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은이를 꾸짖지 말고 권하되 아버지에게 하듯 하며
(디모데전서 5장 1-25절) 늙은이를 꾸짖지 말고 권하되 아버지에게 하듯 하며 젊은이에게는 형제에게 하듯 하고 늙은 여자에게는 어머니에게 하듯 하며 젊은 여자에게는 온전히 깨끗함으로 자매에게 하듯 하라 참 과부인 과부를 존대하라 만일 어떤 과부에게 자녀나 손자들이 있거든 그들로 먼저 자기 집에서 효를 행하여 부모에게 보답하기를 배우게 하라 이것이 하나님 앞에 받으실 만한 것이니라 참 과부로서 외로운 자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어 주야로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하거니와 향락을 좋아하는 자는 살았으나 죽었느니라 네가 또한 이것을 명하여 그들로 책망 받을 것이 없게 하라 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보지 아니하면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 과부로 명부에 올릴 자는 나이가 육십이 덜 되지 아니하고 한 남편의 아내였던 자로서 선한 행실의 증거가 있어 혹은 자녀를 양육하며 혹은 나그네를 대접하며 혹은 성도들의 발을 씻으며 혹은 환난 당한 자들을 구제하며 혹은 모든 선한 일을 행한 자라야 할 것이요 젊은 과부는 올리지 말지니 이는 정욕으로 그리스도를 배반할 때에 시집 가고자 함이니 처음 믿음을 저버렸으므로 정죄를 받느니라 또 그들은 게으름을 익혀 집집으로 돌아 다니고 게으를 뿐 아니라 쓸데없는 말을 하며 일을 만들며 마땅히 아니할 말을 하나니 그러므로 젊은이는 시집 가서 아이를 낳고 집을 다스리고 대적에게 비방할 기회를 조금도 주지 말기를 원하노라 이미 사탄에게 돌아간 자들도 있도다 만일 믿는 여자에게 과부 친척이 있거든 자기가 도와 주고 교회가 짐지지 않게 하라 이는 참 과부를 도와 주게 하려 함이라 잘 다스리는 장로들은 배나 존경할 자로 알되 말씀과 가르침에 수고하는 이들에게는 더욱 그리할 것이니라 성경에 일렀으되 곡식을 밟아 떠는 소의 입에 망을 씌우지 말라 하였고 또 일꾼이 그 삯을 받는 것은 마땅하다 하였느니라 장로에 대한 고발은 두세 증인이 없으면 받지 말 것이요 범죄한 자들을 모든 사람 앞에서 꾸짖어 나머지 사람들로 두려워하게 하라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와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 앞에서 내가 엄히 명하노니 너는 편견이 없이 이것들을 지켜 아무 일도 불공평하게 하지 말며 아무에게나 경솔히 안수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죄에 간섭하지 말며 네 자신을 지켜 정결하게 하라 이제부터는 물만 마시지 말고 네 위장과 자주 나는 병을 위하여는 포도주를 조금씩 쓰라 어떤 사람들의 죄는 밝히 드러나 먼저 심판에 나아가고 어떤 사람들의 죄는 그 뒤를 따르나니 이와 같이 선행도 밝히 드러나고 그렇지 아니한 것도 숨길 수 없느니라
5장 3절 『참(온토스) 과부(케라스)인 과부를 존대하라』바울은 과부에 대해 디모데에게 전해주고 있다. 그런데 그 시작을 참 과부인 과부를 존대하라는 말로 시작하고 있다. 여기에서 『참』으로 번역된 『온토스』는 본래 『참으로, 실제로』라는 뜻을 가진 형용사로서 하나님께 소망을 두는 과부를 의미한다.
5장 4절『만일 어떤 과부에게 자녀나 손자들이 있거든 그들로 먼저 자기 집에서 효(유세베인)를 행하여 부모에게 보답하기를 배우게 하라 이것이 하나님 앞에 받으실 만한 것이니라』효는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것이다 라고 말한다. 유세베인은『네 부모를 공경하라』라는 말씀과 연결된다. 육신적 부모를 통해서 영적인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공경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5장 5-6절『참 과부로서 외로운(메모노메네) 자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어 주야로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하거니와 향락을 좋아하는 자는 살았으나 죽었느니라』메모노메네는 머물다 라는 의미를 갖는다. 하나님께 머무는 자와 향락을 즐기는 자로 구분하고 있다. 하나님께 범죄하여 이 세상에 들어온 자들 중, 하나님께 부르짖은 자(과부된 자)들이 되어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 교회로 들어왔지만, 참 과부는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한다.
5장 7-8절 『네가 또한 이것을 명하여 그들로 책망 받을 것이 없게 하라 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보지 아니하면 믿음(덴 피스틴)을 배반한 자요(에르네타임)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과부된 자의 친족이나 가족을 돌보지 않음을 지적한다. 믿음은『덴 피스틴』으로서 그 믿음이다. 우리 말 성경에는 그 라는 지시 대명사가 빠져 있는데, 그 믿음에서 그는 로고스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믿음인 것이다.
5장 21절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와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 앞에서 내가 엄히 명하노니 너는 편견(프로크미마토스)이 없이 이것들을 지켜 아무 일도 불공평(플로스클리실)하게 하지 말며』 프로크미마토스는 프로(앞서서)와 크미마토스(판단하다)의 합성어이다. 미리 앞서서 판단하지 말라는 것이다. 판단은 하나님께 달려있다.『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와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 앞에서 내가 엄히 명하노니』라는 말은 하나님이 판단하시는 분이라는 것이다. 즉 그리스도를 통해서 판단해야지 그리스도없이 자의적 해석으로 판단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이런 목회자들이 많이 있다. 율법주의적으로 율법에 비추어서 죄를 정죄하거나,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신도들을 공격하는 일들이 있는 것이다. 감독은 그리스도의 뜻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 그들의 역할인데, 그들이 하나님 자리에 앉아 그 역할을 하려고 하는 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5장 22절『아무에게나 경솔히 안수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죄에 간섭하지(코이오네이) 말며 네 자신을 지켜 정결하게 하라』코이오네이는 『참여하다』는 의미다. 죄에 동참한다는 의미다.
5장 24절 『어떤 사람들의 죄(하마르티아이)는 밝히 드러나 먼저 심판에 나아가고 어떤 사람들의 죄는 그 뒤를 따르나니』하마르티아이는 죄들(복수)이다. 죄는 원죄와 세상죄가 있다.
5장 25절『이와 같이 선행(칼라)도 밝히 드러나고 그렇지 아니한 것도 숨길 수 없느니라』칼라는 선을 의미한다. 하나님 만이 선하시다. 선행은 성도가 선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하심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세상에 던져진 영들을 구원하시는 것은 선한 일이며, 그것을 깨닫는 자들도 선에 참여하는 자들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