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복음을 전할 때에 값없이 전하고
내가 복음을 전할 때에 값없이 전하고
(고린도전서 9장 1-27절) 내가 자유인이 아니냐 사도가 아니냐 예수 우리 주를 보지 …………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신이 도리어 버림을 당할까 두려워함이로다
9장 1절『내가 자유인이 아니냐 사도가 아니냐 예수 우리 주를 보지 못하였느냐 주 안에서 행한 나의 일이 너희가 아니냐』 당시에 기독교인들이 바울을 사도로 여기지 않았다. 그러나 바울은 네가지를 들어서 말한다. 사도는 자신이 예수님이 보낸 자라는 것이다. 바울은 다메섹에서 예수님을 만났다. 그리고 바울은 고린도교회 교인들에게 성령받게 하지 않았느냐 라는 것이다. 이 네가지는 당시 사도라고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었다.
9장 2-3절『다른 사람들에게는 내가 사도가 아닐지라도 너희에게는 사도이니 나의 사도 됨을 주 안에서 인친(스프라기스) 것이 너희라 나를 비판하는 자들에게 변명할(아폴로기아) 것이 이것이니』 스프라기스는 도장을 찍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이 복음을 전하고 성령세례를 받은 교인들이 가장 많은 교회가 고린도교회라는 것이다. 비록 당시 기독교인들이 바울을 사도로 여기지 않았지만 고린도교회 교인들 만큼은 그렇게 하면 안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아폴로기아는 답변하다 라는 의미다. 이것이라는 것은 사도직에 대한 주 안에서 인치신 것을 의미한다. 바울은 당시에 자비량 사역을 했다. 돈을 받지 않고 천막일을 하면서 사역을 하므로, 기독교인들이 그것을 두고 사도직을 의심하기도 했다.
9장 4-6절『우리가 먹고 마실 권리(엨수시안)가 없겠느냐 우리가 다른 사도들과 주의 형제들과 게바와 같이 믿음의 자매 된 아내를 데리고 다닐 권리(엨수시안)가 없겠느냐 어찌 나와 바나바만 일하지 아니할 권리가 없겠느냐 』 엨수시안은 하나님이 주신 권리를 의미한다. 바울은 일을 하고 그 대가를 받아서 먹고 마실 수 있으며, 결혼도 하고 살아갈 수 있는데, 이게 하나님이 주신 권리인데도 복음의 사역을 위해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9장 7절『누가 자기 비용으로 군 복무를 하겠느냐 누가 포도를 심고 그 열매를 먹지 않겠느냐 누가 양 떼를 기르고 그 양 떼의 젖을 먹지 않겠느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기가 하는 일에 대해서 대가를 받는다는 것이다. 군인이든 포도재배나 목축업을 하는 농부들도 다 대가를 받는 다는 것이다.
9장 8-9절『내가 사람의 예대로 이것을 말하느냐 율법도 이것을 말하지 아니하느냐 모세의 율법에 곡식을 밟아 떠는 소에게 망을 씌우지 말라 기록하였으니 하나님께서 어찌 소들을 위하여 염려하심이냐』 율법에도 주의 종들의 일의 대가에 대한 규정이 있다는 것이다.
9장 10절『오로지 우리를 위하여 말씀하심이 아니냐 과연 우리를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밭 가는 자는 소망을 가지고 갈며 곡식 떠는 자는 함께 얻을 소망을 가지고 떠는 것이라』농사의 일을 힘들게 하는 자들은 그에 대한 대가를 바라보면서 일을 한다는 것이다. 복음을 전하는 목회자들도 자기가 일한 대가를 바라보는 것은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9장 11절『우리가 너희에게 신령한 것(타 프뉴마티카)을 뿌렸은즉 너희의 육적(사르키카)인 것을 거두기로 과하다 하겠느냐』 타 프뉴마티카는 성령과 관련된 것, 사르키카는 종교적인 것을 의미한다. 즉 바울이 성령세례를 주는 것은 성령과 관계되는 것이고, 너희들이 헌금을 내는 것은 종교적인 일이라는 것이다. 너희들이 종교적인 행위로서 사역자들이 헌금내는 것의 일부를 취한다고 그게 과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9장 12절『다른 이들도 너희에게 이런 권리를 가졌거든 하물며 우리일까보냐 그러나 우리가 이 권리를 쓰지 아니하고 범사에 참는 것은 그리스도의 복음에 아무 장애가 없게 하려 함이로다』바울 뿐만 아니라 다른 사역자들도 교인들이 낸 헌금 중에서 일부를 사역자의 일한 대가로 받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지만, 바울은 이러한 권리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복음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었다.
9장 13-15절『성전의 일을 하는 이들은 성전에서 나는 것을 먹으며 제단에서 섬기는 이들은 제단과 함께 나누는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이와 같이 주께서도 복음 전하는 자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명하셨느니라 그러나 내가 이것을 하나도 쓰지 아니하였고 또 이 말을 쓰는 것은 내게 이같이 하여 달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차라리 죽을지언정 누구든지 내 자랑하는 것을 헛된 데로 돌리지 못하게 하리라 』바울은 복음 사역자들이 그들의 일한 대가를 받는 것을 구약시대 성전 일을 하는 이들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바울은 대가를 받는 것으로 인해서 복음이 잘못 이해될까봐 차라리 죽을지언정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9장 16-17절『내가 복음을 전할지라도 자랑할 것이 없음은 내가 부득불 할 일임이라 만일 복음을 전하지 아니하면 내게 화가 있을 것이로다 내가 내 자의로 이것을 행하면 상을 얻으려니와 내가 자의로 아니한다 할지라도 나는 사명을 받았노라』그런데, 복음을 전하는 것은 자랑할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당연히 전하여야 할 사명인 것을 말해주고 있다. 사역자들이 살아가는데, 돈이 필요하므로 교회가 사례비를 지급하는 것인데, 과도한 사례비를 요구하는 자들이 있다면, 복음을 전하는 사명보다 돈에 더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9장 18절『그런즉 내 상이 무엇이냐 내가 복음을 전할 때에 값없이 전하고 복음으로 말미암아 내게 있는 권리를 다 쓰지 아니하는 이것이로다』 바울은 복음을 전하는 것을 돈과 연관짓지 않는다. 복음을 전하는 것이 값없이 전하는 것이므로, 그 사역의 대가를 바라는 권리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9장 19절『내가 모든 사람에게서 자유로우나 스스로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더 많은 사람을 얻고자 함이라』바울이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자신의 삶에서 포기한 것들을 여러가지로 말했는데, 추가로 말한다. 성령받는 사람은 죄로부터 자유인이지만,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더 많은 사람을 하나님의 사람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9장 20-23절『유대인들에게 내가 유대인과 같이 된 것은 유대인들을 얻고자 함이요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는 내가 율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나 율법 아래에 있는 자 같이 된 것은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율법 없는 자에게는 내가 하나님께는 율법 없는 자가 아니요 도리어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에 있는 자이나 율법 없는 자와 같이 된 것은 율법 없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라 약한 자들에게 내가 약한 자와 같이 된 것은 약한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내가 여러 사람에게 여러 모습이 된 것은 아무쪼록 몇 사람이라도 구원하고자 함이니』 바울은 복음으로 인하여 구원받게 하기 위하여 유연하게 행동했다. 그 대상에 따라 그와 같은 동류로 보이겠끔 행동한 것이다. 유대인인가, 이방인인가, 율법주의자인가 아닌가, 약자인가 아닌가를 봐가면서 그들의 입장에서 복음의 진실을 전하는 것이다. 이를 토착화 전도라고 말을 하기도 한다.
9장 24-26절『달음질하는 자들이 다 달릴지라도 오직 상을 받는 사람은 한 사람인 줄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너희도 상을 받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 다투는 자마다 모든 일에 절제하나니 그들은 썩을 승리자의 관을 얻고자 하되 우리는 썩지 아니할 것을 얻고자 하노라 그러므로 나는 달음질하기를 향방 없는 것 같이 아니하고 싸우기를 허공을 치는 것 같이 아니하며』 복음을 전하는 자들은 운동경기에 1등을 목표로 하듯이 최선을 다하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위하여 자신을 절제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하나님을 떠난 자들이 회개하여 하나님께로 돌아서고,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고, 함께 부활하여, 성령세례를 받는 자가 되고, 호 로고스의 말씀을 전하는 사명을 받게 되는 것이다.
9장 27절『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신이 도리어 버림을 당할까 두려워함이로다』 바울 자신도 열심히 복음을 전했는데, 방향과 목표점이 다른 엉뚱한 복음을 전했는지 두렵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바울은 이전에는 율법주의에 빠져 있었던 자였기 때문이다. 사역자가 잘못된 복음을 전하면, 도리어 버림을 당하게 된다는 것을 바울은 말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