시며 욕을 당하시되 맞대어 욕하지 아니하시고 고난을 당하시되 위협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공의로 심판하시는 이에게 부탁하시며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 너희가 전에는 양과 같이 길을 잃었더니 이제는 너희 영혼의 목자와 감독 되신 이에게 돌아왔느니라 

2장 11절『사랑하는 자들아 거류민과 나그네 같은 너희를 권하노니 영혼을 거슬러 싸우는 육체(사르키콘)의 정욕(에피뒤미온)을 제어하라』거류민과 나그 같은 너희들에 대해서, 표면적으로는 세상이 마치 광야 같은 삶이라는 의미도 있으나, 이면적으로는 너희는 하나님 나라를 떠나 세상에 나그로 사는 자들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사르키콘은 육체가 아니라, 육신(자기의 의)을 의미한다. 에피뒤미온은 열정이다. 자기의 의(우상)를 이루려고 하는 것을 그만두라는 것이다. 베드로는 유대 율법주의자들을 염두에 두고 그들이 율법을 통해서 하나님의 이를 이루려고 하지만 그것은 자기의 의에 불과하다는 말이다. 

2장 12절『너희가 이방인 중에서 행실을 선하게(칼렌) 가져 너희를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자들로 하여금 너희 선한 일(아나스트로펜)을 보고 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칼렌은 가치있는 것을 행하는 것이다. 아나스트로펜은 『위에서 변화된』것이다. 위에서 변화된 것을 가치있게 가지라는 말이다. 성령으로 거듭난 자들은 땅에서 가치있는 삶을 산다. 결국 이땅에서는 나그네지만 본향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약속을 바라보며,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가치있는 삶이다. 그래서 전하는 자들이나, 복음을 듣는 자들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된다. 

2장 13-15절『인간의 모든 제도를 주를 위하여 순종하되(휘포타게테) 혹은 위에 있는 왕이나 혹은 그가 악행하는 자를 징벌하고 선행하는 자를 포상하기 위하여 보낸 총독에게 하라 곧 선행으로 어리석은 사람들의 무식한 말을 막으시는 것이라』휘포타게테는 수동형으로 복종되어지는 것이다. 인간의 모든 제도는 왕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위한 제도로 여겨져야 한다. 그래서 주의 음성을 듣고 주님이 하신 말씀대로 왕에게 복종되어지라는 것이다. 세상의 왕은 사탄을 의미한다. 사탄도 하나님으로부터 세상을 지배할 수 있는 권한을 일정기간 부여받았다. 육체가 있는 이상 사탄으로부터 지배를 받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주의 말씀 속에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만드신 질서에 순응하기 위함이다. 

2장 16절『너희는 자유(엘류데로이)가 있으나 그 자유로 악을 가리는 데 쓰지 말고 오직 하나님의 종과 같이 하라』엘류데로이는 세상에서 자유한 자라는 의미다. 하나님 백성이 죄로부터 자유한 자라고 생각해서, 자유하기 때문에, 이제 죄가 없다고 생각해서 악을 저지르는 그런 짓을 하지 말고, 하나님의 종으로 자기를 쳐서 삶을 유지하라는 것이다.  

2장 17-18절『뭇 사람을 공경하며(티메사테) 형제(아델포테타)를 사랑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왕(바실레아)을 존대하라 사환들아 범사에 두려워함으로 주인들에게 순종하되 선하고 관용하는 자들에게만 아니라』뭇사람을 공경하라는 테메사테는 모든 사람들 중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하나님께 돌이키는 자를 공경하라는 것이다. 그런 사람을 공경하면서, 하나님 말씀으로 교제를 나누라는 말이다. 아델포테타는 같은 성도인 형제를 의미한다. 바실레아는 하나님이신 왕을 의미한다. 

2장 19- 21절『또한 까다로운 자들에게도 그리하라 부당하게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이는 아름다우나 죄가 있어 매를 맞고 참으면 무슨 칭찬이 있으리요 그러나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그리스도인들이 살아가는 자세를 의미한다. 그 자세를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는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받은 고난을 생각하면서 참으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 고난을 통해서 복음의 씨를 뿌릴 수 있는 것이다. 

2장 22-24절『그는 죄를 범하지 아니하시고 그 입에 거짓도 없으시며 욕을 당하시되 맞대어 욕하지 아니하시고 고난을 당하시되 위협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공의로 심판하시는 이에게 부탁하시며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예수님은 성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서 죽으신 것이다. 그 순종은 모든 인간의 죄를 속량하기 위함이었다. 하나님을 떠난 존재들이 하나님께 다시 돌아오기 위해서는 죄의 문제를 해결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을 대신해서 십자가에서 죽는 것이다. 그리고 그 십자가에서 죽은 예수와 연합하는 믿음을 가진 자를 죄에서 건지시겠다는 의미다. 여기에서 믿음은 바로 예수와 함께 죽고, 함께 부활하는 믿음인 것이다. 죄에 대해서 십자가에서 죽고, 의에 대해서 예수와 함께 부활하는 것을 믿는 것이다.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그래서 교회에서 치유사역을 강조하기도 한다. 표면적으로는 병을 치유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면적으로는 모든 인간은 하나님께 대하여 영적으로 병든 자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하여, 영적으로 회복됨을 말해주고 있다. 

2장 25절『너희가 전에는 양과 같이 길을 잃었더니 이제는 너희 영혼(프쉬콘:혼)의 목자와 감독 되신 이에게 돌아왔느니라』잃어버린 양과 목자와의 관계에 대해서 말한다. 양들은 하나님을 떠난 영들이다. 하나님을 떠난 영들은 탐욕이라는 우상으로 오염된 혼의 결과로 영이 죽어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 혼 속에서 되살아난 영들이 목자이신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