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래는 이름을 사래라 하지 말고 사라라 하라
창세기 17장 15-19절
17:15하나님이
또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네 아내 사래는 이름을 사래라 하지 말고 사라라 하라
וַיֹּ֤אמֶר אֱלֹהִים֙ אֶל־אַבְרָהָ֔ם שָׂרַ֣י אִשְׁתְּךָ֔ לֹא־תִקְרָ֥א אֶת־שְׁמָ֖הּ שָׂרָ֑י כִּ֥י שָׂרָ֖ה שְׁמָֽהּ׃
사래(שָׂרַ֣י)와 사라( שָׂרָ֖ה)는 의미가 같은 왕비이다. 주권(머리)이 바뀐 것이다. 사래는
주체가 자신이지만, 사라는 주체가 하나님이시다. 히브리어
알파벳으로 말하자면 요드에서 헤로 바뀌었다. 헤는 숨구멍(호흡)을 의미한다.
17:16내가
그에게 복을 주어 그가 네게 아들을 낳아 주게 하며 내가 그에게 복을 주어 그를 여러 민족의 어머니가 되게 하리니 민족의 여러 왕이 그에게서 나리라
וּבֵרַכְתִּ֣י אֹתָ֔הּ וְגַ֨ם נָתַ֧תִּי מִמֶּ֛נָּה לְךָ֖ בֵּ֑ן וּבֵֽרַכְתִּ֨יהָ֙ וְהָֽיְתָ֣ה לְגֹויִ֔ם מַלְכֵ֥י עַמִּ֖ים מִמֶּ֥נָּה
첫사람 아담은 죽어야 할 몸을 전해주었고, 마지막 아담은 다시 태어나는 몸을
주었다. 구원은 다시 태어나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하나님이 사래를 사라라고 이름을
바꾸어 주신 것도 다시 태어난 새생명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브람도 아브라함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사래는 하갈을 통해서 이스마엘을 낳게 했지만, 사라는 이삭을 낳았다. 이스마엘은
천하만민을 대표하며, 스스로 의를 이루어보겠다는 세상 왕으로서의 모습이다. 따라서
사래는 세상의 왕의 모습이지만, 사라는 세상 왕이 아니라 왕의
아내(신부)로 역할을 한다. 아브라함(그리스도 상징)의 아내(신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내는 여러 민족의 어머니가
되는 것이다.
17:17-18아브라함이
엎드려 웃으며 마음속으로 이르되 백 세 된 사람이 어찌 자식을 낳을까 사라는 구십 세니 어찌 출산하리요 하고 아브라함이 이에 하나님께 아뢰되 이스마엘이나
하나님 앞에 살기를 원하나이다
וַיִּפֹּ֧ל אַבְרָהָ֛ם עַל־פָּנָ֖יו וַיִּצְחָ֑ק וַיֹּ֣אמֶר בְּלִבֹּ֗ו הַלְּבֶ֤ן מֵאָֽה־שָׁנָה֙ יִוָּלֵ֔ד וְאִ֨ם־שָׂרָ֔ה הֲבַת־תִּשְׁעִ֥ים שָׁנָ֖ה תֵּלֵֽד׃
ַיֹּ֥אמֶר אַבְרָהָ֖ם אֶל־הָֽאֱלֹהִ֑ים ל֥וּ יִשְׁמָעֵ֖אל יִחְיֶ֥ה לְפָנֶֽיךָ׃
전능하신 하나님이 말씀하시는데도 아브라함과 사라가 웃었다.(와이이쯔하크 וַיִּצְחָ֑ק, 기본형은 짜하크) 짜하크는 비웃다 라는 의미를 갖는다. 인간적인 생각으로
볼 때 99세에 아이를 갖는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에덴동산의 사건으로 말미암아, 아브라함과 사라처럼 하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순종할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이 말씀 앞에서 우리의 어떤 모습을 발견하지 않으면 구원의 기회를 잡을 수 없다. 그리고 다행히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고도 회개하지 않으면 구원받을 수 없다. 구원은 이 세상에서의 상황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이 진리를 붙잡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상에서의 상황에 반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전쟁을 이기고, 멜기세덱이라는 그리스도를 만나게 된다. 그런데도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못하는 것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고 하나님의 말씀을 믿는 것이 아니다. 인간은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 존재다.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고향 친척 아비 집을 떠나라고 명령했다. 친척을 떠나지 못하고 롯을 데리고 나온다. 회개하기 전에는 순종하지 않는다. 인간은 자기 자신이 좋아할만한 것만 골라서 선택적으로 순종하는 존재다.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는 것은 구원의 기회가 주어지는 순간이다. 그래서 회개해야만 구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말씀에 웃었다. 17장 1-2절에서는『아브람이 구십구 세 때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서 그에게 이르시되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 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너 사이에 두어 너를 크게 번성하게 하리라 하시니』라고 말씀하셨다. 전능하신 분이라고 스스로 말씀하셨는데도 믿지 않는 것이다. 17장 7-8절에서는『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너 및 네 대대 후손 사이에 세워서 영원한 언약을 삼고 너와
네 후손의 하나님이 되리라 내가 너와 네 후손에게 네가 거류하는 이 땅 곧 가나안 온 땅을 주어 영원한 기업이 되게 하고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리라』이렇게 말씀하셨는데도 웃었다는 것이다.
하나님이 이 말씀을 하실 때 아브라함에게는 이스마엘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당시 나이는 열두살이었다. 하나님은 이스마엘을 자손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우리의 내적 생명이 이삭인지 이스마엘인지 분별하지 않으면 구원의 기회도 없는 것이다. 이것은 빛과 어둠처럼 분명하다. 이스마엘의 생명은 가나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것처럼, 구원받지 못하는 생명이다. 가나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이삭과 같은 하늘로부터 태어난 새생명만 들어가는 것이며, 그리스도의 예표다.
당시에 수명은 수백년을 살았으며, 백세 이상에서도 아기를 출산한
것으로 나와있다. 그래서 아브라함이 웃은 것은 하나님이 말씀해주시므로 기쁜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
사람의 생각이 들어가서 사라의 상태를 걱정하는 것이다. 그래서 아브라함이 이스마엘을 등장시키는
것이다. 이미 아들인 이스마엘이 있는데, 굳이 자식이 더 필요한가 라고
되묻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람의 생각과 하나님의 생각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브라함은
『할 수 없다』 라고 단정해버린다. 그러나 하나님은 너는 할 수 없지만, 『내가
한다』 라는 것이다. 이것이 구원의 핵심이다. 나는 할 수 없고, 하나님이
직접 하신다 라는 것이 구원이다. 아브라함과 사라의 이야기를 통해서 인간은 할 수 없지만 하나님은 하신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17:19하나님이
이르시되 아니라 네 아내 사라가 네게 아들을 낳으리니 너는 그 이름을 이삭이라 하라 내가 그와 내 언약을 세우리니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언약이
되리라
וַיֹּ֣אמֶר אֱלֹהִ֗ים אֲבָל֙ שָׂרָ֣ה אִשְׁתְּךָ֗ יֹלֶ֤דֶת לְךָ֙ בֵּ֔ן וְקָרָ֥אתָ אֶת־שְׁמֹ֖ו יִצְחָ֑ק וַהֲקִמֹתִ֨י אֶת־בְּרִיתִ֥י אִתֹּ֛ו לִבְרִ֥ית עֹולָ֖ם לְזַרְעֹ֥ו אַחֲרָֽיו׃
할례는 횃불언약이기도 하고 영원한 언약이다. 영원한 언약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이 세상에서 자기의 의로는 구원받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
자다. 즉 율법으로는 구원받을 수 없음을 깨닫는 자다. 세상에 살면서 죽은 자가 되어야만 한다.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십자가에서 죽은 자가 되지 않으면 언약에 들어갈 수 없고, 둘째 사망에 처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피의 언약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연합되어 죽는 것이다. 할례는 태어난지 팔일 만에 받도록 했다. 칠은 안식이라는 의미다. 팔일은 다시 태어난다는 것이다. 새생명(새피조물)을
의미한다. 새하늘과 새땅에 들어가는 부활의 몸을 팔(8)로
표현된다. 노아의 방주에도 팔명이 들어간 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요한복음 1장 51절에서『이르시되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하늘이 열리고 하나님의 사자들이 인자 위에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을 보리라 하시니라』이 말과 사도바울이 고린도전서 15장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첫사람 아담은 산영이 된 것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주는 영이 되었다는 말과 같은 의미다. 즉 인자는 그리스도를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천하만민이 구원받는다는 것이다.
이삭이라는 이름은 웃다 라는 의미다. 17장
17절에서 웃다(비웃다)는
짜하크인데 요드가 앞에 붙어있다. 하나님이 이끄는 의미다. 사래는
사라로, 아브람은 아브라함으로 이삭은 비웃음에서 진짜 웃음으로 바뀌는 모습이다. 창세기 21장 6절에서『사라가 이르되 하나님이 나를 웃게 하시니 듣는 자가 다 나와 함께 웃으리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