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문에 이르니 문이 저절로 열리는지라
사도행전 12장 1-3절『그 때에 헤롯 왕이 손을 들어 교회 중에서 몇 사람을 해하려 하여 요한의 형제 야고보를 칼로 죽이니 유대인들이 이 일을 기뻐하는 것을 보고 베드로도 잡으려 할새 때는 무교절 기간이라』
헤롯 왕은 아기 예수께서 탄생하실 당시에 유대를 통치했던 헤롯 대왕의 손자의 헤롯 아그립바1세다. 헤롯 왕은 친유대교적인 정책을 펴면서 유대인들의 환심을 사기위해 노력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유대인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기독교인을 탄압하고 핍박한 사건이 나오는데, 요한의 형제 야고보를 죽임으로 사도 중 첫 순교자가 되게 하였다. 야고보를 죽인 일로 인해 유대인들이 기뻐했다고 증거한다. 기분좋게 만족할 정도로 유대인들이 기뻐하는 모습을 본 헤롯 왕은 베드로까지 옥에 가두며 기독교인들을 향한 탄압을 지속하였다. 헤롯은 초대교회 우두머리 격인 베드로도 잡아들이면 유대 지도자들이 자신을 더욱 지지할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베드로를 옥에 가둔 시기는 유대교의 3대 절기 중 하나인 유월절 기간이었다.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의 노예 생활로부터 해방한 것을 기념하는 절기다. 유월절 시작 다음날부터 일주일 동안 누룩없는 빵을 먹는 무교절이다. 헤롯 왕은 이스라엘의 가장 중요한 절기인 유월절이 지난 후에 베드로를 공개 처형함으로 자신의 정치적인 기반을 확고히 하기를 원했다.
12장 4-5절『잡으매 옥에 가두어 군인 넷씩인 네 패에게 맡겨 지키고 유월절 후에 백성 앞에 끌어 내고자 하더라 이에 베드로는 옥에 갇혔고 교회는 그를 위하여 간절히 하나님께 기도하더라(프로슈케)』
베드로가 옥에 갇히자 교회(마가의 다락방에 있던 성도들)는 베드로를 위해 간절히 프로슈케의 기도했다. 기도는 프로슈케와 유케가 있는데, 프로슈케는 심령 속의 성전에 임재하시는 호 로고스에게 들어가 기도하는 것을 의미하고, 유케는 일반적으로 신도가 신에게 자기의 소원과 복을 비는 그런 기도를 의미한다. 그 간절한 기도는 헤롯이 베드로를 끌어내어 자신의 계획을 실행하기 바로 전날 하나님의 개입하심으로 상황이 달라졌다.
12장 6-9절 『헤롯이 잡아 내려고 하는 그 전날 밤에 베드로가 두 군인 틈에서 두 쇠사슬에 매여 누워 자는데 파수꾼들이 문 밖에서 옥을 지키더니 홀연히 주의 사자가 나타나매 옥중에 광채가 빛나며 또 베드로의 옆구리를 쳐 깨워 이르되 급히 일어나라 하니 쇠사슬이 그 손에서 벗어지더라 천사가 이르되 띠를 띠고 신을 신으라 하거늘 베드로가 그대로 하니 천사가 또 이르되 겉옷을 입고 따라오라 한대 베드로가 나와서 따라갈새 천사가 하는 것이 생시인 줄 알지 못하고 환상을 보는가 하니라』파수꾼들에 의해 겹겹이 포위되어 베드로가 깊은 잠에 빠져있을 때 주의 사자가 나타나 베드로를 급히 깨웠다. 그리고 베드로는 천사의 인도에 따라 시내로 통한 육중한 쇠문이 저절로 열리자 사람의 힘으로는 도저히 탈출할 수 없었던 감옥을 걸어서 나왔다.
12장 10-12절『이에 첫째와 둘째 파수를 지나 시내로 통한 쇠문에 이르니 문이 저절로 열리는지라 나와서 한 거리를 지나매 천사가 곧 떠나더라 이에 베드로가 정신이 들어 이르되 내가 이제야 참으로 주께서 그의 천사를 보내어 나를 헤롯의 손과 유대 백성의 모든 기대에서 벗어나게 하신 줄 알겠노라 하여 깨닫고 마가라 하는 요한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에 가니 여러 사람이 거기에 모여 기도하고 있더라』
베드로는 자신이 견고한 감옥에서 빠져 나왔다는 사실을 한 거리를 지나서야 깨달았다. 그리고 곧바로 자신을 위해 기도하고 있는 사람들이 모여 있던 마가라 하는 요한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으로 갔다. 사람들은 베드로가 감옥을 빠져 나왔으나 그 사실을 믿지 못했다. 그만큼 베드로가 갇혀있던 감옥이 견고했음을 의미한다.
12장 13-15절 『베드로가 대문을 두드린대 로데라 하는 여자 아이가 영접하러 나왔다가 베드로의 음성인 줄 알고 기뻐하여 문을 미처 열지 못하고 달려 들어가 말하되 베드로가 대문 밖에 섰더라 하니 그들이 말하되 네가 미쳤다 하나 여자 아이는 힘써 말하되 참말이라 하니 그들이 말하되 그러면 그의 천사라 하더라』마가의 다락방에서 모인 성도들이 프로슈케의 기도를 했으며, 베드로가 빠져 나왔다는 말을 들었을 때, 그들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못하고 그 하녀에게 미쳤다고 말을 한 것이다. 그 만큼 기도를 함에도 결과에 대해서는 믿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즉 그들이 프로슈케의 기도를 한다고 하면서도 믿음의 기도를 하지 못한 것이다.
12장 16-17절『베드로가 문 두드리기를 그치지 아니하니 그들이 문을 열어 베드로를 보고 놀라는지라 베드로가 그들에게 손짓하여 조용하게 하고 주께서 자기를 이끌어 옥에서 나오게 하던 일을 말하고 또 야고보와 형제들에게 이 말을 전하라 하고 떠나 다른 곳으로 가니라』베드로가 마가의 다락방에 들어가서 그동안의 경위를 설명하고, 그들이 프로슈케 기도에 대한 믿음을 가지게 된다. 그들은 기도를 했지만, 베드로가 나오리라는 것은 믿지 못한 것이다. 기도와 믿음은 항상 동일하게 이루어진다는 사실이다.
12장 18-23절『 날이 새매 군인들은 베드로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지 못하여 적지 않게 소동하니 헤롯이 그를 찾아도 보지 못하매 파수꾼들을 심문하고 죽이라 명하니라 헤롯이 유대를 떠나 가이사랴로 내려가서 머무니라 헤롯이 두로와 시돈 사람들을 대단히 노여워하니 그들의 지방이 왕국에서 나는 양식을 먹는 까닭에 한마음으로 그에게 나아와 왕의 침소 맡은 신하 블라스도를 설득하여 화목하기를 청한지라 헤롯이 날을 택하여 왕복을 입고 단상에 앉아 백성에게 연설하니 백성들이 크게 부르되 이것은 신의 소리요 사람의 소리가 아니라 하거늘 헤롯이 영광을 하나님께로 돌리지 아니하므로 주의 사자가 곧 치니 벌레에게 먹혀 죽으니라』
역사 기록에 의하면 헤롯은 은으로 만든 빛나는 옷을 입었으며, 그 옷이 햇빛에 빛나자 아첨꾼들이 그를 신으로 추대하여 소리쳤다고 한다. 그는 아첨꾼들이 자신을 추켜세우는 함성을 듣고 매우 만족해했고, 결국 갑작스러운 복통으로 5일 후에 죽게 되었다. 그가 죽자 그 몸이 썩어 벌레가 생겨났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그가 벌레에 어떻게 먹히게 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교회를 박해했던 헤롯의 비참한 최후를 강조하고 있다. 헤롯은 유대인의 왕이다. 그런데,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못하므로 죽었다는 것이다.
12장 24-25절『하나님의 말씀(로고스 투 데우)은 흥왕하여 더하더라 바나바와 사울이 부조하는 일을 마치고 마가라 하는 요한을 데리고 예루살렘에서 돌아오니라』호 로고스의 말씀이 더 활발하게 전해지는 것이다. 박해가 아무리 심해도 호 로고스의 말씀은 더 멀리 전파되었다. 그 귀중한 일에는 지속해서 하나님의 사람들이 쓰임 받았다.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바나바와 사울이 25절 말씀에 등장하며 사도행전의 무대를 이어갔고, 베드로는 사도행전 15장에 잠시 등장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무대에서 사라진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