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대적하시되
(베드로전서 5장 1-14절) 『너희 중 장로들에게 권하노니 나는 함께 장로 된 자요 그리스도의 고난의 증인이요 …………바벨론에 있는 교회가 너희에게 문안하고 내 아들 마가도 그리하느니라 너희는 사랑의 입맞춤으로 서로 문안하라 그리스도 안에 있는 너희 모든 이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5장 1절『너희 중 장로들에게 권하노니 나는 함께 장로 된 자요 그리스도의 고난(파데마톤)의 증인이요 나타날 영광에 참여할 자니라』파데마톤은 고난이라기 보다 수난이다. 육체적 고난이 아니라, 인간을 구원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수난이다. 여기서 장로는 오늘날의 직분으로서의 장로가 아니라 교회에서 기능적으로 지도력을 보이는 어른들을 뜻한다. 베드로는 자신이 사도임에도 불구하고 권위를 내세우기보다 자기가 다른 장로들과 동일하게 교회를 섬기는 자임을 말하면서, 자신이 그리스도의 고난(수난)의 증인이며 장차 그 영광을 보게 될 자라고 소개함으로써 장로는 누구보다도 더 많이 고난(수난)으로 부름을 받은 자라고 강조했다. 고난(수난)의 증인은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그 목적을 이어가는 자라는 의미다.
5장 2-4절『너희 중에 있는 하나님의 양 무리를 치되 억지로(아난카스토스) 하지 말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카타 데온) 자원함으로 하며 더러운 이득(아이스케로크로도스)을 위하여 하지 말고 기꺼이 하며 맡은 자들에게 주장하는 자세를 하지 말고 양 무리의 본이 되라 그리하면 목자장이 나타나실 때에 시들지 아니하는 영광의 관(스테파논:왕관)을 얻으리라』아난카스토스는 강제로 라는 의미다. 카타 데온을 하나님의 뜻이라고 번역되었는데,『하나님 아래서』라는 의미다. 아이스케로크로도스는『더러운 이를 탐하여』라는 말이다. 더러운 이는 사탄을 의미한다. 즉 탐욕을 가지고 라는 말이다. 그래서 강제로 말씀을 먹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원하는 마음으로 섬기고, 또 탐욕적인 마음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양 무리인 성도들을 사랑하며 즐거이 섬기고자 하는 마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충성스럽게 섬긴 장로들은 목자장이신 그리스도께서 돌아오실 때 그의 영광에 동참할 것이며, 시들지 않을 왕관을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5장 5절『젊은 자들아(베오테로이) 이와 같이 장로(프레스뷔테로이스)들에게 순종하고 다 서로 겸손으로 허리를 동이라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대적하시되 겸손한 자들에게는 은혜를 주시느니라』프레스뷔테로이스는 연장자(교회에 오래 다닌 자)를 의미한다. 그 당시 나이가 많은 사람들을 장로로 세운 것이다. 베오테로이는 새로이 라는 말로 교회에 들어온지 얼마 안되는 사람을 의미한다. 즉 연령적으로 나이가 어린 사람들만이 아니라, 영적으로 어려서 영적지도자들의 지도를 받아야 하는 신도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베드로는 그런 겸손과 낮아짐을 장로들에게만 요구한 것이 아니다. 장로들이 겸손한 태도로 다스려야 한다면, 초신자들 역시 겸손히 따라야 한다.
베드로는『다 서로 겸손으로 허리를 동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허리를 동인다는 것은 종이 주인을 시중들기 위하여 앞치마를 두르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이어서 베드로는 잠언 3장34절을 인용하여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겸손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밝히는데, 하나님께서는 교만한 자들을 대적하시고, 반면에 겸손하여 하나님만을 의지하며 사람들 앞에서 겸손한 자들에게는 은혜를 주시기 때문이다. 교만은 하나님을 의뢰하지 않고 자신의 능력만을 믿어 자기의 의를 나타내려고 하는 자기 우상이다. 하나님은 이런 자들을 마치 전쟁터의 적군처럼 대적하고 파멸시키신다는 것이다.
5장 6-7절『그러므로 하나님의 능하신 손 아래(휘포)에서 겸손하라 때가 되면 너희를 높이시리라 너희 염려를 다 주께(엔 오톤)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휘포는 『~에 의해서』다. 하나님의 강한 손 아애서 겸손해져라는 말이다. 주께라고 번역된 『엔 오톤』은『그의 위에』라는 말이다. 지성소 안에는 언약궤가 있고 그 위에 두 그룹(케르빔) 천사가 있으며, 천사가 지키는 그 가운데를 시은소라고 부르는데, 죄인들을 대신하여 죽은 동물의 피를 여기에 붓고, 하나님의 죄용서 은혜를 바라는 것이다. 모든 염려를 그 위에 다 부으라는 것이다.
5장 8절『근신하라(네프사테) 깨어라(그래고레사태) 너희 대적 마귀(디아볼로스)가 우는 사자 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네프사테는 술취하지 말라는 것이다. 술취하는 것은 세상에 빠져버린 자를 의미한다. 그래고레사태는 지켜보다라는 것이다. 자신이 영적으로 어떤 상태인가를 스스로 살펴보라는 것이다. 디아볼로스는 마귀라기 보다 중상모략하는 자들이다. 교회 안에 성령세례 받지 않은 자들이 성령세례를 받은 자에게, 성령에 대해서 잘 모르면서 중상모략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것에 말려들지 말라는 것이다.
5장 9절 『너희는 믿음을 굳건하게 하여 그를 대적하라(안티스테테:대항하여 싸우다) 이는 세상(코스모:질서)에 있는 너희(휘몬:너는) 형제들(아델포테티:형제애)도 동일한(아우타:그는) 고난(파테만톤:어려움)을 당하는(에피텔레이스타이:성취하다) 줄을 앎이라』 이를 다시 해석해보면, 『너는 그가 (교회)질서 속에서, 형제애를 발휘하고, (교회의) 어려움을 성취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너는 그를 굳건한 믿음에서 그가 주장하는 잘못된 신앙에 대해서 싸워라』는 것이다.
5장 10절『모든 은혜의 하나님 곧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부르사 자기의 영원한 영광에 들어가게 하신 이가 잠깐 고난을 당한 너희를 친히 온전하게 하시며 굳건하게 하시며 강하게 하시며 터를 견고하게 하시리라』 여기서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부르사 자기의 영원한 영광에 들어가게 하신 이』에 대한 헬라어 원어를 보면 『Καλέσας (카레사스:부르다) ὑμᾶς(휴마스:너는) εἰς(에이스:안으로) τὴν(관사) αἰώνιον(아이오니온:시작과 끝이 없는) αὐτοῦ(아우토우:그는) δόξαν(도잔:광채) ἐν Χριστῷ (엔 크리스토:그리스도 안에서)』이 문장은 모든 은혜의 하나님에 대한 설명이다.『그리스도 안에서 시작도 없고 끝도 없는 영광 안으로 너를 부르시는』하나님이다. 들어가게 하는 것이 아니라 부르시는 것이다. 잠깐 고난이라고 반역된 것은 올리곤(작은) 파돈타스(수난)으로 작은 수난이다. 즉 교회 안에서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자에게 거듭남에 대해서 설명하는 작은 수난을 의미한다. 그래서 가끔 비난도 받는다.
5장 11-14절『권능이 세세무궁하도록 그에게 있을지어다 아멘 내가 신실한 형제로 아는 실루아노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간단히 써서 권하고 이것이 하나님의 참된 은혜임을 증언하노니 너희는 이 은혜에 굳게 서라 택하심을 함께 받은 바벨론에 있는 교회가 너희에게 문안하고 내 아들 마가도 그리하느니라 너희는 사랑의 입맞춤으로 서로 문안하라 그리스도 안에 있는 너희 모든 이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바벨론에 있는 교회는 로마에 있는 교회를 의미한다. 베드로의 믿음의 아들인 마가가 바울이 로마에 있을 때 같이 있었다는 점(골로새서 4:10)과 유대인들이 그 당시 로마를 바벨론으로 칭했던 점, 요한계시록 17장 5절과 18장 2절에서도 바벨론에 대한 내용이 등장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