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동일한 성령으로 행하지 아니하더냐
(고린도후서 12장 11-21절) 『내가 어리석은 자가 되었으나 너희가 억지로 시킨 것이니 나는 너희에게 칭찬을 받아야 마땅하도다 …………내 하나님이 나를 너희 앞에서 낮추실까 두려워하고 또 내가 전에 죄를 지은 여러 사람의 그 행한 바 더러움과 음란함과 호색함을 회개하지 아니함 때문에 슬퍼할까 두려워하노라』
12장 11절『내가 어리석은 자가 되었으나 너희가 억지로 시킨 것이니 나는 너희에게 칭찬을 받아야(쉬니스타스다이) 마땅하도다 내가 아무 것도 아니나 지극히 크다는 사도들보다 조금도 부족하지 아니하니라』어리석은 자라는 것은 바울이 삼층천에 갔다 온 것과 같은 종교적으로 신비주의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쉬니스타스다이는 쉬니(하나님과 함께)와 스타스다이(서다)의 합성어다. 우리말 번역의 오류다.『너희에게 칭찬을 받아야 마땅하도다』가 아니라,『너희에 의해서 하나님과 함께 서는 것이 마땅하도다』라고 해야 한다. 바울이 종교적으로 어리석은 자랑을 한 것은 결국 고린도 교회 교인들이 시킨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들이 종교적인 자랑을 하므로 바울도 종교적인 자랑을 함으로서 그것이 별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고, 그를 통해서 하나님이 바울을 더 세워주신다는 것이다. 바울이 어리석은 자랑을 한 것도 주님이 그렇게 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린도교회 교인들이 바울을 깍아내리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으므로 바울도『지극히 크다는 사도들보다 조금도 부족하지 아니하니라』라고 말한다.
12장 12절『사도의 표가 된 것은 내가 너희 가운데서 모든 참음(휘포모네)과 표적과 기사와 능력을 행한 것이라』휘포모네는 휘포(~아래)와 모네(머무는 것)의 합성어로 하나님의 보좌 아래 머무는 것을 의미한다. 마리아가 예수님의 발치에 앉아 말씀을 듣는 것을 의미한다. 휘포모네를 통해서 표적과 기사와 능력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게 사도라는 것이다. 표적과 기사와 능력은 바울이 하는 것이 아니라, 바울을 통해서 그리스도께서 하시는 것이다.
12장 13절『내 자신이 너희에게 폐를 끼치지 아니한 일밖에 다른 교회보다 부족하게 한 것이 무엇이 있느냐 너희는 나의 이 공평하지 못한 것을 용서하라』 바울은 고린도교회에 대해서 무엇을 요구하거나 받은 것이 없지만, 그 교회 교인들은 바울에 대해서 좋지 않은 말을 하므로 이렇게 바울이 말하는 것이다.
12장 14절『보라 내가 이제 세 번째 너희에게 가기를 준비하였으나 너희에게 폐를 끼치지 아니하리라 내가 구하는 것은 너희의 재물이 아니요 오직 너희니라 어린 아이가 부모를 위하여 재물을 저축하는 것이 아니요 부모가 어린 아이를 위하여 하느니라』바울은 재물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데, 그 교회 교인들은 바울이 재물을 요구하는 것처럼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이 재물이 아니라, 신도들을 향하는 마음이라고 강조한다.
12장 15절『내가 너희 영혼(프쉬콘)을 위하여 크게 기뻐하므로 재물을 사용하고 또 내 자신까지도 내어 주리니 너희를 더욱 사랑할수록(아가폰) 나는 사랑을 덜 받겠느냐(헤쏜 아가포마이)』프쉬콘은 혼을 의미하며, 아가폰은 하나님의 사랑으로 사랑한다는 것이다. 해쏜 아가포마이는 하나님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12장 16절『하여간 어떤 이의 말이 내가 너희에게 짐을 지우지는 아니하였을지라도 교활한 자가 되어 너희를 속임수로 취하였다 하니』 어떤 사람이 바울이 고린도교회 사람들에게 종교적인 짐을 지우지 않았지만, 교활하게 속여서 돈을 빼앗는다고 말을 한다는 것이다. 어린아이와 같은 신앙이다.
12장 17절『내가 너희에게 보낸 자 중에 누구로 너희의 이득을 취하더냐』바울이 보낸 자는 디도를 의미한다.
12장 18절『내가 디도를 권하고 함께 한 형제를 보내었으니(쉬나페스테일라) 디도가 너희의 이득을 취하더냐 우리가 동일한 성령으로 행하지(페리에파테사멘) 아니하더냐 동일한 보조로 하지 아니하더냐』 바울이 디도를 권면했다. 쉬나페스테일라는 하나님과 함께 가도록 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말 번역에는 한 형제가 등장하는데, 잘못된 번역이다. 한 형제가 아니라 그 형제라는 말이다. 즉 그 형제는 디도이며, 하나님과 함께 그 형제를 가도록 한 것이다. 하나님과 함께 간 디도가 이득을 취하겠느냐 라고 말하는 것이다. 페리에파테사멘은 함께 걸어가다라는 의미다.
12장 19절『너희는 이 때까지(팔라이) 우리가 자기 변명(아폴로구메다)을 하는 줄로 생각하는구나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 앞에 말하노라 사랑하는 자들아 이 모든 것은 너희의 덕(오이코도메스)을 세우기 위함이니라』팔라이는 다시 라는 의미다. 아폴로구메다는 하나님이 주시는 말을 전하는 것이다.『너희는 우리가 하나님이 주시는 말을 하는 자라는 것으로 다시 생각해야한다』는 것이다. 오이코도메스는 집이다. 신도의 심령 속에 거하는 집(성전)을 의미한다. 성도의 심령 속에 성전이 임하고, 성도 역시 성전 안으로 들어가야만 주님 안에 거할 수 있다. 주님이 곧 성전이기 때문이다. 요한복음 15장 4절에서 예수님이 내 안에 거하라고 말씀하신다. 그러면 예수님도 나도 너희 안에 거하리라 라고 말씀하신다. 먼저 심령 속의 성전 안으로 들어오라는 것이다. 성전 속으로 들어가지 않은 자는 주님이 성도의 심령 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는 말씀이다. 기독교의 신앙은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는 신앙이다.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성도가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될 때, 하나님이 성도를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게 하신다.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간 자는 파루시아가 되는 것이다. 헬라어 파루시아는 히브리어가 임마누엘이다.
12장 20-21절『내가 갈 때에 너희를 내가 원하는 것과 같이 보지 못하고 또 내가 너희에게 너희가 원하지 않는 것과 같이 보일까 두려워하며 또 다툼과 시기와 분냄과 당 짓는 것과 비방과 수군거림과 거만함과 혼란이 있을까 두려워하고 또 내가 다시 갈 때에 내 하나님이 나를 너희 앞에서 낮추실까 두려워하고 또 내가 전에 죄를 지은 여러 사람의 그 행한 바 더러움과 음란함과 호색함을 회개하지 아니함 때문에 슬퍼할까 두려워하노라』
여기에는 바울이 세가지를 두려워한다는 말로 표현했다. 첫째는 고린도교회 교인들이 바울이 원하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까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신비주의에 빠지는 것이다. 바울은 신비주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파루시아가 되어라는 말이다. 두번째는 이런 일들로 인해서 교회 내에 분란이 있을까 두려워 한다는 것이다. 신비주의를 쫒는 자들이 호 로고스의 말씀을 따라 사는 자들을 비판하고 공격하는 것이다. 세번째는 교인들이 신비주의를 자랑하므로 바울이 자신의 경험을 말하게 되었는데, 이게 자신을 낮추는 것이 되는 것이다. 네번째는 교인들중에 호색 행위에 대해서 회개하고 돌이키지 않을까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호색행위의 이면에는 그리스도를 따르고 또 다른 신비주의를 추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신비주의는 영지주의로 발전하기 때문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