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회개에 합당한 일을 하라 전하므로

사도행전 26장 19-20『아그립바 왕이여 그러므로 하늘에서 보이신 것을 내가 거스르지 아니하고 먼저 다메섹과 예루살렘에 있는 사람과 유대 온 땅과 이방인에게까지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회개에 합당한 일을 하라 전하므로』 


회개하고 돌이켜져서 회개의 합당한 열매를 맺는 것, 이것만이 살길이다. 바울은 아그립바 왕에게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도바울이 들은 음성이『어둠에서 빛으로, 사탄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고』그 다음에 죄사함이 나온다. 죄사함은 예수의 피만이 적용된다. 예수의 피로만 우리의 죄가 씻어진다. 그런데 모든 사람은 허물과 죄로 죽어있다는 것이다. 영적으로 죽어있는 사람들이 예수의 피로 씻는다고 해서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일단 살아나야지만 죄가 예수의 피로 씻어지는 것이다. 영이 살아나야지 하나님이 이렇게 죄를 씻어주신다는 말이다. 내가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피로 씻어지는게 아니라는 말이다. 죄를 씻기 위해서는 먼저 죄의 몸이 죽어야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믿음인 것이다. 회개하여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은 원래 하나님과 하나였는데, 스스로 하나님처럼 되고 싶어서 분리된 것이다. 그래서 돌이키라는 것이다.


26장 21-23절『유대인들이 성전에서 나를 잡아 죽이고자 하였으나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아 내가 오늘까지 서서 높고 낮은 사람 앞에서 증언하는 것은 선지자들과 모세가 반드시 되리라고 말한 것밖에 없으니 곧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으실 것과 죽은 자 가운데서 먼저 다시 살아나사 이스라엘과 이방인들에게 빛을 전하시리라 함이니이다 하니라』 


선지자들과 모세가 장차 되어질 것이라고 이야기 한 것 바로 구약 성경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으실 것과 죽은 자 가운데 먼저 다시 살아나사 이스라엘과 이방인들에게 빛을 전하시리라 한 이것을 바울은 죽도록 충성하며 이루어 갔던 것이다. 


26장 24-25절『바울이 이같이 변명하매 베스도가 크게 소리 내어 이르되 바울아 네가 미쳤도다 네 많은 학문이 너를 미치게 한다 하니 바울이 이르되 베스도 각하여 내가 미친 것이 아니요 참되고 온전한 말을 하나이다』 


바울의 열심에 대해 총독 베스도는 바울이 많은 학문을 공부하여서 미친 것 같다며 비아냥거리는 말투로 바울을 조롱하지만 바울은 이에 아랑곳 하지 않고 담대히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당하신 것과 죽은 자 가운데 부활하신 것에 대해 담대히 전하였다. 그리고 오히려 위축되기 보다는 아그립바 왕에게 그가 전한 복음의 메시지에 대한 믿음의 결단을 촉구하는 말을 담대하게 전하고 있다. 


26장 26-29절『왕께서는 이 일을 아시기로 내가 왕께 담대히 말하노니 이 일에 하나라도 아시지 못함이 없는 줄 믿나이다 이 일은 한쪽 구석에서 행한 것이 아니니이다 아그립바 왕이여 선지자를 믿으시나이까 믿으시는 줄 아나이다 아그립바가 바울에게 이르되 네가 적은 말로 나를 권하여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려 하는도다 바울이 이르되 말이 적으나 많으나 당신뿐만 아니라 오늘 내 말을 듣는 모든 사람도 다 이렇게 결박된 것 외에는 나와 같이 되기를 하나님께 원하나이다 하니라』 


바울이 그의 소명으로 여기며 일평생 동안 이스라엘 사람들과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했던 그의 삶을 잘 요약해 줌과 동시에 이 말씀은 신약 성경 역시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 그리고 복음이 땅 끝까지 전파되는 선교에 관해 기록하고 있다. 이 복음은 어떤 작은 나라에 불과한 일이 아니라 온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것임을 밝힌다. 선지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예언한 것을 잘 알고 있지 않는가 라고 말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음 전파에 대한 바울의 열정은 총독과 분봉왕 앞에서도 담대히 복음을 전하고 있다. 비록 미쳤다는 소리를 들어도, 생명의 위협을 당한다 하더라도 그는 복음을 끝까지 전한 것이다. 그래서 자신과 같이 모두가 하나님 나라의 상속자가 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26장 30-32절『왕과 총독과 버니게와 그 함께 앉은 사람들이 다 일어나서 물러가 서로 말하되 이 사람은 사형이나 결박을 당할 만한 행위가 없다 하더라 이에 아그립바가 베스도에게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가이사에게 상소하지 아니하였더라면 석방될 수 있을 뻔하였다 하니라』


바울은 다메섹으로 가는 도중 예수님을 만난 이후 하나님께서 그를 부르신 목적인 이스라엘 사람들과 이방인들을 향해 복음을 전하라는 소명에 따라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던 바울이었기에 그 자리에 있던 아그립바 왕, 베스도 총독과 버니게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자리를 떠나면서 바울은 사형이나 결박 당할만한 행위를 한 사람이 아니라고 이야기하며 돌아갔다. 그리고 아그립바 왕도 베스도 총독에게 만약 이 사람이 가이사에게 상소하지 않았으면 석방도 가능했을 것이라 말하여 그 자리를 떠났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