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엘리의 아들들은 행실이 나빠 여호와를 알지 못하더라

  엘리의 아들들은 행실이 나빠 여호와를 알지 못하더라 (삼상 2:11-17)   1.엘가나는 라마의 자기 집으로 돌아가고 그 아이는 제사장 엘리 앞에서 여호와를 섬기니라(샤라트) 샤라트는 (제사장으로서) 섬기다, 경배하다 라는 의미를 갖는다. 대제사장 엘리 앞에서 제사장으로 사무엘이 여호와를 섬긴 것이다. 그리고 엘리의 아들들도 제사장으로 섬긴 것이다.   2.엘리의 아들들은 행실이 나빠(벨리얄) 여호와를 알지 못하더라(로 야다) 벨리얄은 “약한, 보잘 것 없는, 불경건한” 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고린도후서 6장 14-15절『너희는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함께 메지 말라 의와 불법이 어찌 함께 하며 빛과 어둠이 어찌 사귀며 그리스도와 벨리알이 어찌 조화되며 믿는 자와 믿지 않는 자가 어찌 상관하며』   『알지못한다』는 말이 히브리어로 『로(부정) 야다(하나가 되는 것)』이다. 하나님과 하나가 되지 못하는 것을 알지 못하다라고 번역했다. 하나님과 하나가 되지 못하는 자는 모두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자들이다.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을 하지만, 하나님과 하나가 되지 못하면 하나님은 나는 너를 모른다 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하나가 되는 의미는 연합을 의미하며, 『십자가와 부활』과 연합이다. 신도가 예수와 함께 죽고, 함께 부활하였음을 믿지 못하면 궁극적으로 부활생명이 없으면 하나님과 하나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하나되지 못하는 자가 벨리얄이며, 어둠에 있는 자라는 말이다. 하늘의 부활생명이 현재 없는 자가 그렇다는 말이다. 장차 부활할 것이라고 믿는 자도 현재는 어둠에 있는 자가 된다. 지금 현재가 중요한 것이다.   엘리의 아들들(홈니와 비느하스)은 날마다 제사를 드리는 제사장이었다. 그런데, 그들은 여호와를 알지못했다(하나가 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오늘날에도 날마다 기도하고 예배하고 온갖 충성을 다바쳐서 교회를 섬기지만, 하나님과 하나가 되지 못하면 엘리의 두 아들과 같이 되는 것이다. 왜 그런가? 하나님이 ...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사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사 고린도전서 15장 20절『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사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15 장 13-10절에서는 만일 죽은 자가 다시 사는 것이 없으면 그리스도도 다시 사는 것이 없었을 것이고, 그러면 너희의 믿음도 헛되고 너희가 여전히 죄 가운데 있을 것이라고 했다. 신도들의 신앙에 있어서 부활신앙이 없으면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교회 신도들의 대부분은 부활신앙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부활에 대한 믿음이 그들 가운데 많은 차이가 있음을 보게 된다. 그들은 부활에 대해서 과거, 현재, 미래적인 부활을 믿는 것이다. 이런 뜻에서 그들이 믿는 부활의 의미를 시제에 따라 생각해보면, 첫째로 부활은 2천년전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이며, 예수님이 우리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셨다가 3일 만에 부활하셨는데,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고 했다. 첫 열매가 되셨다는 말씀은 그리스도의 부활이 과거에 있었던 한 사건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그를 믿는 자마다 부활하고 영생할 것임을 표본으로 보여 주셨다는 것이다. 기독교인이면 누구나 믿는 부분이다. 두 번째로 과거에 일어났던 부활은 오늘 우리 가운데서도 계속 일어나고 있다. 이 현재적 부활은 믿는 자마다 영적으로 거듭나는 부활이다. 현재의 부활은 과거에 죄로 죽어있던 영이 살아나는 것이고, 옛사람은 죽고 새사람으로 창조되는 것이다. 새로운 피조물이 되는 것이다. 고린도후서 5장 17절에서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그런데 대부분 사람들은 거듭남을 마음의 변화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교회 사람들은 거듭남과 부활을 다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거듭남과 부활은 같은 의미다. 거듭남은 다시 태어나는 것으로 이전의 것은 죽고, 새 피조물로 태어나는 것이다. 새 피조물은 영...

내가 주의 구원으로 말미암아 기뻐함이니이다

  내가 주의   구원으로 말미암아 기뻐함이니이다 ( 사무엘상 2 장 1-10 절 )   1. 한나가 기도하여 ( 파랄 ) 이르되 내 마음이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내 뿔이 여호와로 말미암아 높아졌으며 내 입이 내 원수들을 향하여 크게 열렸으니 이는 내가 주의   구원으로 말미암아 기뻐함이니 ( 사마흐 ) 이다 파랄은 기도하다라는 말로 번역되었지만 , 의미상으로는 판단하다 , 중재하다라는 것이다 . 『내 뿔 ( 케렌 ) 이 여호와로 말미암아 높아졌으며』뿔로 번역된 케렌은 광채 , 능력 , 영광을 상징한다 . 즉 하나님이 나를 높이셨다는 말이다 . 하나님이 한나의 기도를 들으시고 사무엘이라는 아들을 주시므로 높이셨다는 말이다 . 『구원으로 말미암아 ( 비슈아테카 : 기본형은 예수아 ) 』로 번역되었는데 , 당신의 구원 안에서라는 말이다 . 비슈아테카에서 전치사 비 ( בִּ ) 는 성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 비슈아테캐는 예수 안에서 라는 것이다 . 한나가 기도하며 기뻐하는 것은 주 안 ( 성전 ) 에 있으므로 기뻐한다는 말이다 . 사마흐는 기뻐하다 즐겁다 라는 말이다 . 성도 역시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부활 생명이 있으므로 항상 기쁘고 즐거운 것이다 . 주위에 온통 원수들이 있을지라도 즐겁다는 표현을 한다 . 한나는 아들 ( 사무엘 ) 을 갖게되고 , 그 아들과 더불어서 다윗을 세우게 되므로 그 다윗이 예수의 혈통이기 때문이다 . 비록 사울이라는 왕이 있었지만 , 이 왕은 죽어야 할 가짜 왕인 것이다 . 이전 것은 죽고 , 새로운 왕인 다윗이 왕으로 등극하기 때문이다 . 한나는 아들을 통해서 이러한 진리의 말씀을 깨닫고 하나님께 구원의 감사기도를 하는 것이다 .   2-3. 여호와와 같이 거룩하신 이가 없으시니 이는 주 밖에 다른 이가 없고 우리   하나님   같은 반석 ( 쥬르 ) 도 없으심이니이다 심히   교만한 말을 다시 하지 말 것이며 오만한 말을 너희의...

천국과 하나님 나라

  천국과 하나님 나라   성경에서는 천국이라는 용어와 하나님 나라가 등장한다.   천국은 마태복음   3 장   2 절에서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하였으니』 라고 하고, 5장   3 절에서『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라고 말했다.   천국이 회개하는 자에게 주어진다는 말이다. 헬라어를 보면 『헤 바실레이아 톤 우라논 ( ἡ   βασιλε ί α τ ῶ ν ο ὐ ραν ῶ ν)』 이다.   헤 바실레이아는 왕국이고,   톤 우라논은 문법적으로 관사가 있는 복수 명사로서 성도들의 심령 속으로 들어오는 하나님 나라를 의미한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라고 번역된 것은 사도행전   19 장   8 절에서 『바울이 회당에 들어가 석달 동안 담대히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강론하며 권면하되』라고 되어있다.   헬라어를 보면 『테스 바실레이아 투 데우 ( τ ῆ ς   βασιλε ί α ς   το ῦ   θεο ῦ ) 』 로 되어 있다.   성부 하나님이 다스리는 하나님 왕국이라는 의미다.   보통 교회에서 말하는 하나님 나라인 것이다.   투 데우는 관사(투 το ῦ ) 가 있는 것으로 성부를 의미한다.   관사가 없을 때는 성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하나님 나라에 대해서는 이렇게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아야만 하는 것이다. 천국이라고 번역된 톤 우라논은 성도의 심령에 새성전이 세워지고,   그 성전에 임하시는 호 로고스가 다스리는 하나님 나라인 것이다.   바로 성도의 심령 속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강림하셔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시는 것이다.   성도의 심령 속에서 호 로고스가 바로 하나님 나라이며,   곧 호 로고스가 성령의 능력으로 다스리는 나라인 것이다.   누가복음   17 장  ...

그의 평생을 여호와께 드리나이다

그의 평생을 여호와께 드리나이다(삼상 1:19-28)   19-20 『그들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여호와 앞에 경배하고 돌아가 라마의 자기 집에 이르니라 엘가나가 그의 아내 한나와 동침하매 여호와께서 그를 생각하신지라(자칼) 한나가 임신하고 때가 이르매 아들을 낳아 사무엘이라 이름하였으니 이는 내가 여호와께 그를 구하였다(샤알) 함이더라』 자칼은 표하다, 기억하다 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 외에 남성이라는 의미도 있다. 항상 기억하는 남자는 엘가나이고, 그의 아내가 임신을 했다. 사무엘은 쉐마와 엘이 결합된 단어인데, 하나님께서 들으셨다는 의미이다. 샤알은 간구하다, 구하다 라는 뜻을 갖고 있다.   21-22 『그 사람 엘가나와 그의 온 집이 여호와께 매년제와 서원제를 드리러 올라갈 때에 오직 한나는 올라가지 아니하고 그의 남편에게 이르되 아이를 젖 떼거든(가말) 내가 그를 데리고 가서 여호와 앞에 뵙게 하고 거기에 영원히 있게 하리이다 하니』 한나는 매년 드리는 서원제에 올라가지 않고, 젖을 뗀후 여호와 앞에 시무엘을 바치겠다고 한다. 젖은 어머니로부터 양육받는 생명의 젖줄이지만, 그 이후에는 하늘의 양식을 막는 자로 하겠다는 말이다. 젖을 뗀다는 것은 세상에 대해서 죽는 것과 하늘에 대해서 산 자를 상징한다. 유모는 히브리어로 드보라이다. 드보라는 다바르(말씀:율법)에서 유래된 것으로 말씀의 젖을 먹이는 자인 것이다. 율법이라는 말씀의 젖을 먹다가, 하늘의 말씀을 먹는 자가 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야곱에서 이스라엘로 이름이 바뀌는 장면이 나온다. 야곱의 유모가 죽은 후에 이스라엘로 이름이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고린도전서 3장 1-2절에서 『 형제들아 내가 신령한 자들을 대함과 같이 너희에게 말할 수 없어서 육신에 속한 자 곧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들을 대함과 같이 하노라 내가 너희를 젖으로 먹이고 밥으로 아니하였노니 이는 너희가 감당하지 못하였음이거니와 지금도 못하리라』젖을 먹는 자는 율법 아래 있는 ...

하나님은 100% 주려하는데

  하나님은 100% 주려하는데   하나님은 100%주려 하는데, 신도들은 거부하고 있다. 하나님은 완전한 거룩의 생명을 주려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은 것을 믿는 자에게는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의 생명을 주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적 부활생명을 믿지 않는 자는 이를 거부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신칭의에 의하면 예수를 믿기만 하면 일단 구원을 얻는 것이고, 그 다음에는 성화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열심히 성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해야 한다거나, 그리스도를 닮는 삶을 살아야 한다거나, 의를 추구해 나가야 한다거나, 거룩한 삶이 되기 위해 노력하거나, 날마다 죄를 짓는지 않짓는지 살펴보면서 계명을 지키려고 하거나, 빛과 같은 삶을 살려고 노력하거나 등등의 노력하는 삶이다. 하나님은 십자가에서 예수와 함께 죽은 자에게 은혜를 베푸신다. 부활생명을 주시는 것이다. 예수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일어나는 부활의 첫열매가 되신 것처럼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도 부활생명을 얻게된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영생의 몸, 영의 몸을 입게 된다. 그래서 성경은 이들을 성도라고 부르는 것이다. 성도에게는 하나님이 자신의 것을 100%주신다. 그래서 성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완전히 하나가 되는 것이다. 성도는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자가 되며, 빛과 소금이 되며, 하나님의 아들들이 되며,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자가 되며, 의인이 되며, 거룩한 자, 성결한 자가 되는 것이다. 이는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이유로 이렇게 된다. 이러한 존재를 한마디로 말하면 부활생명을 가진 자인 것이다. 그래서 열매라고 한다. 열매맺지 못한 자는 부활생명을 가지지 못한 자가 되는 것이다. 죽은 육체가 부활함을 믿는 자나, 죽은 후에 부활한다고 믿는 자는 부활의 열매가 없는 것이다. 골로새서 3장12절에서『 그러므로 너희는 하나님이 택하사 거룩하고 사랑 받는 자처럼(호스) 긍휼과 자비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