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모든 사람을 위하여 자기를 대속물로 주셨으니
(디모데전서 2장 1-15절)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라 이것이 우리 구주 하나님 앞에 선하고 받으실 만한 것이니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 데에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자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그가 모든 사람을 위하여 자기를 대속물로 주셨으니 기약이 이르러 주신 증거니라 이를 위하여 내가 전파하는 자와 사도로 세움을 입은 것은 참말이요 거짓말이 아니니 믿음과 진리 안에서 내가 이방인의 스승이 되었노라 그러므로 각처에서 남자들이 분노와 다툼이 없이 거룩한 손을 들어 기도하기를 원하노라 또 이와 같이 여자들도 단정하게 옷을 입으며 소박함과 정절로써 자기를 단장하고 땋은 머리와 금이나 진주나 값진 옷으로 하지 말고 오직 선행으로 하기를 원하노라 이것이 하나님을 경외한다 하는 자들에게 마땅한 것이니라 여자는 일체 순종함으로 조용히 배우라 여자가 가르치는 것과 남자를 주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아니하노니 오직 조용할지니라 이는 아담이 먼저 지음을 받고 하와가 그 후며 아담이 속은 것이 아니고 여자가 속아 죄에 빠졌음이라 그러나 여자들이 만일 정숙함으로써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에 거하면 그의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
2장 1-2절『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라.』바울은 영적 아들 디모데에게 두가지 신앙의 권면을 하고 있다. 먼저, 기도에 대해 말했다. 바울은 기도를 언급하며, 간구(데에세이스)와 기도(프로슈카스)와 도고(엔튜세이스)와 감사를 언급했다. 데에세이스는 간절히 기도하는 것이다. 프로슈카스는 하나님의 뜻에 따라 기도를 하라는 것이다. 엔튜세이스는 다른 사람을 위한 기도를 의미한다. 특히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을 위하여 기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셈노테티)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셈노테티는 위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당시 교회는 로마 제국의 위협아래에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위정자들을 위해 기도하라는 이유가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기 위함이라고 해서, 이런 생활 자체가 목적이라는 말은 아니다. 복음이 목적인 것이다. 전쟁이 나서 시끄럽고 혼란되면 복음에 지장이 생긴다. 교회를 통해 복음이 전해지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기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구원에 이르게 하기 위해 위정자들을 위해 기도를 하는 것이다.
2장 3-4절『이것이 우리 구주(헤몬) 하나님(테우) 앞에 선하고 받으실 만한 것이니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 데에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기도의 대상에 대해 모든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왜 모든 사람을 위해 기도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를 바울은 설명한다. 모든 사람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야 말로 하나님 앞에 선하고 받으실 만한 것인데, 이유는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 데에 이르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2장 5-6절『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자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그가 모든 사람을 위하여 자기를 대속물로 주셨으니 기약(카이로스)이 이르러 주신 증거(마르튀리온)니라』
『우리 구주 하나님』이라는 말에서 테우에 정관사가 없으므로 성부 하나님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왜 예수님이 모든 인간을 위해 대속물로 죽으셨는지를 말하고 있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중보자가 되기 위함이었다. 하나님과 죄인은 만날 수 없으나, 중보자를 통해서 하나님과 죄인이 화목해지는 것이다. 카이로스는 하나님의 때를 의미하며, 그 하나님의 때(구원이 이루어지는 때)에 그 증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
2장 9-11절『이와 같이 여자들도 단정하게 옷을 입으며 소박함과 정절로써 자기를 단장하고 땋은 머리와 금이나 진주나 값진 옷으로 하지 말고 오직 선행(에르곤)으로 하기를 원하노라 이것이 하나님을 경외한다 하는 자들에게 마땅한 것이니라 여자는 일체 순종함으로 조용히 배우라 여자(귀네)가 가르치는 것과 남자를 주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아니하노니 오직 조용할지니라』 이어서 여자가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 바울은 권면했다. 에르곤은『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사역』이라는 의미다. 세상적인 방법으로 하지 말고 오직 하나님의 뜻으로 사역하라는 의미다. 즉 사람들이 세상에서 어려움에 처한 것을 돕는 그런 사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죽었던 영을 살리는 일을 하라는 것이다. 귀네는 여자라기 보다는 한 남자의 아내를 의미한다.
바울의 가르침은, 교회로 한 몸을 이루는 자들이 자신의 의를 버리고, 자신의 욕망과 욕심을 버리고, 창조의 질서아래 올바른 마음과 태도로 자신의 역할을 감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 말씀의 씨가 없는 자는 정숙하라는 것이다. 말씀을 들어보라는 것이다. 초신자들은 아직 하나님의 씨가 없을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이야기를 듣고, 자신이 예수를 믿는다고 말해도 말씀의 씨가 잉태되지 않으면 씨가 있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2장 13-15절『아담이 먼저 지음을 받고 하와가 그 후며 아담이 속은 것이 아니고 여자가 속아 죄에 빠졌음이라 그러나 여자들이 만일 정숙함으로써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에 거하면 그의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바울은 아담과 하와이야기를 연결시켰다. 죄의 시작이 하와가 먼저 죄를 지었기 때문에 남자와 여자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씨의 약속이 없는 자는 조용히 하고 구원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깨달아라는 것이다. 말씀의 씨가 정착되고(임신) 자라나고 열매맺을 때(해산)까지 기다리라는 것이다. 말씀을 전해준 사람이 남자이고, 말씀을 듣고 말씀이 자라서 열매맺고 구원을 받는 자가 여자라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