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주를 기쁘시게 할까 하되

(고린도전서 7장 25-40절) 『처녀에 대하여는 내가 주께 받은 계명이 없으되 주의 자비하심을 받아서 충성스러운 자가 된 내가 의견을 말하노니 세상 물건을 쓰는 자들은 다 쓰지 못하는 자 같이 하라 이 세상의 외형은 지나감이니라 너희가 염려 없기를 원하노라 장가 가지 않은 자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주를 기쁘시게 할까 하되 장가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아내를 기쁘게 할까 하여 마음이 갈라지며 시집 가지 않은 자와 처녀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몸과 영을 다 거룩하게 하려 하되 시집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남편을 기쁘게 할까 하느니라 내가 이것을 말함은 너희의 유익을 위함이요 너희에게 올무를 놓으려 함이 아니니 오직 너희로 하여금 이치에 합당하게 하여 흐트러짐이 없이 주를 섬기게 하려 함이라 그러므로 만일 누가 자기의 약혼녀에 대한 행동이 합당하지 못한 줄로 생각할 때에 그 약혼녀의 혼기도 지나고 그같이 할 필요가 있거든 원하는 대로 하라 그것은 죄 짓는 것이 아니니 그들로 결혼하게 하라 그러나 그가 마음을 정하고 또 부득이한 일도 없고 자기 뜻대로 할 권리가 있어서 그 약혼녀를 그대로 두기로 하여도 잘하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결혼하는 자도 잘하거니와 결혼하지 아니하는 자는 더 잘하는 것이니라 아내는 그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 매여 있다가 남편이 죽으면 자유로워 자기 뜻대로 시집 갈 것이나 주 안에서만 할 것이니라 그러나 내 뜻에는 그냥 지내는 것이 더욱 복이 있으리로다 나도 또한 하나님의 영을 받은 줄로 생각하노라』 

7장 25-26절『처녀(파르테논)에 대하여는 내가 주께 받은 계명이 없으되 주의 자비하심을 받아서 충성스러운 자가 된 내가 의견을 말하노니 내 생각에는 이것이 좋으니 곧 임박한 환난(에네스토산 아난켄)으로 말미암아 사람이 그냥 지내는 것이 좋으니라』 파르테논은 부르심을 받아서 주의 종이 되겠다고 생각하는 자를 의미한다. 에네스토산 아난켄은 강제로 들어가다 라는 말로 하나님이 손을 뻗는 것(부르심)을 의미한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부르심을 받았을 때는 그냥 결혼하지 말고 혼자 지내는 것이 좋다는 바울의 개인적인 견해이다. 결혼이 사역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7장 27절『네가 아내에게 매였느냐 놓이기를 구하지 말며 아내에게서 놓였느냐 아내를 구하지 말라』 사역자로서 부르심을 받은 남자에 대해서 말한다. 아내가 있던지 없던지 상관하지 말고 사역에만 집중하라는 것이다.  

7장 28절『그러나 장가 가도 죄 짓는 것이 아니요 처녀가 시집 가도 죄 짓는 것이 아니로되 이런 이들은 육신(테 사르키)에 고난이 있으리니 나는 너희를 아끼노라』 테 사르키는 종교심을 의미한다. 결혼하는 것은 죄짓는 것도 아니지만, 결혼으로 인해서 사역을 하는데, 종교심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7장 29절『형제들아 내가 이 말을 하노니 그 때가 단축하여진(호 카이로스 슈네스탈메노스) 고로 이 후부터 아내 있는 자들은 없는 자 같이 하며』 호 카이로스 슈네스탈메노스는 주님의 때가 가까이 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호 로고스께서 성도의 심령 속으로 들어와 임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내가 없는듯이 심령 속의 호 로고스에 집중하라는 의미다. 

7장 30-31절『우는 자들은 울지 않는 자 같이 하며 기쁜 자들은 기쁘지 않은 자 같이 하며 매매하는 자들은 없는 자 같이 하며 세상 물건을 쓰는 자들은 다 쓰지 못하는 자 같이 하라 이 세상의 외형은 지나감이니라』 여기서는 세상에 대해서 말한다. 희로애락의 삶에 매이지 말고, 오직 심령 속의 호 로고스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7장 32-33절『너희가 염려 없기를 원하노라 장가 가지 않은 자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주를 기쁘시게 할까 하되 장가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아내를 기쁘게 할까 하여』결혼한 자의 생활 방향은 가정에 치중하게 되어 있지만, 결혼하지 않은 자들은 사역에 치중하게 될 것이다.

7장 34절『마음이 갈라지며 시집 가지 않은 자와 처녀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몸과 영을(토 소마티 카이 토 프뉴마티) 다 거룩하게 하려 하되 시집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남편을 기쁘게 할까 하느니라』 토 소마티 카이 토 프뉴마티는『몸과 영 안에서』라는 의미다. 몸과 영을 거룩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영 안에서 거룩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육체적으로는 결혼이라는 제도를 통하여 남녀가 하나가 되지만, 영적으로는 성도가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어, 오직 주의 일에만 신경을 쓰는 것이다. 

7장 35절『내가 이것을 말함은 너희의 유익을 위함이요 너희에게 올무를 놓으려 함이 아니니 오직 너희로 하여금 이치에 합당하게 하여 흐트러짐이 없이 주를 섬기게 하려 함이라』바울이 이렇게 말하는 것에 대해서, 가정은 등한시 해도 된다는 말인가 라고 이의를 제기하는 자가 있을 수 있다. 가정을 등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역자로서는 주를 섬기는 일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7장 36절『그러므로 만일 누가 자기의 약혼녀에 대한 행동이 합당하지 못한 줄로 생각할 때에 그 약혼녀의 혼기도 지나고 그같이 할 필요가 있거든 원하는 대로 하라 그것은 죄 짓는 것이 아니니 그들로 결혼하게 하라』결혼을 하기 위해 약혼을 했는데, 하나님으로부터 부르심을 받아서 사역자가 되려는 자는 상대방이 결혼을 동의하는데도 불구하고, 사역자가 되는 것 때문에 결혼을 파기한다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합당한 행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혼하는 것이 죄짓는 것도 아니고 결혼하라는 것이다. 

7장 37-38절『그러나 그가 마음을 정하고 또 부득이한 일도 없고 자기 뜻대로 할 권리가 있어서 그 약혼녀를 그대로 두기로 하여도 잘하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결혼하는 자도 잘하거니와 결혼하지 아니하는 자는 더 잘하는 것이니라』 만일 상대방이 사역자가 되는 이유로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하면, 그것을 받아드리면 된다는 것이다. 바울은 사역자가 결혼하는 것보다 결혼하지 않는 것이 더 좋다고 말한다. 사역자는 오직 호 로고스에 집중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7장 39-40절『아내는 그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 매여 있다가 남편이 죽으면 자유로워 자기 뜻대로 시집 갈 것이나 주 안에서만 할 것이니라 그러나 내 뜻에는 그냥 지내는 것이 더욱 복이 있으리로다 나도 또한 하나님의 영을 받은 줄로 생각하노라』아내가 과부가 되었을 때는 호 로고스에 집중하도록 혼자 사는 것이 좋겠지만, 재혼을 한다면, 주 안에서 하라는 말이다. 

바울은 사역자의 결혼관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율법과 복음에 대한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부부는 한 쪽이 배우자에게 매여있는 것과 같은 표현을 한다. 그래서 한쪽이 죽으면, 자유로운 자가 되는 것으로 말하는데, 이는 율법에 매여있다가 율법에 대해서 죽으면, 이제 복음(그리스도)과 결합될 수 있다는 말을 내포하는 것이다. 오직 그리스도와 하나가 됨이 중요한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