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기까지
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기까지
(갈라디아서 4장 12-20절)『형제들아 내가 너희와 같이 되었은즉 너희도 나와 같이 되기를 구하노라 너희가 내게 해롭게 하지 아니하였느니라 내가 처음에 육체의 약함으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복음을 전한 것을 너희가 아는 바라 너희를 시험하는 것이 내 육체에 있으되 이것을 너희가 업신여기지도 아니하며 버리지도 아니하고 오직 나를 하나님의 천사와 같이 또는 그리스도 예수와 같이 영접하였도다 너희의 복이 지금 어디 있느냐 내가 너희에게 증언하노니 너희가 할 수만 있었더라면 너희의 눈이라도 빼어 나에게 주었으리라 그런즉 내가 너희에게 참된 말을 하므로 원수가 되었느냐 그들이 너희에게 대하여 열심 내는 것은 좋은 뜻이 아니요 오직 너희를 이간시켜 너희로 그들에게 대하여 열심을 내게 하려 함이라 좋은 일에 대하여 열심으로 사모함을 받음은 내가 너희를 대하였을 때뿐 아니라 언제든지 좋으니라 나의 자녀들아 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기까지 다시 너희를 위하여 해산하는 수고를 하노니 내가 이제라도 너희와 함께 있어 내 언성을 높이려 함은 너희에 대하여 의혹이 있음이라』
4장 12절『형제들아 내가 너희와 같이 되었은즉 너희도 나와 같이 되기를 구하노라 너희가 내게 해롭게 하지 아니하였느니라』바울이 내가 너희와 같이 되었다고 말한다. 바울이 그들과 같은 방식으로 생활을 했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말씀이신 호 로고스가 그들에게 들어가게 하는 것이 주 목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형식은 중요하지 않는 것이다. 처음에는 바울이 의도하는 방법대로 잘 진행이 되었는데, 나중에 다시 율법주의로 흐르고 있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리고 바울이 처음에 전도했을 때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4장 13절『내가 처음에 육체의 약함으로 말미암아(디 아스데네이안 테스 사르코스) 너희에게 복음을 전한 것을 너희가 아는 바라』 디 아스데네이안 테스 사르코스는 육체의 약함이 아니다. 사르코스의 기본형은 사륵스인데, 육체이지만, 신을 찾는 종교심을 의미한다. 복음을 전하는 것은 육신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연약한 육신을 통하여 내가 복음을 전한 것을 너희가 아는 바라』라고 수정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바울도 육신으로 인해서 복음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율법주의에 빠져있던 자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육체가 인식하는 것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바울 자신이 그런 연약한 육체라는 것이다. 『너희가 아는바』이 말은 듣는 사람들이 바울이 이전에 율법주의자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4장 14절『너희를 시험(페이라스몬)하는 것이 내 육체에 있으되 이것을 너희가 업신여기지도 아니하며 버리지도 아니하고 오직 나를 하나님의 천사와 같이 또는 그리스도 예수와 같이 영접하였도다』페이라스몬은 유혹이다.『너희를 시험(페이라스몬)하는 것이 내 육체에 있으되』라는 말은 이전에 자기가 율법주의에 빠져 사람들을 미혹한 것이 육체의 기억 속에 있지만 이라는 의미다. 그러나, 교인들이 바울이 복음을 잘 전해주었으므로 자신을 좋게 영접해 주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다시 율법주의에 빠지면 어떻게 되는가를 말하려고 하는 것이다.
4장 15절『너희의 복이 지금 어디 있느냐 내가 너희에게 증언하노니 너희가 할 수만 있었더라면 너희의 눈이라도 빼어 나에게 주었으리라』 바울이 지적한다. 지금 복음이 너희에게 어디 있느냐 라는 것이다. 너희가 정말 율법주의를 신봉한다면, 보는 눈이, 그 눈으로 죄를 범했을 때, 눈을 뽑아라는 율법의 말을 통해서 너희가 정말 눈을 뽑아서 나에게 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라는 것이다. 왜 율법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고 다시 율법주의 속으로 들어가느냐 라는 것이다. 율법에 따라서 정말 눈을 뽑으면, 육체에 남을 것이 하나도 없다. 즉 인간은 율법을 지킬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하나님께서 가르쳐주시는 것이다.
4장 16절『그런즉 내가 너희에게 참된 말(알레듀온)을 하므로 원수가 되었느냐』 알레듀온은 진리(예수 그리스도)를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데, 너희들은 율법주의에 돌아서므로서 나에게 원수가 되어버린 것을 지적한다. 그래서 교회에서 율법주의에 빠지는 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원수가 되는 자들이다. 안식일을 지키는 행위(주일 성수도 같은 개념). 십일조를 율법으로 지켜나가게 하는 일, 옛사람은 죽지 않고, 날마다 죄를 용서받으려고 하는 행위들, 교회 건물을 성전으로 여기는 자들, 강대상을 제사장(목사)만 올라가는 거룩한 자로 여기는 자들, 각종 절기를 지키는 자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4장 17절『그들이 너희에게 대하여 열심 내는 것은 좋은(칼로) 뜻이 아니요 오직 너희를 이간시켜 너희로 그들에게 대하여 열심을 내게 하려 함이라』 칼로는 가치있는 일이다. 그들은 율법주의 유대교인들을 의미한다. 율법주의자들이 교회 안에 가만히 들어와서 유대인 출신 그리스도인들을 속이고 잘못된 것을 열심히 가르치는데, 그것은 가치있는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4장 18절『좋은(칼로:가치있는) 일에 대하여 열심으로 사모함을 받음은 내가 너희를 대하였을 때뿐 아니라 언제든지 좋으니라』사도바울이 가치있는 복음(예수 그리스도)을 전하기 위하여 모든 사람에게 열심히 내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4장 19절『나의 자녀들아 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기까지(모로포데) 다시 너희를 위하여 해산하는 수고를 하노니』모로포데는 그리스도가 형상이 될 때까지라는 의미다. 그리스도의 형상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형상이 된다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가 성도 안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형상이라는 말은 마치 하나님의 신성과 같은 느낌을 준다. 인간 속에 신성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성도의 심령 안에 휘포모네를 하는 것이다. 바울이 말하기를 이들을 위해 해산하는 수고를 다시 하겠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복음을 처음부터 다시 전하려고 하는 것이다. 율법주의를 벗어나 복음 속으로 그들을 인도하기 위해 처음부터 다시 설교를 하려는 것이다.
4장 20절『내가 이제라도 너희와 함께 있어 내 언성을 높이려(알렠사이 텐 포넨) 함은 너희에 대하여 의혹이 있음이라』알렠사이 텐 포넨은 음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그 음성을 바꾸려 한다는 것이다. 바울이 그들을 이전에 복음에 대해서 가르쳤는데, 다시 율법주의에 빠지므로, 좀 다르게(예화를 많이 들어서) 복음을 전하겠다는 것이다. 음성을 바꾸는 것은 설교 방법을 다르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