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이 모든 것의 십분의 일을 그에게 나누어 주니라
(히브리서 7장 1-11절) 『이 멜기세덱은 살렘 왕이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라 여러 왕을 쳐서 죽이고 돌아오는 아브라함을 만나 복을 빈 자라 아브라함이 모든 것의 십분의 일을 그에게 나누어 주니라 그 이름을 해석하면 먼저는 의의 왕이요 그 다음은 살렘 왕이니 곧 평강의 왕이요 아버지도 없고 어머니도 없고 족보도 없고 시작한 날도 없고 생명의 끝도 없어 하나님의 아들과 닮아서 항상 제사장으로 있느니라 이 사람이 얼마나 높은가를 생각해 보라 조상 아브라함도 노략물 중 십분의 일을 그에게 주었느니라 레위의 아들들 가운데 제사장의 직분을 받은 자들은 율법을 따라 아브라함의 허리에서 난 자라도 자기 형제인 백성에게서 십분의 일을 취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레위 족보에 들지 아니한 멜기세덱은 아브라함에게서 십분의 일을 취하고 약속을 받은 그를 위하여 복을 빌었나니 논란의 여지 없이 낮은 자가 높은 자에게서 축복을 받느니라 또 여기는 죽을 자들이 십분의 일을 받으나 저기는 산다고 증거를 얻은 자가 받았느니라 또한 십분의 일을 받는 레위도 아브라함으로 말미암아 십분의 일을 바쳤다고 할 수 있나니 이는 멜기세덱이 아브라함을 만날 때에 레위는 이미 자기 조상의 허리에 있었음이라 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으로 말미암아 온전함을 얻을 수 있었으면 (백성이 그 아래에서 율법을 받았으니) 어찌하여 아론의 반차를 따르지 않고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다른 한 제사장을 세울 필요가 있느냐』
7장 1-2절『이 멜기세덱은 살렘 왕이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라 여러 왕을 쳐서 죽이고 돌아오는 아브라함을 만나 복을 빈 자라 아브라함이 모든 것의 십분의 일을 그에게 나누어 주니라 그 이름을 해석하면 먼저는 의의 왕이요 그 다음은 살렘 왕이니 곧 평강의 왕이요』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을 만나게 된 배경은 창세기 14장 1-2절에서 말한다.『당시에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과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이 소돔 왕 베라와 고모라 왕 비르사와 아드마 왕 시납과 스보임 왕 세메벨과 벨라 곧 소알 왕과 싸우니라』이 국제적 전쟁에서 조카 롯이 사로 잡혀 갔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브라함이 삼백십팔명의 개인 사병을 이끌고 구출하고 왔는데, 소돔왕이 아브라함을 먼저 영접하였고, 이어서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와서 아브라함을 축복해주었다는 이야기다.
창세기 14장 19-20절에서『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이르되 천지의 주재이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람에게 복을 주옵소서 너희 대적을 네 손에 붙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 하매 아브람이 그 얻은 것에서 십분의 일을 멜기세덱에게 주었더라』
멜기세덱의 이름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하나님의 제사장이요,의의 왕이요, 평강의 왕이라는 것이다. 제사장의 역할이 하나님과 죄인들 사이에서 의와 평강을 이루게 한다. 아브라함이 겪은 세상에서의 전쟁은 영적 전쟁을 예표한다. 그리고 멜기세덱이라는 제사장은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것이다.
7장 3절『아버지도 없고 어머니도 없고 족보도 없고 시작한 날도 없고 생명의 끝도 없어 하나님의 아들과 닮아서 항상 제사장으로 있느니라』 이 말은 창세기에 기록된 내용이 아니라, 유대인 랍비들이 창세기 14장에 대한 해석으로 주석을 만들었는데, 그것에 근거해서 나온 말이다. 히브리서 기자가 유대인들에게 이 말을 할 때는 이미 그들이 구약성경의 주석을 통해서 잘 알고 있는 이야기이었던 것이다.
7장 4-6절『이 사람이 얼마나 높은가를 생각해 보라(데오레이테) 조상 아브라함도 노략물 중 십분의 일을 그에게 주었느니라 레위의 아들들 가운데 제사장의 직분을 받은 자들은 율법을 따라 아브라함의 허리에서 난 자라도 자기 형제인 백성에게서 십분의 일을 취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레위 족보에 들지 아니한 멜기세덱은 아브라함에게서 십분의 일을 취하고 약속을 받은 그를 위하여 복을 빌었나니』
데오레이테는 유심히 관찰해 보라는 것이다. 즉 아브라함이 노략물 중 십분의 일을 멜기세덱에게 주었다는 것이다. 이 일은 아브라함 만 바친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전체가 바친 것으로 확장된다. 레위의 아들들 가운데 제사장 직분을 가진 자들이 십일조를 취하라는 명령이 있지만 멜기세덱은 레위 족보에 들지도 않았음에도 아브라함에게서 십분의 일을 취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7장 9-10절에서는 아브라함만 바친 것이 아니라 아브라함의 후대 레위까지 바쳤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레위는 아브라함의 허리(자손들)에 있기 때문이다. 히브리서의 기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오직 하늘로부터 주어진 복으로 인해서 이스라엘이 축복받는다는 것이다. 이것이 십일조의 의미가 된다. 아브라함, 레위, 이스라엘 모두가 하늘에서 주어진 복으로 말미암아 살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히브리서 기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멜기세덱으로 상징되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에게 하늘의 신령한 복(하나님 나라 상속자가 되는)을 주실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7장 7-8절『논란의 여지 없이 낮은 자가 높은 자에게서 축복을 받느니라 또 여기는 죽을 자들(아포드네스콘테스)이 십분의 일을 받으나 저기는 산다고 증거를 얻은 자가 받았느니라』 아포드네스콘테스는 사역을 위해 자기 목숨을 다하는 자들(레위인들)도 십분의 일을 받았지만, 저기(예수 그리스도)는 십자가에서 죽었을 뿐만 아니라, 새생명으로 부활하시고, 성도의 심령 가운데 임재하셨다는 것이다. 그 분(멜기세덱:예수 그리스도)이 아브라함으로 부터 십일조를 받았다는 것이다.
7장 9-11절『또한 십분의 일을 받는 레위도 아브라함으로 말미암아 십분의 일을 바쳤다고 할 수 있나니 이는 멜기세덱이 아브라함을 만날 때에 레위는 이미 자기 조상의 허리에 있었음이라 레위 계통의 제사 직분으로 말미암아 온전함을 얻을 수 있었으면 (백성이 그 아래에서 율법을 받았으니) 어찌하여 아론의 반차를 따르지 않고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다른 한 제사장을 세울 필요가 있느냐』아론의 반차를 따른 제사장은 완전한 제사장이 아니라,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제사장이 온전한 제사장이라는 것이다.
히브리서 기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온전한 제사장(멜기세덱의 반차)으로서 죄인과 하나님 사이의 중보는 의와 화평을 위한 중재이며, 그에 따라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기업을 얻게 되는데, 아브라함이 십일조를 바친 것처럼, 성도들도 십일조를 바쳐야 한다는 것이다. 십일조는 율법에 따른 십일조와 영적인 십일조가 있다는 말씀이다. 율법에 따른 십일조는 이미 폐지되었으나, 아브라함이 바친 십일조는 영적인 의미로 받아드려야만 한다. 오늘날 영적 전쟁으로 인해서 승리하여 사는 삶이 하나님의 축복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가장 귀한 것으로 보답하는 것이다. 율법의 규정으로 생각하는 십일조가 아니라, 영적인 의미로 가장 좋은 것으로 드리는 것(자기를 드리는 것)이 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율법적인 규정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영적인 것을 강조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