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중에 믿는 자 수만 명이 있으니 율법에 열성을 가진 자라
사도행전 21장 15-16절『이 여러 날 후에 여장을 꾸려 예루살렘으로 올라갈새 가이사랴의 몇 제자가 함께 가며 한 오랜 제자 구브로 사람 나손을 데리고 가니 이는 우리가 그의 집에 머물려 함이라』 바울은 성령께서 순간 순간 하시는 말씀을 따라 행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21장 17-18절『예루살렘에 이르니 형제들이 우리를 기꺼이 영접하거늘 그 이튿날 바울이 우리와 함께 야고보에게로 들어가니 장로들도 다 있더라』 사도 바울은 3차 전도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여, 예루살렘교회의 지도자들과 마주앉았다. 한쪽에는 이방인을 위한 사도 바울과 그 일행이 자리를 잡았고, 맞은편에는 유대인을 위한 사도 야고보와 예루살렘교회 장로들이 자리를 잡았다. 양측의 만남은 감동의 시간이었다.
21장 19-20절『바울이 문안하고 하나님이 자기의 사역으로 말미암아 이방 가운데서 하신 일을 낱낱이 말하니 그들이 듣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바울더러 이르되 형제여 그대도 보는 바에 유대인 중에 믿는 자 수만 명이 있으니 다 율법에 열성을 가진 자라』
사도 바울과 그 일행은 이방 가운데에서 하신 하나님의 역사를 보고했고, 사도 야고보와 장로들은 기쁜 마음으로 기꺼이 그들을 영접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다. 그러나 그들을 둘러싸고 기저에 미묘한 긴장이 도사리고 있음을 저자 누가는 피하지 않고 묘사하고 있다.
21장 21-24절『네가 이방에 있는 모든 유대인을 가르치되 모세를 배반하고 아들들에게 할례를 행하지 말고 또 관습을 지키지 말라 한다 함을 그들이 들었도다 그러면 어찌할꼬 그들이 필연 그대가 온 것을 들으리니 우리가 말하는 이대로 하라 서원한 네 사람이 우리에게 있으니 그들을 데리고 함께 결례를 행하고 그들을 위하여 비용을 내어 머리를 깎게 하라 그러면 모든 사람이 그대에 대하여 들은 것이 사실이 아니고 그대도 율법을 지켜 행하는 줄로 알 것이라』
예루살렘 교회 교인들 사이에 사도 바울에 관한 괴소문이 돌고 있었다. 바울이 이방 곳곳에 사는 유대인들에게 모세를 배반하고, 할례를 행하지 말고, 관습을 지키지 말라고 가르쳤다는 것이다. 바울은 모세를 배반하지 않았고, 관습을 지키지 말라고 하지도 않았다. 할례에 대해서도 그것이 구원의 조건이 아니라고 가르쳤을 뿐이다. 결박과 죽음의 위협을 예측한 사도 바울은 적대자들로부터 건져달라고 로마교회 교인들에게 합심기도를 요청했다.
21장 25-26절『주를 믿는 이방인에게는 우리가 우상의 제물과 피와 목매어 죽인 것과 음행을 피할 것을 결의하고 편지하였느니라 하니 바울이 이 사람들을 데리고 이튿날 그들과 함께 결례를 행하고 성전에 들어가서 각 사람을 위하여 제사 드릴 때까지의 결례 기간이 만기된 것을 신고하니라』 바울은 괴소문이 사실이 아님을 몸소 행함으로서 증명시켰다. 유대인들이 우려하는 바가 바로 율법에 관한 것이므로, 일단은 안심시켜 나가는 것이 전도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바울이 율법주의에 의해서 율법을 따라 행하는 것이 아니라, 유대인들에게 전도를 하기 위해서는 그들을 안심시켜야 한다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다. 물론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이렇게 행하는 것이다.
21장 27-28절『그 이레가 거의 차매 아시아로부터 온 유대인들이 성전에서 바울을 보고 모든 무리를 충동하여 그를 붙들고 외치되 이스라엘 사람들아 도우라 이 사람은 각처에서 우리 백성과 율법과 이 곳을 비방하여 모든 사람을 가르치는 그 자인데 또 헬라인을 데리고 성전에 들어가서 이 거룩한 곳을 더럽혔다 하니』
자신에 대한 유대인들의 오해와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정결예식을 치른 바울은 아시아에서 온 유대인들로 인해 또 다시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아시아는 그 중심도시인 에베소지방을 말한다. 에베소라고 하면 아데미 신상을 만들어 팔아서 부를 얻다가 바울이 우상은 신이 아니라고 가르침으로 그동안 해오던 부를 축적하던 길이 막히게 된 은장색 데메드리오의 선동으로 큰 소요사태가 났던 곳이다. 그 곳에서 바울은 죽음의 위기까지 갔다가 살아나온 것이다.
이런 일이 있었던 에베소에서 온 유대인들은 바울을 곧바로 알아보았다. 바울은 에베소에 3년이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을 주께 돌아오게 하였으므로 이미 많이 알려져 있었다. 성전 바깥뜰에 있던 바울을 본 에베소 유대인들은 그 곳에 있던 모든 무리를 충동하여 바울을 붙들었다. 여기에서『충동하다』라는 원어의 뜻은 에베소에서 일어났던 소동을 표현할 때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바울을 비방하며 자극적인 말로 선동하고 있다.
21장 29-32절『이는 그들이 전에 에베소 사람 드로비모가 바울과 함께 시내에 있음을 보고 바울이 그를 성전에 데리고 들어간 줄로 생각함이러라 온 성이 소동하여 백성이 달려와 모여 바울을 잡아 성전 밖으로 끌고 나가니 문들이 곧 닫히더라 그들이 그를 죽이려 할 때에 온 예루살렘이 요란하다는 소문이 군대의 천부장에게 들리매 그가 급히 군인들과 백부장들을 거느리고 달려 내려가니 그들이 천부장과 군인들을 보고 바울 치기를 그치는지라』
그들이 소란을 피우는 이유는 첫째는 바울이 유대인과 율법과 성전을 훼방하는 가르침을 퍼트리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죄인인 이방인을 거룩한 성소에 들여와 성전을 더럽혔다는 것이다. 그러나 바울은 그 모든 것이 오해이고 왜곡이었다는 것을 정결예식을 행함으로 보였고, 이방인 드로비모를 데리고 성전 안에 들어간 것이 아니라는 것도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에서 온 유대인들은 에베소에서 바울에게 행했던 것과 똑같이 다시 그를 붙잡고 폭행을 가하며 죽이고자 했고, 무리들은 얼마나 소리를 지르며 소동을 벌였던지 천부장이 내막을 도저히 알 수가 없어 바울을 그들로부터 떼어내서 성내로 데리고 들어가게 된다.
21장 33-36절『이에 천부장이 가까이 가서 바울을 잡아 두 쇠사슬로 결박하라 명하고 그가 누구이며 그가 무슨 일을 하였느냐 물으니 무리 가운데서 어떤 이는 이런 말로, 어떤 이는 저런 말로 소리 치거늘 천부장이 소동으로 말미암아 진상을 알 수 없어 그를 영내로 데려가라 명하니라 바울이 층대에 이를 때에 무리의 폭행으로 말미암아 군사들에게 들려가니 이는 백성의 무리가 그를 없이하자고 외치며 따라 감이러라』죽음의 위기에서 벗어나게 된 바울은 그 와중에도 천부장에게 말할 기회를 얻게 되고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게 된다.
21장 37-40절『바울을 데리고 영내로 들어가려 할 그 때에 바울이 천부장에게 이르되 내가 당신에게 말할 수 있느냐 이르되 네가 헬라 말을 아느냐 그러면 네가 이전에 소요를 일으켜 자객 사천 명을 거느리고 광야로 가던 애굽인이 아니냐 바울이 이르되 나는 유대인이라 소읍이 아닌 길리기아 다소 시의 시민이니 청컨대 백성에게 말하기를 허락하라 하니 천부장이 허락하거늘 바울이 층대 위에 서서 백성에게 손짓하여 매우 조용히 한 후에 히브리 말로 말하니라』
바울은 자신이 시민권자라는 것을 밝히고 그제서야 천부장은 바울에게 말할 것을 허락한다. 사도바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사탄의 권세아래 있는데, 빛을 비춰주지 않으면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도무지 인간의 힘으로는 스스로 빠져 나올 수 없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외에는 사탄의 권세에서 구원할 수 있는 분은 아무도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바울은 율법 아래 있던 자였지만, 하늘의 빛을 받은 후에 다른 사람으로 바뀌었다. 바울은 그가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되었는지를 잘 설명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