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구약성경 인용)


누가복음 23장 39-43절『달린 행악자(카쿠르곤) 중 하나는 비방하여 이르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이르되 네가 동일한 정죄(크리마티)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세메론)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힐 때, 마태복음 27장 44절에서는『함께 십자가에 못박힌 강도(레스타이)들도 이와 같이 욕하더라』라고 하고 있다. 마가복음 15장 31-32절『그와 같이 대제사장들도 서기관들과 함께 희롱하며 서로 말하되 그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 이스라엘의 왕 그리스도가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와 우리가 보고 믿게 할지어다 하며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자들도 예수를 욕하더라.』요한복음 19장 18절『그들이 거기서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을새 다른 두 사람도 그와 함께 좌우편에 못 박으니 예수는 가운데 있더라』


신도들 대부분은 우편강도 역시 처음에는 예수를 욕하다가, 회개하고 돌이켜 예수에게 자신을 의탁했다고 말을 한다. 이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힌 그 날, 십자가에 못박힌 사람을 세 사람이라고 단정하기 때문이다.


당시 십자가에 못박힌 자들은 예수와 함께 못박힌 강도 둘, 이들은 예수님의 좌 우편에서 있게 되었다. 그리고 또 다른 죄수들이 행악자 둘이다. 순서적으로 예수님과 강도들이 함께 못박히고, 그 다음에 행악자들이 못박힌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예수님으로부터 강도를 한칸 넘어서 못박힌 자들이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 날 못박힌 자는 예수를 포함한 다섯명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런데, 예수님과 대화하는 죄인은 행악자들이다. 예수님 좌우편에 있는 강도라고 표현된 다른 두사람은 아마도 사람을 죽이고 돈을 갈취한 자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강도로 번역된 헬라어는 레스타이(λῃσταὶ)이다. 행악자라고 번역된 헬라어는 카쿠르곤(κακούργων)이다. 레스타이는 떼강도들로서 사람들을 공격해서 죽이고 돈을 빼앗는 자들이다. 카쿠르콘은 악을 행하는 자라고 번역되었는데, 당시 유대교에서 악은 율법을 어기는 자, 또는 이단이라고 단정한 예수 그리스도를 추종하는 자들인 것이다.


『네가 동일한(아우토) 정죄(크리마티)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아우토는 재귀대명사 자신을 표현한다. 자신이 지은 죄로 정죄를 받은 것이다. 신명기 21장 22절에서『사람이 죽을 죄를 범하므로 그를 죽여 나무 위에 달거든.』여기서 죽을 죄는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에서 말하는데, 살인, 부모를 모욕하는 것, 신성모독, 안식일을 어기는 것, 주술, 간음, 우상숭배, 거짓 증거 등 많은 경우였다. 당시 십자가에 매달린 강도들은 이와 같은 자의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사형받은 자의 시신을 처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바로 나무에 매다는 것이다.


율법에 따르면 사형 선고를 받은 죄인은 대개 돌을 던져 죽이도록 되어 있었다. 죄인이 죽으면 그 후에 말뚝에 묶거나 나무에 매닮으로 하나님께 저주받았다는 증거로 삼았다. 이것은 죽은 자에게 수치를 더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엄히 경고하기 위해서 행해졌다. 구약에서는 죄인을 직접, 나무에 달아 죽이는 것은 아니었으나, 로마인들의 방식은 살아있는 죄인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이는 것이었다. 예수님은 신성모독죄로 십자가에 못박힌 것이다. 따라서 행악자라고 선고된 자들도 율법에서 정한 것을 어기고 사형 선고된 자를 의미한다. 한 종류는 강도들, 다른 한 종류는 행악자라고 구분한 것에 대해서, 강도는 나타나는 행동으로 죄를 범한 것이고, 행악자는 악을 행하는 자로서 죄의 유형을 밝히지 않으므로 구체적으로 말을 할 수 없으나, 신성모독이나 안식일을 지키지 않은 죄 등으로 유추할 수 있다.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라고 하므로, 말을 한 자는 행악자였지만,『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유대인으로서 율법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였으므로, 처벌받는 것은 당연하게 받아드린다는 말이다.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한 행악자가 보기에는 예수는 잘못이 없다는 말이다. 유대 지도자들이 로마총독에게 신성모독죄로 처형할 것을 주장하여 성사되었는데, 이는 잘못이라는 말이다. 그의 생각으로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받아드리는 것이다. 비록 자신은 율법을 어기어 십자가에서 처형당하지만, 예수님 당신은 하나님의 아들로서 자기를 바리지 말아달라는 것이다.


이 행악자도 예수에 대해서 듣고 알았을 것이다. 그가 수많은 기적을 일으키며, 죽은 자를 살리고, 물위를 걸으며, 문둥병자를 치료하고, 앉은뱅이를 걷게하며, 죄를 사해주고, 귀신을 쫒아내는 이야기를 듣고 이 분이야말로 메시야이구나 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래서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가 비록 신성모독죄로 죽게 되었지만, 분명히 유대지도자들의 모함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육체의 예수는 십자가에서 죽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한 행악자는 예수의 영은 하나님 나라에 임하실 것을 믿었다. 자신도 죽어서 영이 음부에 가지 않고, 하나님 나라에 함께 가도록 간절히 부탁하는 말이다. 이 짧은 순간에 예수에게 부탁하는 말이지만, 그의 메시야에 대한 열망은 오래 전부터 있었다고 말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세메론)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세메론은 표면적으로는 오늘 이 시간이지만, 예수께서 부활하실 때, 죽었던 한 행악자의 영도 부활생명을 받아서 낙원으로 들어간다는 말이다.


낙원은 헬라어로 파라데이소이다. 이는 천국 또는 에덴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천국은 “헤 바실레이아 톤 우라논”으로서 하늘 왕국으로 번역된다. 성도의 심령 속의 하나님 나라이다. 이는 하나님 보좌의 우편이라고 표현된다. 성도의 심령 속에 성전이 세워지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성전에 재림하시는데, 이를 낙원(셋째 하늘)이라고도 한다. 에베소서 2장 6절에서는『또 함께 일으키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하늘(에포우라노이스)에 앉히시니』육체가 죽지 않았지만, 영으로는 이렇게 하늘에 앉혀있다는 것이다.


예수님은 육체가 죽은 후에 육체로부터 벗어나 영이 일어나셔서, 영으로 사람들의 심령 속으로 들어가 문을 두드린 후, 삼일 만에 영이 영의 몸을 입고 제자들의 눈에 보이셨다. 그리고 제자들과 사십일을 지내신 후 승천하시어 하늘에 오르셨다고 한다. 사도행전 1장 11절에서『이르되 갈릴리 사람들아 어찌하여 서서 하늘을 쳐다보느냐 너희 가운데서 하늘(톤 우라논)로 올려지신 이 예수는 하늘(톤 우라논)로 가심을 본 그대로 오시리라 하였느니라』하늘 나라로 가신 예수님은 다시 제자들의 심령 속으로 재림하여 들어오시는 것이다. 물과 성령으로 거듭난 성도에게 예수님이 성도의 심령 속으로 들어오셔서 말씀 속에서 만나주신다.


오늘날 행악자는 누구인가? 십자가의 예수를 하나님이라 칭하고 우상화하여 신성모독하는 자들, 날마다 죄를 회개해야 한다는 말로 율법과 복음을 섞는 영적 간음, 예수님이 현재적 부활생명을 주겠다고 하시는데, 부모를 모욕하듯이 하나님 말씀을 믿지 않는 자들일 것이다. 회개하여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서 죽은 자가 될 때, 하나님은 이를 불쌍히 여기셔서 그리스도와 함께 낙원으로 인도하실 것이다. 그리스도와 함께 낙원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자는 바로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히는 자이다. 그래서 그 분의 부활과 연합되어 부활생명을 받아서 낙원으로 가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혼과 영과 골수를 쪼개기까지 하며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