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사자들이 인자위에 오르락 내리락
요한복음 1장 43절『이튿날 예수께서 갈릴리로 나가려 하시다가 빌립을 만나(휴리스케이) 이르시되 나를(모이) 따르라 하시니』휴리스케이는 ~을 찾다가 발견하다라는 의미다. 예수님은 믿음의 열정이 있는 자를 찾은 것이다. 모이는 목적격이 아니라 여격이다. 나에게 따라와서 어떤 관계를 맺으라는 것이다.
1장 44절『빌립은 안드레와 베드로와 한 동네 벳새다 사람이라』 빌립과 안드레는 예수님과 하루 함께 머물렀던 자들이고, 안드레가 베드로를 예수님께 소개하는 것이다. 그들은 같은 동네 사람들이었다. 벳세다라는 곳이 메시야를 찾는 마음이 강한 신앙의 도시였다는 것이다.
1장 45절『빌립이 나다나엘을 찾아(유리스케이) 이르되 모세가 율법에 기록하였고 여러 선지자가 기록한 그이를 우리가 만났으니 요셉의 아들 나사렛 예수니라』유리스케이는 ~을 찾으로 다니는 것이다. 나다니엘도 메시야를 간절히 찾던 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장 46절『나다나엘이 이르되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아가돈) 것이 날 수 있느냐 빌립이 이르되 와서(에르쿠) 보라(이데) 하니라』아가돈은 남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결국 죽었던 영을 살리는 것을 의미한다. 아가돈이라는 것은 하나님 외에는 사용될 수 없는 것이다. 부자 청년이 예수님을 만나서 선한 선생이여 라고 말을 했을 때, 예수님이 하나님 만이 선한 분이라고 말했다. 에르쿠는 오게하라는 의미다. 문법적으로는 명령법, 현재시제, 중수 디포테를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네 자신이 네 자신에게 반드시 가도록 명하라는 것이다. 이데는 명령법, 아오리스트 시제, 능동태이다. 네가 (그리스도를) 순간적으로 보게 될 것이다 라는 것이다.
1장 47절『예수께서 나다나엘이 자기에게 오는 것을 보시고 그를 가리켜 이르시되 보라 이는 참으로(알레도스) 이스라엘 사람이라 그 속에 간사한 것이 없도다(돌로스 우크 에스틴)』알레도스는 진실하다라는 의미다. 돌로스 우크(not) 에스틴(be)는 교활함이 없다는 것이다.
1장 48절『나다나엘이 이르되 어떻게 나를 아시나이까(기노스케이스)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빌립이 너를 부르기(포네사이) 전에 네가 무화과나무 아래에 있을 때에 보았노라』기노스케이스는 관계를 통해서 아는 것을 의미한다. 히브리어 야다와 같은 의미다. 포네사이는 아오리스트 시제로서 예수님이 나다니엘을 불렀다(calling)는 것이다. 부르기 전에 무화과 나무 아래 있을 때 그를 본 것이다.
모세는 호렙산에 올라가 떨기 나무에서 하나님을 만났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은 상수리 나무 등 큰 나무 아래에서 하나님을 만났다. 나다니엘은 무화과 나무 아래에서 하나님께 기도를 한 것을 보여진다. 그래서 그 나무 아래에서 혼자 조용히 기도를 통해서 메시야를 만나게 해 달라는 기도를 했을 것이다. 그런데, 예수님이 그런 상황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1장 49절『나다나엘이 대답하되 랍비여 당신은 하나님의 아들(호 휘오스 투 데우)이시요 당신은 이스라엘의 임금이로소이다』 나다니엘이 무화과 나무 아래에서 기도한 것과 예수님의 말씀이 연결되므로, 나다니엘은 바로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임을 알게되었다는 것이다. 호 휘오스 투 데우는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말로서 인자와는 다르게 표현된다.
1장 50-51절『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너를 무화과나무 아래에서 보았다 하므로 믿느냐 이보다 더 큰 일을 보리라 또 이르시되 진실로(아멘) 진실로(아멘) 너희에게(휘민) 이르노니 하늘이 열리고(아네오고타) 하나님의 사자들이 인자(톤 휘온 투 안드로폰) 위에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을 보리라 하시니라』휘민은 복수이다. 너희들은 나다니엘을 포함한 모든 예수의 말을 듣는 사람들에게 라는 말이다. 아네오고타는 과거완료로서 이미 열려있었다 라는 의미다. 톤 휘온 투 안드로폰은 그 사람, 그 아들이다. 즉 사람이면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개념이다. 나다니엘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표현을 했지만, 예수님은 그 사람 그 아들이라는 표현을 했다. 그 사람 그 아들이라는 말은 하나님의 아들이지만, 십자가에서 죽어야 할 사람이라는 말이다.
하나님의 사자가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을 보는 것은 창세기 28장 12-19절에서 야곱이 같은 체험을 한다. 28장 12절에서『꿈에 본즉 사닥다리가 땅 위에 서 있는데 그 꼭대기가 하늘에 닿았고 또 본즉 하나님의 사자들이 그 위에서 오르락내리락 하고』야곱은 자신이 누워서 잔 곳이 하늘의 집(벧엘)이라고 표현했다.
천사들이 사닥다리를 타고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고 올라갔다는 말이다. 이 말이 요한복음 1장 51절과 연계되려면 사닥다리가 인자라는 의미가 된다. 사닥다리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고리가 되는 것이다. 즉 첫사람 아담(그리스도)은 하나님 나라와 세상과 연결되는 고리인 것이다. 야곱이 꿈을 꾼 사닥다리는 첫사람 아담(그리스도)을 상징한다. 그를 통해서 범죄한 천사들의 영이 첫사람 아담으로부터 만들어진 남 녀의 사람들 속으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첫사람 아담은 죄의 몸을 만들어주고, 죽어야 할 존재라는 것을 알려주었다. 그리고 인자 위에 하늘 문이 열려있어 천사가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으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이미 하늘 문이 열려져 있어 하늘로 올라간다는 말이 된다. 마지막 아담(그리스도)안으로 들어가는 자들은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고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서 부활하여 하늘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결국 천사들의 영들이 그리스도를 통해서 세상으로 내려가고, 그리스도를 통해서 다시 하나님 나라로 올라간다는 말이다.
요한복음 1장 15절에서『요한이 그에 대하여 증언하여 외쳐 이르되 내가 전에 말하기를 내 뒤에 오시는 이가 나보다 앞선 것은 나보다 먼저 계심이라 한 것이 이 사람을 가리킴이라 하니라』먼저 계심은 헬라어로 『프로토스(먼저) 무(나의) 엔(존재했다)』, 여기서 프로토스는 질서적으로 앞선 것을 의미한다. 나보다 먼저 된 자라는 말은 아르케(우두머리)라는 말이다. 그 분은 모든 피조물보다 앞서 존재했던 분이라는 말이다.
골로새서 1장 15절에서 『그는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형상이시요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나신 이시니.』영어성경(kjv)은 『Who is the image of the invisible God, the firstborn of every creature:』헬라어 성경은 ὅς ἐστιν εἰκὼν τοῦ θεοῦ τοῦ ἀοράτου, πρωτότοκος(프로토토코스:첫번째 태어난) πάσης κτίσεως(크리세오스:창조된),죄의 몸을 만들어서 악한 천사의 영을 가두기 위함이었다.
요한복음 3장 13절에서『하늘에서 내려온 자 곧 인자 외에는 하늘에 올라간 자가 없느니라』여기서 인자로 번역된 말의 헬라어를 보면 ὁ Υἱὸς τοῦ ἀνθρώπου(그 아들 그 사람)이다. 그 아들과 그 사람은 사람이면서 하나님의 아들을 의미한다. 즉 그리스도이다. 하늘에서 그리스도가 내려왔다는 말이다. 이 말은 첫사람 아담이기도 하고 마지막 아담이기도 하다. 번역을 다시 하면, 하늘에서 내려온 자가 곧 그 아들 그 사람(그리스도)이며 하늘에서 내려옴이 없었다면 올라감도 없었을 것이다. 즉 그리스도가 첫사람 아담으로 하늘에서 내려와 인간이 되셔서 죄의 몸을 영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다시 그리스도가 마지막 아담으로 내려와서 예수라는 이름의 사람이 되어 십자가에서 죽고 부활하여 하늘로 올라간 것이다.
고린도전서 15장 22절에서『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 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 』죽는 모든 사람은 첫사람 아담 안에 있는 자이고, 새생명을 얻은 자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이다.
고린도전서 15장 45절 『기록된 바 첫 사람 아담은 생령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 주는 영이 되었나니』생령이라는 말은 헬라어로 ψυχὴν(프슈켄)ζῶσαν(조산)으로서 살아있는 혼(생명체)이라는 말이다. 첫사람 아담은 생명체인데 죄의 몸을 나누어 주었다. 즉 첫사람 아담으로 부터 남자 아담과 여자 하와로 분리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마지막 아담은 십자가의 죽음으로 죄의 몸이 죽고 하늘로 부터 새로운 생명(영의 몸)으로 태어남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