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 안에서 복음 안에서
(1장 9-10절) 『내가 그의 아들의(투 휘우) 복음 안에서(토 유앙겔리온) 내(무 엔) 심령으로(엔 토 프뉴마티) 섬기는(라트류오) 하나님이 나의 증인이 되시거니와 항상 내 기도(프로슈케)에 쉬지 않고(호스 아디알레잎토스) 너희를 말하며(므네이안) 어떻게 하든지 이제 하나님의 뜻 안에서 너희에게로(휘몬) 나아갈 좋은 길 얻기를 구하노라(포이우마이)』
여기서 호 라트류오 엔 토 프뉴마티 무 엔 토 유앙겔리온 투 휘우는 내가 섬기는, 나의 성령 안에서, 나의 복음 안에서 라는 의미다. 이 말은 관계대명사 호와 하나님을 연결한다. 즉 바울은 라트류오 엔 토 프뉴마티 무 엔 토 유앙겔리온 투 휘우를 통하여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해서 말을 하는 것이다. 제사장으로서 하나님을 섬기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엔 토 프뉴마티(성령 안에서)이고, 엔 토 유앙겔리온 토 휘우 아우투그의 아들의 복음 안에서)가 되는 것이다. 프로슈케의 기도는 하나님의 뜻을 가지고 하는 기도이다. 바울이 기도할 때마다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을 언급하는 것은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기 때문이다.
호스 아디알레잎토스는 심지어 쉬지 않고 라는 의미다. 호스 아디알렢토스 므네이안 휘몬 포이우마이는 심지어 쉬지 않고 너희의 언급을 만들고 있다 라는 의미다. 포이우마이는 중간태로서 이것은 바울이 기도할 때마다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을 언급하는 것이 자신을 위한 것임을 보여준다. 바울은 단순히 로마교회를 위한 기도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따라 프로슈케의 기도로 인해 하나님과 더 친밀한 관계가 생긴다는 것을 알았던 것이다. 즉 프로슈케 기도는 기도 대상과 자신에게 다 유익한 기도가 되는 것이다.
(1장 11-13절)『내가 너희(휘마스) 보기를(이데인) 간절히 원하는(에피포도) 것은 어떤 신령한 은사를 너희에게 나누어 주어 너희를 견고하게 하려 함이니 이는 곧 내가 너희 가운데서(엔 휘민) 너희와 나의(에무) 믿음으로(테스 엔 알레로이스 피스테오스) 말미암아(디아) 피차(휘몬 테) 안위함(쉼파라클레데나이)을 얻으려 함이라 형제들아 내가 여러 번 너희에게 가고자 한 것을 너희가 모르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너희 중에서도 다른 이방인 중에서와 같이 열매를 맺게 하려 함이로되 지금까지 길이 막혔도다』
에피포도 가르 이덴인 휘마스는 왜냐하면 나는 너희를 보기를 심히 사모한다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이 로마 교회에 반드시 가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어떤 신령한 은사를 나누어 주기 위함이라고 했다. 은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안수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그 은사를 나누어주는 것이다. 바울은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이 제사장의 믿음을 갖는데 있어서 이 은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했다.『투토 데 에스틴 쉼파라클레데나이 엔 휘민 디아 테스 엔 알렐로이스 피스테오스 휘몬 테 카이 에무』로서다시 번역해보면, 『이것은 너희와 나의 둘 다의 서로 안에 있는 그 믿음을 통하여 너희들 안에서 권면되어지려는 것이다』 라는 것이다. 바울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은사(예언의 은사)를 주려고 하는 이유는 첫째, 너희 안에서 함께 권면되어지기 위함이다. 보혜사는 파라클레토스인데, 쉼(함께) 파라클레오(옆에서 권면하다)는 옆에서 권면하는 분이다.
두번째는 서로 안에 있는 그 믿음을 통하여 라는 것이다. 그 믿음은 우리의 믿음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믿음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은 십자가에서 죽고 다시 부활하는 믿음을 의미한다. 십자가의 죽음이 없는 부활은 불가능한 것이다. 성도가 성령세례를 받기 위한 조건도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연합되어 죽는 그 믿음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성도간에 이 믿음을 통하여 은사를 전해줄 수 잇는 것이다.
바울이 말하는 열매는 복음의 열매이다. 복음의 열매는 내가 믿는 그런 믿음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믿음으로 될 때 복음의 열매가 맺히게 된다. 그리스도의 믿음을 소유한 성도는 하나님의 뜻을 실현할 수 잇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날 것이고 그곳에 하나님 나라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1장 14-16절)『헬라인이나 야만인이나 지혜 있는 자나 어리석은 자에게 다 내가 빚진 자라(오페일레테스 에이미) 그러므로 나는 할 수 있는 대로(후토스 토 카트 에메) 로마에 있는 너희에게도 복음 전하기를(유앙겔리사스다이) 원하노라(프로뒤몬)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에파이스퀴노마이) 아니하노니(우 가르)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로다』 오페일레테스 에이미는 나는 빚진 자이다 라는 의미다. 헬라인(지혜있는 자)이나 야만인(어리섞은 자), 즉 배운 자나 배우지 못한 자나 모두에게 빚진 자라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학문적 배움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보여준다.
후토스 토 카트 에메는 이와 같이 나를 따라서 라는 의미다. 프로뒤몬은 열정(강렬한 의지)이 있다 라는 의미다. 그 열정은 로마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이 스스로에게 복음을 전하는 열정이다. 제대로 된 복음을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다. 유앙겔리사스다이는 아오리스트 시제, 중간태를 사용하고 있는데, 동사의 행동을 받는 대상이 자기 자신에게 적용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은 다른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로마의 그리스도인들이 스스로에게 복음을 전하는 열정을 의미한다. 바울이 전하는 복음은 오늘날 전하는 복음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바울이 전하는 복음은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 그 분을 영접하고 그 분 또한 성도의 심령 속으로 들어가 서로 대화하며, 성도가 호 로고스의 음성을 듣고 인도하심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다. 우 가르 에파이스퀴노마이(중수디포테)는 복음을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 라는 의미다. 복음 전도자로서 복음을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