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고린도전서 12장 12-31절) 몸은 하나인데 많은 지체가 있고 몸의 지체가 많으나 한 몸임과 같이 그리스도도 그러하니라 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다 병 고치는 은사를 가진 자이겠느냐 다 방언을 말하는 자이겠느냐 다 통역하는 자이겠느냐 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가장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12장 12절『몸은 하나인데 많은 지체가 있고 몸의 지체가 많으나 한 몸임과 같이 그리스도도 그러하니라』은사를 몸으로 비유하면서 몸에 많은 지체가 있듯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도 그 역할이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12장 13절『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세례를 받았다는 것이다. 성령세례를 주시는 목적은 복음을 증거하는데, 성령의 능력으로 하라는 것이다. 모든 신도가 성령세례를 받아서 은사를 행하게 된다면 복음의 전도에 큰 능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교회에서는 사역자만 이런 능력을 행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사역자들 중에는 신도들이 이런 은사를 행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사역자가 그런 은사를 통해서 신도들에게 권위를 나타내려고 하기 때문이다. 

12장 14-17절『몸은 한 지체뿐만 아니요 여럿이니 만일(에안) 발이 이르되 나는 손이 아니니 몸에 붙지 아니하였다 할지라도 이로써 몸에 붙지 아니한 것이 아니요 또 귀가 이르되 나는 눈이 아니니 몸에 붙지 아니하였다 할지라도 이로써 몸에 붙지 아니한 것이 아니니 만일 온 몸이 눈이면 듣는 곳은 어디며 온 몸이 듣는 곳이면 냄새 맡는 곳은 어디냐 』

에안은『불가능한 일이지만, 그런 일이 있다면』라는 의미다. 고린도교회 교인들 중에는 다양한 은사를 받은 자들이 있었다. 그런데, 그들 중에는 다른 사람이 받은 은사를 은사로 생각하지 않고 자기가 받은 은사만 은사로 생각하는 것이다. 바울은 다양한 은사를 몸과 비유하면서 설명하는 것이다. 

12장 18-20절『그러나 이제 하나님이 그 원하시는 대로 지체를 각각 몸에 두셨으니 만일 다 한 지체뿐이면 몸은 어디냐 이제 지체는 많으나 몸은 하나라』 은사는 한 성령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므로 은사를 받은 자들이 협력하여 복음의 전파에 활용하라는 것이다. 

12장 21-23『눈이 손더러 내가 너를 쓸 데가 없다 하거나 또한 머리가 발더러 내가 너를 쓸 데가 없다 하지 못하리라 그뿐 아니라 더 약하게 보이는 몸의 지체가 도리어 요긴하고 우리가 몸의 덜 귀히 여기는 그것들을 더욱 귀한 것들로 입혀 주며 우리의 아름답지 못한 지체는 더욱 아름다운 것을 얻느니라』교회 안에서 다양한 은사를 받은 자들이 협력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할 때, 좀 덜 귀하게 여겨지는 은사라 할지라도 빛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12장 24-26절『그런즉 우리의 아름다운 지체는 그럴 필요가 없느니라 오직 하나님이 몸을 고르게 하여 부족한 지체에게 귀중함을 더하사 몸 가운데서 분쟁이 없고 오직 여러 지체가 서로 같이 돌보게 하셨느니라 만일 한 지체가 고통을 받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고통을 받고 한 지체가 영광을 얻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즐거워하느니라』은사를 서로 나누고 서로 보완해 준다면 외적으로는 복음의 힘을, 내적으로는 아름다운 교회 공동체가 이루어져 갈 수 있다는 말이다. 내가 받은 은사만 중요하고 다른 사람이 받은 은사를 낮게 생각한다면 교회 공동체에 해를 끼치게 된다. 

12장 27-28절『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 하나님이 교회 중에 몇을 세우셨으니 첫째는 사도요 둘째는 선지자요 셋째는 교사요 그 다음은 능력을 행하는 자요 그 다음은 병 고치는 은사와 서로 돕는 것과 다스리는 것과 각종 방언을 말하는 것이라』 사역자들을 위한 은사를 소개한다. 첫째, 사도는 다스리는 자를 의미한다. 교회  신도들을 잘 관리하는 자가 사도인 것이다. 사도는 거시적으로 복음 전파와 신도를 관리하는 자들이다. 이 사도직은 은사가 주어져서 행하는 것이다.  초대교회 당시에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유대인들에게는 베드로가 사도로 담당하고, 이방인 지역에는 바울이 사도직을 담당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선지자는 예언자를 의미한다. 셋째는 교사다. 교사는 가르치는 은사를 의미한다. 넷째, 능력을 행하는 자이다. 능력을 행하는 것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도하고 교회로 이끌어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병고치는 은사는 병 고침을 통해서 복음의 전파를 활용하는 것이다. 그 외에 서로 돕는 은사와 다스리는 것과 방언하는 것이 소개된다. 돕는 은사는 교회의 신도들 중에 여러가지 이유로 어려움을 겪는 자들이 있으면, 돕는 그런 역할을 하는 자들이다. 다스리는 자들은 오늘날 장로직을 의미한다. 교회 안에서 방언하는 것은 방언을 통역하는 것과 연결되어 누군가가 방언을 하면, 통역하는 자를 내세워 신도들이 알아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방언하는 자의 입을 통해서 하시는 말씀을 모든 신자들이 알게 하는 것이다. 방언은 신도가 하나님께 기도하는 내용이라기 보다, 하나님이 그 신자를 통해서 하나님의 뜻을 알리는 것이다. 

12장 29-30절『다 사도이겠느냐 다 선지자이겠느냐 다 교사이겠느냐 다 능력을 행하는 자이겠느냐 다 병 고치는 은사를 가진 자이겠느냐 다 방언을 말하는 자이겠느냐 다 통역하는 자이겠느냐』 하나님이 은사를 주신 중요도를 따른 분류를 하고 있다. 사도, 선지자, 교사, 능력행하는 자, 병고치는 자, 방언을 하는 자, 통역하는 자를 소게했다. 그리고 한 사람을 세워 은사의 역할을 하게 하지 말고 각각 은사를 담당하는 자를 세워라는 것이다. 사역자 한 사람이 모든 것을 하지 말고 사역을 분담하라는 것이다. 

12장 31절『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가장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더욱 큰 은사는 위에서 열거한 은사들 보다 더 큰 은사가 있는데, 사모하라는 것이다. 은사는 성령세례를 받은 자들 중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성령세례도 받지 않았는데, 은사를 행한다고 말하고 신도들을 현혹하는 행위들은 성령의 능력이 아니라 악령으로 행하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