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우리 하나님 앞에서 너희로 말미암아 모든 기쁨으로 기뻐하니
우리가 우리 하나님 앞에서 너희로 말미암아 모든 기쁨으로 기뻐하니
(데살로니가전서 3장 1-13절) 이러므로 우리가 참다 못하여 우리만 아덴에 머물기를 좋게 생각하고 우리 형제 곧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하나님의 일꾼인 디모데를 보내노니 이는 너희를 굳건하게 하고 너희 믿음에 대하여 위로함으로 아무도 이 여러 환난 중에 흔들리지 않게 하려 함이라 우리가 이것을 위하여 세움 받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알리라 우리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 장차 받을 환난을 너희에게 미리 말하였는데 과연 그렇게 된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이러므로 나도 참다 못하여 너희 믿음을 알기 위하여 그를 보내었노니 이는 혹 시험하는 자가 너희를 시험하여 우리 수고를 헛되게 할까 함이니 지금은 디모데가 너희에게로부터 와서 너희 믿음과 사랑의 기쁜 소식을 우리에게 전하고 또 너희가 항상 우리를 잘 생각하여 우리가 너희를 간절히 보고자 함과 같이 너희도 우리를 간절히 보고자 한다 하니 이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모든 궁핍과 환난 가운데서 너희 믿음으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위로를 받았노라 그러므로 너희가 주 안에 굳게 선즉 우리가 이제는 살리라 우리가 우리 하나님 앞에서 너희로 말미암아 모든 기쁨으로 기뻐하니 너희를 위하여 능히 어떠한 감사로 하나님께 보답할까 주야로 심히 간구함은 너희 얼굴을 보고 너희 믿음이 부족한 것을 보충하게 하려 함이라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우리 주 예수는 우리 길을 너희에게로 갈 수 있게 하시오며 또 주께서 우리가 너희를 사랑함과 같이 너희도 피차간과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이 더욱 많아 넘치게 하사 너희 마음을 굳건하게 하시고 우리 주 예수께서 그의 모든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 때에 하나님 우리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3장 1-2절『이러므로 우리가 참다 못하여 우리만 아덴에 머물기를 좋게 생각하고 우리 형제 곧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하나님의 일꾼인 디모데를 보내노니 이는 너희를 굳건하게 하고 너희 믿음에 대하여 위로함으로』
참다 못하다라는 말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번역이다. 헬라어『메케티 스테곤테스』로서 메케티는 더 이상 할 수 없다 라는 의미이지만, 스테곤테스는 뚜껑을 씌우다, 지붕을 씌우다 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바울이 지금 지붕을 씌우는 일을 다하지 못했다 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지붕을 씌우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전해져서 완전한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이다.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의 상태를 말하고 있다. 그래서 완전한 복음이 전해지도록 자기는 아덴(아테네)에 머물고, 디모데를 보내서 복음을 전하려고 하는 것이다.
3장 3절 『아무도 이 여러 환난 중에 흔들리지 않게 하려 함이라 우리가 이것을 위하여 세움 받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알리라』환란으로 번역된 헬라어는 『들맆세신』이다. 떠미는 것이다.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가 조금만 더 힘을 내면 완전한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무장할 수 있는데, 아직은 미흡하므로 교회 사람들에게 용기를 내게 떠 미는 것이다. 그런데, 바울이 떠밀지만, 교회 사람들은 갈등이 생기는 것이다. 바울이 떠미는 것이 좋지 않게 여기는 자들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마음의 갈등을 환란으로 번역된 것이다. 흔들리는 것은 마음의 동요가 일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디모데를 보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다. 3장 4절의 환란도 마찬가지의 의미다.
3장 4-6절『우리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 장차 받을 환난을 너희에게 미리 말하였는데 과연 그렇게 된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이러므로 나도 참다 못하여 너희 믿음을 알기 위하여 그를 보내었노니 이는 혹 시험하는 자가 너희를 시험하여 우리 수고를 헛되게 할까 함이니 지금은 디모데가 너희에게로부터 와서 너희 믿음과 사랑의 기쁜 소식을 우리에게 전하고 또 너희가 항상 우리를 잘 생각하여 우리가 너희를 간절히 보고자 함과 같이 너희도 우리를 간절히 보고자 한다 하니』
3장 7절『이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모든 궁핍(아낭케)과 환난(들맆세이) 가운데서 너희 믿음으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위로(파라클레데멘)를 받았노라』궁핍(아낭케:위에 있는 팔)과 환난(들맆세이:떠 미는 것)은 하나님의 강권의 역사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팔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 사람들의 이런 모습을 보고 오히려 위로를 받았다는 것이다. 파라클레데멘은 권면을 의미한다.
3장 8-9절『그러므로(에안) 너희가 주 안에 굳게 선즉 우리가 이제는 살리라(조에) 우리가 우리 하나님 앞에서 너희로 말미암아 모든 기쁨으로 기뻐하니 너희를 위하여 능히 어떠한 감사로 하나님께 보답할까』에안이라는 단어는 가정법으로서 만일(불가능하지만) 이라는 단어다. 『조에』는 생명을 의미한다. 즉 죽어있던 사람의 영적 생명을 살리는 것이다. 정말 어려운 일이지만, 너희가 주 안에서 굳게 선다면 다른 사람의 영적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존재가 된다는 의미다. 그래서 권면을 받는 것이다. 이 일로 인해서 바울이 기뻐한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께 보답하는 길이다.
3장 10-12절『주야로 심히 간구함은 너희 얼굴을 보고 너희 믿음이 부족한 것을 보충하게 하려 함이라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우리 주 예수는 우리 길을 너희에게로 갈 수 있게 하시오며 또 주께서 우리가 너희를 사랑함과 같이 너희도 피차간과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아가페)이 더욱 많아 넘치게 하사』
바울이 보기에 아직도 그들이 완성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므로 보충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아가페는 가치있는 사랑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복음을 전하는 것이 가장 가치있는 일이라고 바울은 말한다. 그래서 십자가의 복음을 받아드리고, 십자가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삶이 바로 아가페라는 것이다. 즉 아가페는 죽어있던 영을 예수 그리스도의 피의 대가로 살리는 일이다. 우리가 다른 사람의 영을 살리는 일을 한다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에 동참한다는 것이다. 영을 살리기 위해 온갖 헌신과 노력도 필요하다. 그 헌신과 노력도 필요하지만, 그것이 아가페가 아니라, 예수님의 십자가에 동참하는 것이 아가페라는 것이다.
3장 13절『너희 마음을 굳건하게 하시고 우리 주 예수께서 그의 모든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파루시아) 때에 하나님 우리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원하노라』파루시아는 주님의 임재를 의미한다. 강림이라고 번역하므로 예수님의 재림을 생각하기 쉽지만, 성도의 심령 가운데, 호 로고스께서 임재하시는 것을 의미한다. 성도의 심령에 임재하시는 호 로고스 앞에 나아갈 때, 거룩하고 흠이 없게 되는 것이다. 마치 대제사장이 거룩해져서(자기를 위한 제사를 드리고) 지성소로 나아가는 모습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