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이 회당에서 강론하고 유대인과 헬라인을 권면하니라
사도행전 18장 1-3절 『그 후에 바울이 아덴(아테네)을 떠나 고린도에 이르러 아굴라라 하는 본도(본토:로마)에서 난 유대인 한 사람을 만나니 글라우디오가 모든 유대인을 명하여 로마에서 떠나라 한 고로 그가 그 아내 브리스길라와 함께 이달리야로부터 새로 온지라 바울이 그들에게 가매 생업이 같으므로 함께 살며 일을 하니 그 생업은 천막을 만드는 것이더라』
아테네는 철학의 도시라면, 고린도는 상업의 도시였다. 황제 클라우디우스는 로마의 유대인들이 폭동을 일으키자 유대인들에게 추방령을 내렸다. 아굴라와 브리스길라 부부는 이 때 로마를 떠나 고린도에 정착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바울과 마찬가지로 천막 제조업자들이었다. 바울은 이 부부의 집에 함께 살면서 주중에는 천막을 만들고 안식일에는 회당에서 복음을 전했다. 이들 부부로 인해 바울은 고린도에서 오랜 기간을 머무르며 복음을 전할 수 있었다. 바울의 동역자는 이들만이 아니었다. 실라와 디모데가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고린도로 내려와 합류했다.
18장 4-5절『안식일마다 바울이 회당에서 강론하고 유대인과 헬라인을 권면하니라 실라와 디모데가 마게도냐로부터 내려오매 바울이 하나님의 말씀에 붙잡혀(쉬네이케토 토 로곤 호 바울)유대인들에게 예수는 그리스도라 밝히 증언하니』로곤은 말씀이신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쉬네이토 토 로곤 호 바울은 바울이 말씀에 붙잡혔다 라는 것이다. 하나님이라는 단어는 없는데, 한글 개역개정에는 포함시켰다. 쉬네이게토는 미완료 수동태이다. 쉬(함께)와 에코(소유하다)의 합성이다. 해석하면 함께 소유되었다 라는 것이다. 바울이 말씀이신 그리스도와 함께 소유되었다 라는 말은 바울이 말씀이신 호 로고스와 하나가 되어 성부 하나님께 소유가 되는 것이다.
사역은 사도적인 사역과 은사적인 사역이 있는데, 빌립 집사와 같은 경우는 대체로 은사 사역이라면, 바울은 사도적인 사역이라고 말을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호 로고스를 통한 사역을 하기 때문이다. 사도행전 6장 2-4절에서 열두 사도가 제자를 불로 모아놓고 하나님 말씀을 제쳐놓고 접대를 일삼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말하고 그들은 오직 기도와 말씀 사역에만 힘쓴다고 말을 하는데, 그 사역이 바로 사도적인 사역을 의미한다. 만일 호 로고스와 함께 하는 사역이 안된다면 그것은 사도적인 사역이 아닌 것이다. 오늘날 교회의 현실은 대부분 교역자들이 전혀 호 로고스의 사역이 아닌 것이다. 호 로고스의 사역을 하면, 호 로고스의 권세가 나타난다. 호 로고스로 사역을 하면, 귀신들이 쫒겨나고 큰 권능의 역사가 나타나는 것을 성경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호 로고스에 의한 사역이 아닌 은사적인 사역은 한계가 있는 것이다. 예수님이 보내신 제자 중에서 귀신을 쫒아내지 못한 자가 있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예수님이 말씀하셨다. 그 해답은 기도(프로슈케)와 믿음이라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기도와 믿음은 호 로고스와 관계가 되는 것이다. 호 로고스를 만나는 프로슈케를 하면 주님이 강력한 권세(카리스마)를 주시는 것이다.
18장 6절『그들이 대적하여 비방하거늘 바울이 옷을 털면서 이르되 너희 피가 너희 머리로 돌아갈 것이요 나는 깨끗하니라 이 후에는 이방인에게로 가리라 하고』바울은 옷을 털어버렸다. 왜냐하면 율법주의 유대인들은 돌이키지 않기 때문이다. 돌이키지 않는 자들을 억지로 돌이키라고 애원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18장 7-8절『거기서 옮겨 하나님을 경외하는 디도 유스도라 하는 사람의 집에 들어가니 그 집은 회당 옆이라 또 회당장 그리스보가 온 집안과 더불어 주를 믿으며(에피스튜센) 수많은 고린도 사람도 듣고 믿어 세례를 받더라』 에피스튜센은 아오리스트 시제로서 순간 믿게 되는 것이다. 회당장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것은 쉬운 것이 아니다. 그런데, 말씀을 듣고 순간적으로 깨닫고 믿음이 오는 것이다.
18장 9절『밤에 주께서 환상 가운데(디 호라마토스) 바울에게 말씀하시되 두려워하지 말며 침묵하지 말고 말하라』디는 ~을 통하여 라는 의미다. 환상을 통하여 말씀하신다. 환상을 보았다거나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거나 할 때 영적 분별이 반드시 필요하다. 사역과 관련되지 않으면, 주의해야 할 문제인 것이다. 호 로고스와 친밀한 관계(기노스코:히브리어 야다)가 되는 상태에서 영적 분별인 것이다. 항상 프로슈케의 기도를 하고 호 로고스와 대화를 나누는 사람의 경우는 문제가 안되지만, 갑자기 어떤 사람에게 계시가 주어진다면 참인지 가짜인지 분별되어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 보이스피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분명히 진짜인지 가짜인지 분별해야만 하는데, 영적으로 분별하기 위해서는 심령 속의 지성소로 들어가서 확인을 해야 하는 것이다. 지성소에 들어가서 머물고 호 로고스와 대화하는 것은 쉬운 것이 아니다. 심지어 환란이라는 한글 개역개정에는 표현되어 있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18장 10절『내가 너와 함께 있으매 어떤 사람도 너를 대적하여 해롭게 할 자가 없을 것이니 이는 이 성중에 내 백성(라오스)이 많음이라 하시더라』 라오스는 영어로 people이다. 엘리야가 아합왕으로 부터 도망치면서 하나님께 나 혼자 남았습니다 라고 말을 하니 하나님이 바알에게 무릎꿇지 않은 칠천명을 남겨두었다 라고 말한 것과 같은 그런 느낌을 준다.
18장 11절『일 년 육 개월을 머물며 그들 가운데서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니라(디다스콘)』 고린도에서 일년 육개월을 머물면서 하나님의 그 말씀(톤 로곤 투 데우)을 가르쳤다. 디다스콘은 가르쳤다는 것이다. 호 로고스를 말하다는 말은 호 로고스에 의해서 말을 하는 것이다. 호 로고스를 가르쳤다는 말은 호 로고스에 대해서 가르치는 것이다. 호 로고스는 심령 중에 임재하시는 말씀이신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18장 12-13절『갈리오가 아가야 총독 되었을 때에 유대인이 일제히 일어나 바울을 대적하여 법정으로 데리고 가서 말하되 이 사람이 율법을 어기면서 하나님을 경외하라고 사람들을 권한다 하거늘』 고린도에서도 유대인들은 바울을 대적했다. 그리고 바울을 잡아 다시 법정에 세웠고, 아가야 지방의 총독으로 있던 갈리오가 재판을 담당했다. 유대인들의 악의에 찬 고소를 다 들은 갈리오의 대답은 『무슨 말인지 알겠는데, 당신들의 율법에 관한 일은 당신들이 알아서 처리하시오. 나는 이런 일에 상관하지 않겠소.』라는 것이었다.
18장 14-15절『바울이 입을 열고자 할 때에 갈리오가 유대인들에게 이르되 너희 유대인들아 만일 이것이 무슨 부정한 일이나 불량한 행동이었으면 내가 너희 말을 들어 주는 것이 옳거니와 만일 문제가 언어와 명칭과 너희 법에 관한 것이면 너희가 스스로 처리하라 나는 이러한 일에 재판장 되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하고』주로 율법과 관계되는 일이므로 갈리오는 상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바울은 할례는 이미 옛언약에 불과하다는 것과 새언약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믿어야 한다는 것을 말했을 것이다.
18장 16-17절『그들을 법정에서 쫓아내니 모든 사람이 회당장 소스데네를 잡아 법정 앞에서 때리되 갈리오가 이 일을 상관하지 아니하니라』 바울은 로마 시민권자이므로 유대인들이 바울을 때리지 못하고 회당장이 당하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