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병사로 나와 함께 고난을 받으라
(디모데후서 2장 1-13절) 내 아들아 그러므로 너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은혜 가운데서 강하고 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내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그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 너는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병사로 나와 함께 고난을 받으라 병사로 복무하는 자는 자기 생활에 얽매이는 자가 하나도 없나니 이는 병사로 모집한 자를 기쁘게 하려 함이라 경기하는 자가 법대로 경기하지 아니하면 승리자의 관을 얻지 못할 것이며 수고하는 농부가 곡식을 먼저 받는 것이 마땅하니라 내가 말하는 것을 생각해 보라 주께서 범사에 네게 총명을 주시리라 내가 전한 복음대로 다윗의 씨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복음으로 말미암아 내가 죄인과 같이 매이는 데까지 고난을 받았으나 하나님의 말씀은 매이지 아니하니라 그러므로 내가 택함 받은 자들을 위하여 모든 것을 참음은 그들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원을 영원한 영광과 함께 받게 하려 함이라 미쁘다 이 말이여 우리가 주와 함께 죽었으면 또한 함께 살 것이요 참으면 또한 함께 왕 노릇 할 것이요 우리가 주를 부인하면 주도 우리를 부인하실 것이라
2장 1-2절『내 아들(테크논)아 그러므로 너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은혜 가운데서 강하고(두나미스) 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디아) 내게 들은 바(에쿠사스)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그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테크논은 아들이라는 의미보다 자녀, 자식을 의미한다. 사도바울은 디모데를 가리켜 다시『내 자식아』라고 부른다. 1장2절에서 『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와는 달리『내 자식아』라는 표현 속에서 보다 친근하고 애정 어린 사도의 마음을 느끼게 한다. 디모데는 사도 바울이 혈연적으로 낳은 육신의 아들이 아니다. 사도의 2차 전도여행 때 사도가 복음으로 낳은 믿음의 아들이다. 사도는 이런 사실을 디모데전서1장2절에서 『믿음 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라고 말했다.
두나미스는 신적인 능력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은혜로 강한 성령의 능력을 받으라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십자가의 예수와 연합되는 믿음이 필요하다.
『디아』는 통하여 라는 의미다. 에쿠사스는『내게 들은 바』가 아니라 『네가 들었던』라고 수정되어야 한다.『네가 많은 증인들을 통하여, 들었던 것』 이라고 하면 될 것이다. 즉 바울을 통해서 직접 듣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듣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울이 전한 복음이 다른 사람들을 통해서 잘 전달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정확히 전달되어야 하나, 오늘날 변질되고 있는 이유는 많은 감독들이 정확히 복음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는데서 비롯된다. 바울은 이 복음을 바르게 받아드리고 다른 충성된 자에게도 잘 전하라는 것이다.
2장 3-7절『너는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병사로 나와 함께 고난을 받으라(쉼카코파데손) 병사로 복무하는 자가 자기 생활(프라그마테이아이스)에 얽매이는 자가 하나도 없나니 이는 병사로 모집한 자를 기쁘게 하려 함이라 경기하는 자가 법대로(노미모스) 경기하지 아니하면 승리자의 관을 얻지 못할 것이며 수고하는 농부가 곡식(톤 카르폰)을 먼저 받는 것이 마땅하니라 내가 말하는 것을 생각해 보라 주께서 범사에 네게 총명을 주시리라.』
쉼카코파데손은 함께 고난을 받는 것으로 『나와』 라는 말은 원문에는 없다. 의미상으로 볼 때, 주님과 함께 라는 의미다. 프라그마테이아이스는 자기의 바쁜 일을 의미한다. 자기의 일로 바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일로 바빠야 한다는 것이다.
노미모스는 법대로인데, 율법이 아니라, 생명이신 성령의 법을 따르는 것이다. 감독자는 성령의 법을 따르지 않으면, 승리의 면류관을 얻지 못한다고 말하고 있다. 율법도 좋고 성령의 법도 좋고 라고 말하면 안된다. 율법주의에서 벗어나야만 하는데, 오늘날 대부분 교회의 현실은 목사들이 율법과 율법주의 조차 분간 못하는 자들이 많이 있다. 『톤 카르폰』은 열매를 의미한다. 이 열매는 부활의 열매다. 성도들에게 있어서 부활의 열매는 바로 거듭남이다. 감독자는 신도들이 모두 거듭난 자가 되도록 열매맺게 해야 하는 것이다.
『내가 말하는 것을 생각해 보라 주께서 범사에 네게 총명(쉬네신)을 주시리라.』쉬네신은 함께 두다 라는 의미다. 주님과 함께 하는 것이 바로 부활의 능력이라는 것이다. 바울이 말하는 것은 부활의 능력에 관한 것이다.
2장 8절『내가 전한 복음대로 다윗의 씨(스페르마토스) 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스페르마토스를 씨로 번역되어, 교회 사람들이 다윗의 후손으로 생각하지만, 다윗이 가지는 씨의 약속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윗도 약속의 씨를 가진 자라는 것이다. 약속의 씨는 바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이신 것이다. 그래서 스페르마토스 다윗이라는 말은 다윗이 가진 약속의 씨로 표현되어야 한다. 다윗과 같은 신앙을 가진 자가 바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의 믿음인 것이다.
2장 9절 『복음으로 말미암아 내가 죄인과 같이 매이는 데까지 고난을 받았으나 하나님의 말씀(호 로고스 투 데우)은 매이지 아니하니라』 호 로고스는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그리스도는 어느 곳에도 매이지 않으신다. 성도가 고난을 당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말씀이신 그리스도가 성도 안에 계시는가 이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2장 10-12절 그러므로 내가 택함 받은 자들을 위하여 모든 것을 참음(휘포메노)은 그들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원을 영원한 영광과 함께 받게 하려 함이라 미쁘다 이 말이여 우리가 주와 함께 죽었으면 또한 함께 살 것이요 참으면 또한 함께 왕 노릇 할 것이요 우리가 주를 부인하면 주도 우리를 부인하실 것이라 .』
휘포메노는 하나님의 보좌 아래 머무는 것을 의미한다. 내(바울)가 택함을 받은 자를 하나님 보좌 아래 머물게 하는 것은 그들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원을 영원한 영광과 함께 받게 하려 한다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