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보배롭고 지극히 큰 약속을 우리에게 주사

(베드로후서 1장 1-11절)『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며 사도인 시몬 베드로는 우리 하나님과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힘입어 동일하게 보배로운 믿음을 우리와 함께 받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과 우리 주 예수를 앎으로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지어다 그의 신기한 능력으로 생명과 경건에 속한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셨으니 이는 자기의 영광과 덕으로써 우리를 부르신 이를 앎으로 말미암음이라 이로써 그 보배롭고 지극히 큰 약속을 우리에게 주사 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너희가 정욕 때문에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여 신성한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게 하려 하셨느니라 그러므로 너희가 더욱 힘써 너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지식에 절제를,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을, 경건에 형제 우애를, 형제 우애에 사랑을 더하라 이런 것이 너희에게 있어 흡족한즉 너희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알기에 게으르지 않고 열매 없는 자가 되지 않게 하려니와 이런 것이 없는 자는 맹인이라 멀리 보지 못하고 그의 옛 죄가 깨끗하게 된 것을 잊었느니라 

1장 1절『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며 사도인 시몬 베드로는 우리 하나님과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힘입어 동일하게(이소티몬) 보배로운 믿음(피스틴)을 우리와(혜민) 함께 받은(라쿠신) 자들에게 편지하노니』 베드로전서의 주제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같이 성도도 그리스도를 전하기 위해 힘든 여정이지만 수난을 이겨내야 한다는 말씀이 주된 내용이었다. 베드로후서의 주제는 하나님을 아는 관계(에피 그노세이)를 나타내고, 종이며 사도된 하나님의 사람으로서 권면된 내용이다. 

편지를 받는 사람들에게 표현하기를 『동일하게(이소티몬) 보배로운 믿음(피스틴)을 우리와(혜민) 함께 받은(라쿠신) 자들이라』고 했다. 베드로가 수신자에게 같은 믿음을 소유한 자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것이다. 피스틴은 보배로운 믿음이 아니라 그냥 믿음이다. 믿음은 하나님과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힘입어 얻어진 믿음이다. 

1장 2절『하나님과 우리 주 예수를 앎으로(엔 에피그노세이)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지어다(플레뒨데이에)』에피(강조) 그노세이(알다)에서, 알다라는 말은 히브리어 야다로서 서로 관계로 하나가 되어 아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관계를 맺어 아는 그 관계 안에서 』플레뒨데이에는 성령 세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 세례를 받은 후, 하나님의 상속자가 되는 은혜가 주어지는데, 그 은혜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1장 3절『그의 신기한 능력(테스:그, 데이아스:신적인, 뒤나메오스:능력의)으로 생명과 경건에 속한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셨으니 이는 자기의 영광과 덕으로써(아레테) 우리를 부르신 이를 앎으로 말미암음이라』 테스 데이아스 뒤나메오스는 그의 신적인 능력의 라는 의미다. 생명과 경건에 속한 신적인 능력이다. 이 신적인 능력은 우리를 부르신 이를 앎으로 라고 번역되었는데, 디아 테스 에피그노세오스(온전한 지식을 통하여:하나님과 하나가 되는 관계) 신적 능력을 주신다. 아레테는 탁월함을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실제로 하나님의 생명에 관한 능력을 주시고, 그 능력을 통해서 세상을 구원하시겠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성도 안에서 역사하실 때 그 능력이 나타난다. 신기한 능력은 신성을 의미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신성을 받았다고 말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잘못 이해하고, 신비주의에 빠져서 오히려 영지주의에 빠지는 그런 경우도 있다. 은사로 역사하시는 분은 그리스도이시다. 그런데, 그런 은사를 받은 사람이 자기가 은사의 주체인 것처럼 행동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단이 생기는 것이다. 

1장 4절『이로써 그 보배롭고 지극히 큰 약속(에팡켈마타)을 우리에게 주사 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너희가 정욕 때문에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여 신성한 성품에 참여하는(데이아스 코이노노이 퓌세오스) 자가 되게 하려 하셨느니라』 에팡켈미타라는 약속ㅇ니데, 하나님 나라를 상속으로 주시려는 약속이다. 『데이아스(신) 코이노노이(참여하다) 퓌세오스(본성)』는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신의 본성(신성)에 참여하는 것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신의 성품은 마치 인격적 의미를 나타내지만, 신성은 하나님의 능력 그 자체이시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하나가 되면 성도가 하나님의 신성에 참여하는 자가 되는 것이다. 성품은 변하는 모습이지만, 신성은 절대 변하지 않는 모습이다. 그래서 교회 목사들 중에는 신의 성품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연결해서 말하는 이들도 있다. 신성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지는데, 그들은 신의 성품(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이다. 

1장 5-7절『그러므로 너희가 더욱 힘써 너희 믿음에 덕(탁월함)을, 덕(탁월함)에 지식을, 지식에 절제를,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을, 경건에 형제 우애를, 형제 우애에 사랑을 더하라παρεισενέγκαντες(파레이세넨칸테스)   ἐπιχορηγήσατε(에피코레게사테)』여기에는 여덟가지 덕목이 등장하는데, 마치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처럼 되어 있으나, 믿음 안에 덕이 있고, 덕 안에 지식이 있고, 지식 안에 절제가 있으며, 절제 안에 인내가 있고, 인내 안에 경건이 있고, 경건 안에 형제 우애가 있으며, 형제 우애 안에 사랑이 있다는 말이다. 우리말 번역에서,『더하라』는 말이 『노력하라:make every effort to add』는 말로 영어성경(niv)에는 번역되었다. 물론 킹제임스 번역은 『주어진다(giving)』로 되어있으며, 헬라어 원문에는παρεισενέγκαντες(파레이세넨칸테스:적용하다)   ἐπιχορηγήσατε(에피코레게사테:주다)』(여덟가지 덕목이) 주어지고 적용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하나가 될 때, 신성이 이 같은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말을 하는 것이다. 

믿음을 통해서 덕(탁월함)이 생겨나고, 지식(하나님과의 하나되는 관계)을 통하여 은사를 받게되고, 그래서 사람이 교만해질 수 있다. 그것을 깨닫는 자는 절제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인내(휘포모네)로 연결된다. 휘포모네는 주님의 보좌에 머무는 것이다. 그래서 경건(유세베이안: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된다. 그래서 형제사랑과 아가페 사랑이 이루어진다. 

1장 8-9절『이런 것이 너희에게 있어 흡족한즉 너희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알기에 게으르지 않고 열매 없는 자가 되지 않게 하려니와 이런 것이 없는 자는 맹인이라 멀리 보지 못하고 그의 옛 죄가 깨끗하게 된 것을 잊었느니라』 위의 내적인 여덟가지의 덕목이 외적으로 성령의 아홉가지 열매로 나타난다. 이런 것이 없는 자는 하나님의 신성에 참여하지 않은 자를 의미한다. 성령을 받지 않으므로, 그래서 하나님 나라를 보지 못하므로 맹인이라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