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이름으로 말한 선지자들을 고난과 오래 참음의 본으로 삼으라

주의 이름으로 말한 선지자들을 고난과 오래 참음의 본으로 삼으라

 
(야고보서 5장 1-11절) 들으라 부한 자들아 너희에게 임할 고생으로 말미암아 울고 통곡하라 너희 재물은 썩었고 너희 옷은 좀먹었으며 너희 금과 은은 녹이 슬었으니 이 녹이 너희에게 증거가 되며 불 같이 너희 살을 먹으리라 너희가 말세에 재물을 쌓았도다 보라 너희 밭에서 추수한 품꾼에게 주지 아니한 삯이 소리 지르며 그 추수한 자의 우는 소리가 만군의 주의 귀에 들렸느니라 너희가 땅에서 사치하고 방종하여 살륙의 날에 너희 마음을 살찌게 하였도다 너희는 의인을 정죄하고 죽였으나 그는 너희에게 대항하지 아니하였느니라 그러므로 형제들아 주께서 강림하시기까지 길이 참으라 보라 농부가 땅에서 나는 귀한 열매를 바라고 길이 참아 이른 비와 늦은 비를 기다리나니 너희도 길이 참고 마음을 굳건하게 하라 주의 강림이 가까우니라 형제들아 서로 원망하지 말라 그리하여야 심판을 면하리라 보라 심판주가 문 밖에 서 계시니라 형제들아 주의 이름으로 말한 선지자들을 고난과 오래 참음의 본으로 삼으라 보라 인내하는 자를 우리가 복되다 하나니 너희가 욥의 인내를 들었고 주께서 주신 결말을 보았거니와 주는 가장 자비하시고 긍휼히 여기시는 이시니라 

5장 1절『들으라(아게) 부한 자들아 너희에게 임할 고생(탈라이포리아이스)으로 말미암아 울고 통곡하라』아게는 돌아오라 라는 의미다. 탈라이포리아이스는 비참함이다. 둘째 사망에 들어가 심판을 받는 비참함이다. 부한 자들은 탐욕에 찌든 교역자를 의미한다. 

5장 2-3절『너희 재물은 썩었고 너희 옷은 좀먹었으며 너희 금과 은은 녹이 슬었으니 이 녹이 너희에게 증거가 되며 불 같이 너희 살(타스 사르카스)을 먹으리라(파게타이)너희가 말세에 재물을 쌓았도다』살(몸)이라고 번역된 것은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먹었다는 것은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을 막았다는 의미다. 무엇이 그렇게 했는가 하면, 탐욕이 그렇게 했다는 것이다. 

5장 4-5절『보라 너희 밭에서 추수한 품꾼에게 주지 아니한 삯이 소리 지르며 그 추수한 자의 우는 소리가 만군의 주의 귀에 들렸느니라 너희가 땅에서 사치하고 방종하여 살륙의 날에 너희 마음을 살찌게 하였도다 』세상에서 탐욕스럽게 부자가 되는 사람은 일꾼에게 정당한 삯을 주지 않고 착취하여 부를 획득한다. 마찬가지로, 영적으로도 하나님 말씀으로 신도들을 양육하지도 않으면서, 각종 명목으로 돈을 헌금하게 하여 자신들의 이익에 치부했다는 것이다. 

5장 6절『너희는 의인(톤 디카이온)을 정죄하고 죽였으나 그는 너희에게 대항하지 아니하였느니라』톤 디카이온은 표면상으로 의인으로 번역되었으나,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 백성이라고 자처하는 율법주의 바리새인들이 십자가에서 죽였듯이, 교회 안에서도 인본주의, 율법주의, 영지주의에 물든 교회 지도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죽였다는 의미다.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는 그들을 대항하지 않고, 오래 참으사 돌아오기를 기다린다는 것이다. 

5장 7-8절『그러므로 형제들아 주께서 강림하시기(파루시아스)까지 길이 참으라(마크로뒤메사테) 보라 농부가 땅에서 나는 귀한 열매를 바라고 길이 참아 이른 비와 늦은 비를 기다리나니 너희도 길이 참고(마크로뒤메사테) 마음을 굳건하게 하라 주의 강림(파루시아스)이 가까우니라』마크로뒤메사테는 고통을 참는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교회 외부로부터 오는 고통이 아니라, 교회 안에서 나타난 엄청난 갈등(율법주의, 영지주의 등)으로 인해서 성도들이 받는 고통을 의미한다. 서로 이 교리가 옳다 저 교리가 옳다는 식으로 다툼이 발생한다. 그래서 예수님의 재림때까지 참으라는 것이다. 재림으로 번역된 파루시안은 파라(옆에서)와 루시안(존재하다, 있다)의 합성어로서, 성도의 심령 속에 호로고스가 들어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로고스가 심령 속으로 들어오면, 잘못된 것들(율법주의, 영지주의)을 깨닫고, 바른 신앙의 길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호로고스가 들어오는 것을 이른 비와 늦은 비로 비유하며 설명한다. 이스라엘이 있는 팔레스타인 지역은 늦가을에 모내기를 하는데, 그 때 내리는 비가 이른 비다. 그리고 이듬해 봄까지 건기가 진행되다가 다시 비가 내리는데, 이게 늦은 비다. 그래서 이른 비와 늦은 비가 내려야만 농사가 잘되는 것이다. 호로고스가 성도의 심령에 들어오는 것은 두번의 은혜를 받는다. 이른 비는 성령으로 거듭날 때의 구원의 성령을 의미하며, 늦은 비는 성령세례의 보혜사 성령을 의미한다. 비는 성령을 의미하는 것이다.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호로고스가 성도의 심령에 들어오는 것이다. 

5장 9절『형제들아 서로 원망하지 말라 그리하여야 심판(크리데데)을 면하리라 보라 심판주(호 크리테스』가 문 밖에 서 계시니라』크리데데는 종말 때의 심판이라기 보다 성도의 심령 속에서 호 로고스의 판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어느 가정에서 자녀들이 싸울 때 부모가 판단해주는 것처럼, 교회 안에서 성도간에 다툼이 있을 때, 호 로고스께서 판단해주시는 것이다. 호 크리스테도 호 로고스(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5장 10절『형제들아 주의 이름(토 오노마이 퀴리오)으로 말한 선지자들을 고난과 오래 참음(마크로디메사테)의 본으로 삼으라』선지들에게 말씀하신 분은 호 로고스라는 말이다. 즉 토 오노마이 퀴리오이신 여호와가 선지자들에게 말씀하신 것이다. 선지자들을 핍박한 것은 하나님과 상관없는 자들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 중에서 선지자들을 핍박하는 것이다. 이런 일이 이스라엘 안에서 벌어지는 것이다. 선지자들이 고난과 오래참음은 백성들이 깨닫고 하나님께로 돌아서기를 바라기 때문이었다. 마크로디메사테는 외부에서 마음에 들어오는 고통의 원인을 참으라는 것이다. 

5장 11절『보라 인내(휘포모넨)하는(휘포메이난타스) 자를 우리가 복되다 하나니 너희가 욥의 인내를 들었고 주께서 주신 결말을 보았거니와 주는 가장 자비하시고 긍휼히 여기시는 이시니라』휘포모넨은 하나님의 보좌에 나아가 머무는 것이다. 5장 10절의 오래 참음(마크로디메사태)과 5장 11절의 인내(휘포모네)는 의미상으로 전혀 다른 이야기다. 야고보는 신앙의 가장 핵심을 휘포모네인 것으로 말하고 있다. 

하나님의 보좌에 나아가 머무는 것에 대해서, 욥의 비유를 들었다. 욥은 마크로디메사테를 잘한 자가 아니라, 휘포모네를 잘한 자라는 것이다. 욥은 엄청난 시련을 겪는다. 그러나 그 시련을 잘 견디고 인내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그 와중에서 휘포모네를 하고 있음을 하나님이 칭찬하는 것이다. 그래서 주님이 자비를 베푸시는 것이다. 물론 욥은 처음부터 휘포모네를 잘한 자는 아니다. 욥도 고난 속에서 아내로부터 비난을 듣고, 하나님을 원망하기도 했지만, 친구들과 대화 과정을 통해서 회개하고 하나님께 휘포모네하는 과정을 성경은 보여준다. 

야고보는 유대인 신자들을 상대로 너희가 욥의 휘포모네에 대해서 잘 알고 있지 않느냐 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이 휘포모네하는 자들에게 자비와 긍휼을 주시는데, 교회 안에서 교리적인 문제로 다투지 말고 먼저 휘포모네를 하면 하나님이 이 모든 것을 판단하고 정리해 주실 것이다 라고 말을 하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