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고린도전서 7장 12-24절) 『너희가 쓴 문제에 대하여 말하면 남자가 여자를 가까이 아니함이 좋으 그 나머지 사람들에게 내가 말하노니 (이는 주의 명령이 아니라) 만일 어떤 형제에게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있어 남편과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를 버리지 말며 어떤 여자에게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있어 아내와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 남편을 버리지 말라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아내로 말미암아 거룩하게 되고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남편으로 말미암아 거룩하게 되나니 그렇지 아니하면 너희 자녀도 깨끗하지 못하니라 그러나 이제 거룩하니라 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 형제나 자매나 이런 일에 구애될 것이 없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은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 아내 된 자여 네가 남편을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며 남편 된 자여 네가 네 아내를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리요 오직 주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 주신 대로 하나님이 각 사람을 부르신 그대로 행하라 내가 모든 교회에서 이와 같이 명하노라 할례자로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무할례자가 되지 말며 무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할례를 받지 말라 할례 받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요 할례 받지 아니하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하나님의 계명을 지킬 따름이니라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 부르심 그대로 지내라 네가 종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았느냐 염려하지 말라 그러나 네가 자유롭게 될 수 있거든 그것을 이용하라 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인이요 또 그와 같이 자유인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 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형제들아 너희는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거하라』

7장 12-14절『그 나머지 사람들에게 내가 말하노니 (이는 주의 명령이 아니라) 만일 어떤 형제에게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있어 남편과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를 버리지 말며 어떤 여자에게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있어 아내와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 남편을 버리지 말라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아내로 말미암아 거룩하게 되고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남편으로 말미암아 거룩하게 되나니 그렇지 아니하면 너희 자녀도 깨끗하지 못하니라 그러나 이제 거룩하니라』 

부부 중에서 믿지 않는 배우자가 있다면, 그 또한 헤어지지 말라고 바울이 권고한다. 믿지 않는 배우자가 믿는 배우자로 인해서 거룩히 구별된다고 말하고, 그렇지 않으면, 자녀들에게 그 영향이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가정의 공동체는 부부와 그 자녀에게로 확장되는 것이다. 

7장 15절『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 형제나 자매나 이런 일에 구애될 것이 없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은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그런데, 부부 중에 믿지 않는 배우자가 헤어지자고 하거든 헤어지라는 것이다. 교회 안에 이런 형제나 자매가 믿지 않는 배우자로 인해서 신앙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차라리 헤어지는 것이 좋다는 것을 말해준다. 부부의 갈등이 있으면, 가정의 화평이 깨어지고,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하나님과의 화평을 위해서는 차라리 헤어지라는 것이다. 

7장 16-17절『아내 된 자여 네가 남편을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며 남편 된 자여 네가 네 아내를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리요 오직 주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 주신 대로 하나님이 각 사람을 부르신 그대로 행하라 내가 모든 교회에서 이와 같이 명하노라 』 다시 부부 중에 믿지 않는 배우자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다. 믿는 배우자와 믿지 않는 배우자가 혼재되어 있을 때, 믿는 배우자는 하나님이 주신 그 은혜의 분량대로 행동하면 되는 것이다. 나머지는 하나님께 맡기는 방법 외에는 없는 것이다. 

7장 18-19절『할례자로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무할례자가 되지 말며 무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할례를 받지 말라 할례 받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요 할례 받지 아니하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하나님의 계명(엔테론 데우)을 지킬(테레시스) 따름이니라』할례는 육체의 상처를 내는 의식이다. 이 할례의 의미는 육적으로 죽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율법주의자들은 그 행위에만 중요성을 부여하지만, 복음의 의미를 깨닫는 자들은 마음의 할례를 생각한다. 할례이던 세례이든지, 그 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육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는가가 중요한 일이다. 그래서 할례를 받았는지, 안받았는지 라고 따지는 행위들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말이다. 이전에 할례를 받은 자가 그리스도인이 되었으면, 할례받은 것을 애써 지우려고 할 것이 아니라, 할례의 의미를 생각하면 되고, 할례를 받지 않은 그리스도인들은 율법주의적인 할례를 받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엔테론 데우는 계명이 아니라 명령이다. 성도의 심령 속에서 임재하시는 호 로고스의 말씀을 따르는 것이다. 그 말씀은 모든 자들은 십자가에서 예수와 함께 죽은 자가 되어야 함을 말씀하고 있다. 이게 명령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새언약을 말씀하실 때, 내 살을 먹고 내피를 마시는 자는 새언약에 참여하는 자라고 말씀하신다. 십자가에서 함께 죽은 자는 죄에서 벗어나 함께 부활에 참여하는 것이다. 

7장 20-21절『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 부르심 그대로 지내라(메벤토) 네가 종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았느냐 염려하지 말라 그러나 네가 자유롭게 될 수 있거든 그것을 이용하라』메벤토는 머무르다 라는 의미다. 헬라어 성경은 각 사람은 자기가 부르심을 받을 때 머물던 그 동일한 부르심 안에 머물라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종된 사람이 부르신을 받았을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종으로 있을 때 부르심을 받았으며, 종된 몸으로 복음의 사역을 하고, 자유인이 되면, 자유인으로서 최대한 그것을 이용해서 복음을 전하라는 것이다. 

7장 22절『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인이요 또 그와 같이 자유인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 앞의 자유인은 죄로부터 자유인이고, 뒤의 종은 그리스도의 종이라는 의미다. 세상에서 어떤 사람의 종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신분 차별이지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모든 성도는 죄로부터 자유인이고, 그리스도의 종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주의 부르심을 받지도 않았으면서도 주의 종이라고 말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그들은 죄로 부터 종이 되는 것이다. 

7장 23-24절『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형제들아 너희는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거하라』속량은 노예를 값을 지불하고 사는 개념이다. 그 값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흘리신 피값이다. 성도는 하나님이 사탄에게 피값을 지불하고 산 자다. 그래서 성도는 이제 주의 종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의 종이 되지 말라고 하신다. 신분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세상(사탄)의 종 노릇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모든 성도는 부르심의 은혜대로 그리스도의 종이 되어 복음 사역에 참여하라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