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득히 찬 큰 물고기가 백쉰세 마리라

(요한복음 21장 7-14절) 『예수께서 사랑하시는 그 제자가 베드로에게 이르되 주님이시라 하니 시몬 베드로가 벗고 있다가 주님이라 하는 말을 듣고 겉옷을 두른 후에 바다로 뛰어 내리더라 다른 제자들은 육지에서 거리가 불과 한 오십 칸쯤 되므로 작은 배를 타고 물고기 든 그물을 끌고 와서 육지에 올라보니 숯불이 있는데 그 위에 생선이 놓였고 떡도 있더라 예수께서 이르시되 지금 잡은 생선을 좀 가져오라 하시니 시몬 베드로가 올라가서 그물을 육지에 끌어 올리니 가득히 찬 큰 물고기가 백쉰세 마리라 이같이 많으나 그물이 찢어지지 아니하였더라 예수께서 이르시되 와서 조반을 먹으라 하시니 제자들이 주님이신 줄 아는 고로 당신이 누구냐 감히 묻는 자가 없더라 예수께서 가셔서 떡을 가져다가 그들에게 주시고 생선도 그와 같이 하시니라 이것은 예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후에 세 번째로 제자들에게 나타나신 것이라』  21장 7절『예수께서 사랑하시는 그 제자가 베드로에게 이르되 주님이시라 하니 시몬 베드로가 벗고 있다가 주님이라 하는 말을 듣고 겉옷을 두른 후에 바다로 뛰어 내리더라.』베드로는 이상한 행동을 한다. 베에서 물에 들어갈 때 옷을 벗고 있다가 옷을 입고 들어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옷을 벗고 물에 뛰어드는데, 반대로 하는 것이다. 옷은 혼을 의미한다. 옛것을 벗어버리고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러 가는 것이다. 물에 뛰어든 것은 물에서 죽었다는 표현이다. 물과 성령으로 난다는 말이 여기에 적용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리스도로 옷을 입게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21장 8-9절『다른 제자들은 육지에서 거리가 불과 한 오십 칸쯤 되므로 작은 배를 타고 물고기 든 그물을 끌고 와서 육지에 올라보니 숯불이 있는데 그 위에 생선이 놓였고 떡도 있더라』오병이어의 표적이 기억나게 한다. 떡은 예수님이 이루신 생명의 떡이다. 생선은 구원받는 자들을 상징한다. 제자들은 예수님의 생명의 떡을 막게 되고 구원받은 자가 되는 것이다. 구원은 생명의 떡을 먹는 자가 된...

물고기가 많아 그물을 들 수 없더라

(요한복음 21장 1-6절) 『그 후에 예수께서 디베랴 호수에서 또 제자들에게 자기를 나타내셨으니 나타내신 일은 이러하니라 시몬 베드로와 디두모라 하는 도마와 갈릴리 가나 사람 나다나엘과 세베대의 아들들과 또 다른 제자 둘이 함께 있더니 시몬 베드로가 나는 물고기 잡으러 가노라 하니 그들이 우리도 함께 가겠다 하고 나가서 배에 올랐으나 그 날 밤에 아무 것도 잡지 못하였더니 날이 새어갈 때에 예수께서 바닷가에 서셨으나 제자들이 예수이신 줄 알지 못하는지라 예수께서 이르시되 얘들아 너희에게 고기가 있느냐 대답하되 없나이다 이르시되 그물을 배 오른편에 던지라 그리하면 잡으리라 하시니 이에 던졌더니 물고기가 많아 그물을 들 수 없더라』 21장 1절『그 후에 예수께서 디베랴 호수에서 또 제자들에게 자기를 나타내셨으니(에파네로센) 나타내신(에파네로센) 일은 이러하니라』디베랴 호수는 갈릴리 호수의 다른 이름이다. 에파네로센은 아오리스트 시제다. 에[파네로센은 자신을 보여주시는 것이다. 물은 율법을 나타낸다. 그러나 예수님이 물 위를 걸으신 것은 율법 위에 계시는 분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부활하신 후에 이곳 갈릴리 호수에서 부활하신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시는 것이다.  21장 2-3절『시몬 베드로와 디두모라 하는 도마와 갈릴리 가나 사람 나다나엘과 세베대의 아들들과 또 다른 제자 둘이 함께 있더니 시몬 베드로가 나는 물고기 잡으러 가노라 하니 그들이 우리도 함께 가겠다 하고 나가서 배에 올랐으나 그 날 밤에 아무 것도 잡지 못하였더니』세대베의 아들들은 야고보와 요한을 의미한다. 제자들이 등장하는데, 모두 일곱명이다. 다섯명은 누구인지 알 수 있지만, 나머지 두명은 이름이 없다. 이름이 등장하는 제자들(베드로 도마 나다나엘 야고보 요한)은 믿음이 큰 제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수님은 부활하신 후에 제자들을 다 만나셨다. 도마를 제외한 제자들은 두번이나 예수님을 만났다. 그런데 믿음 좋은 제자들은 물고기를 잡으러 가자고 했다. 베드로와 다른 제자들이 예수님을 삼...

저희를 향하사 숨을 내쉬며 이르시되 성령을 받으라

요한복음 20장 21-22절 『예수께서 또 이르시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 같이 나도 너희를 보내노라 이 말씀을 하시고 저희를 향하사 숨을 내쉬며(에네퓌세센) 이르시되 성령을 받으라』 에네퓌세센은 숨을 내쉬는 것이며, 바람과 성령으로 함께 사용되는 단어다. 부활하신 후 40일의 초반부에 손과 옆구리를 보여주시면서 그들 안으로 숨을 내쉬었다.『성령을 받으라』고 하셨다. 이 성령은 우리 안에 내재하는 구원의 성령을 말한다. 즉 죄의 문제를 해결해 주시는 것이다. 숨을 내쉬는 것은 마치 하나님이 흙을 빚어서 숨을 내쉬고 인간을 만드는 과정과 같은 모양이다. 하나님은 최초의 인간에게 영을 부어주셨지만, 이때는 성령을 부어주신 것이다. 새롭게 하늘로 부터 태어남을 의미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사도행전 1장 8절에서『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이 때 증인은 부활의 증인이다. 이 말씀은 승천하시기 직전에 하신 말씀이다.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이라는 말은 성령이 『너희 위』에 임하는 말이다. 그러면 능력을 받는다. 복음을 전파할 때 성령이 복음을 전파하는 자의 머리 위에 임하게 된다. 이를 보혜사 성령이라고 하는 것이다. 위의 성령은 물과 성령으로 나는 자를 의미하지만, 두번째는 사역자에게 주시는 성령세례인 것이다. 그들을 통하여 증거하게 하시고 능력을 주시고 기억하게 하신다.  20장 23절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사하면(아페테) 사하여질 것이요 누구의 죄든지 그대로 두면(크라테테) 그대로 있으리라 하시니라』 아페테는 영어로 send off(제거하는 것)이다. 크라테테는 그대로 간직하는 것이다. 제자들이 자기의 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다른 사람의 죄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응 것이고, 자기의 죄를 해결하지 못하면 남에게도 못한다는 것이다. 성령으로 난 자는 죄의 문제를 해결하므로 남도 그렇게 할 수 있다는 말이다....

부활하신 예수님

요한복음 20장 1절 『안식 후 첫날 일찍이 아직 어두울 때에 막달라 마리아가 무덤에 와서 돌이 무덤에서 옮겨진 것을 보고』 막달라 마리아는 세상에서 가장 천한 직업 여성이었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만난 후에는 예수가 십자가에서 죽은 것을 깨닫고 향유를 부었으며, 또한 가장 먼저 예수의 무덤에 와서 예수님의 부활을 보게 된다. 돌이 무덤에서 옮겨졌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로 부터 부활하심을 나타낸다. 그러나  마리아는 예수님의 부활을 보지 못했다.  20장 2절 『시몬 베드로와 예수께서 사랑하시던 그 다른 제자에게 달려가서 말하되 사람들이 주님을 무덤에서 가져다가 어디 두었는지 우리가 알지 못하겠다 하니』 다른 제자는 요한을 의미한다. 누군가가 예수의 시체를 다른 곳으로 옮겼을 것이라고 추정하여 말을 하는 것이다. 이때까지는 예수의 부활에 대해서 깨닫는 자가 아무도 없었다.  20장 3-5절 『베드로와 그 다른 제자가 나가서 무덤으로 갈새 둘이 같이 달음질하더니 그 다른 제자가 베드로보다 더 빨리 달려가서 먼저 무덤에 이르러 구부려 세마포 놓인 것을 보았으나 들어가지는 아니하였더니』 예수님이 요한을 가장 사랑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예수님은 베드로를 수제자로 여기셨다. 그래서 요한은 베드로 보다 더 빨리 달려가서 무덤에 다다른 것이다. 그런마 무덤에 들어가지 못하고 몸을 구부려 안을 본 것이다. 무덤은 죽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본능적으로 들어가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20장 6-7절 『시몬 베드로는 따라와서 무덤에 들어가 보니 세마포가 놓였고 또 머리를 쌌던 수건은 세마포와 함께 놓이지 않고 딴 곳에 쌌던 대로 놓여 있더라』 그러나 베드로는 예수를 세번 부인한 것을 기억하므로 과감하게 무덤에 들어갔다. 『쌌던 대로 놓여』로 번역된 헬라어 『엔테튈리그메논』은 잘 포개 접어두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둥그렇게 말려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수건으로 머리와 턱을 동여맸던 그 상태 그대로 놓여있었다는 의미다. 물리적으로는 주님의 ...

십자가에서 죽음과 부활

  요한복음 19 장 20 절『예수께서 못 박히신 곳이 성에서 가까운 고로 많은 유대인이 이 패를 읽는데 히브리와 로마와 헬라 말로 기록되었더라』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삼개 국가의 언어로 기록되었다 . 19 장 21-22 절『유대인의 대제사장들이 빌라도에게 이르되 유대인의 왕 ( 호 바실류스 톤 유다이온 ) 이라 쓰지 말고 자칭 유대인의 왕 ( 바실류스 톤 유다이온 ) 이라 쓰라 하니 빌라도가 대답하되 내가 쓸 것을 썼다 하니라』 빌라도는 관사가 있는 바실류스를 쓰도록 했고 , 유대인들은 관사를 빼라는 것이다 . 관사가 있는 것은 신적인 왕이라는 것이다 . 관사가 없으면 일반적인 왕을 지칭한다 . 빌라도는 자기가 쓴 것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했다 . 빌라도는 예수를 신의 아들로 생각했던 것 같다 . 그러나 유대인들은 그러지 못한 것이다 . 19 장 23 절『군인들이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고 그의 옷을 취하여 네 깃에 나눠 각각 한 깃씩 얻고 속옷도 취하니 이 속옷은 호지 아니하고 위에서부터 통으로 짠 것이라』 여기에도 동사들이 아오리스트 시제이며 , 이러한 행동이 항상 같은 모습이 아니라 순간 군인들 자기들도 모르게 그렇게 행동한 것이다 . 성경 말씀이 응하도록 한 것이다 . 19 장 24 절『군인들이 서로 말하되 이것을 찢지 말고 누가 얻나 제비 뽑자 하니 이는 성경에 그들이 내 옷을 나누고 내 옷을 제비 뽑나이다 한 것을 응하게 하려 함이러라 군인들은 이런 일을 하고』 제비뽑기 하는 것도 이사야가 한 말을 응하게 한 것이다 . 19 장 25-27 절『예수의 십자가 곁에는 그 어머니와 이모와 글로바의 아내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가 섰는지라 예수께서 자기의 어머니와 사랑하시는 제자가 곁에 서 있는 것을 보시고 자기 어머니께 말씀하시되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 ( 호 휘오스 ) 하시고 또 그 제자에게 이르시되 보라 네 어머니라 하신대 그 때부터 그 제자가 자기 집에 모시니라 . 』 호 휘오스는 특별한 아들로서 하나님의 아들을 의미한...

이제 내 나라는 여기가 아니니라

  요한복음 18 장 28 절 『 그들이 예수를 가야바에게서 관정으로 끌고 가니 새벽이라 그들은 더럽힘을 받지 아니하고 유월절 잔치를 먹고자 하여 관정에 들어가지 아니하더라 . 』 유월절 어린양은 예수님이시며 , 관정에 있는데 , 그들은 율법주의자로 관정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 예수님이 없는 유월절은 형식에 불과한 잔치인 것이다 . 그들은 바로 무고한 예수에게 사형 죄를 덧씌우며 , 십자가 처형으로 몰고 가는 주동자들이다 . 그런데 그들이 동이 트는 시간인 새벽녘에 부리나케 빌라도가 있는 관정으로 예수를 끌고 갔다 . 그리고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모여든 이들은 신속하게도 예수에게 사형을 언도하게 했다 . 그리고 빌라도를 찾아가 예수는 죽여야 할 죄인이라고 고발했다 . 상황이 무척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 이방인과 접촉하게 되면 부정하게 되어 유월절 어린양을 먹지 못한다는 율법 관례에 따라 , 그들은 이방인 빌라도 관정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았다 . 빌라도 관정 밖에서 , 그리스도 예수만 관정 안으로 밀어 넣고 , 예수의 죽음을 선동하고 있는 그들의 모습은 비열했다 . 18 장 29-30 절 『 그러므로 빌라도가 밖으로 나가서 그들에게 말하되 너희가 무슨 일로 이 사람을 고발하느냐 대답하여 이르되 이 사람이 행악자가 아니었더라면 우리가 당신에게 넘기지 아니하였겠나이다』 바리새인들은 예수를 행악자로 고발한 것이다 . 신상모독죄로 넘기려 하는 것이다 . 18 장 31-32 절 『 빌라도가 이르되 너희가 그를 데려다가 너희 법대로 재판하라 유대인들이 이르되 우리에게는 사람을 죽이는 권한이 없나이다 하니 이는 예수께서 자기가 어떠한 죽음으로 죽을 것을 가리켜 ( 세마이논 ) 하신 말씀 ( 호 로고스 ) 을 응하게 하려 함이러라』 호 로고스는 말씀아신 그리스도이시며 , 호 로고스를 성취하기 위함이다 . 세마이논의 기본형은 세메이온으로서 표적을 나타낸다는 의미한다 . 표적으로 나타낸 그 호 로고스의 말씀이 성취되도록 하기 위해서 라는 것이다 . ...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요한복음 18장 28절 『그들이 예수를 가야바에게서 관정으로 끌고 가니 새벽이라 그들은 더럽힘을 받지 아니하고 유월절 잔치를 먹고자 하여 관정에 들어가지 아니하더라.』 유월절 어린양은 예수님이시며, 관정에 있는데, 그들은 율법주의자로 관정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예수님이 없는 유월절은 형식에 불과한 잔치인 것이다. 그들은 바로 무고한 예수에게 사형 죄를 덧씌우며, 십자가 처형으로 몰고 가는 주동자들이다. 그런데 그들이 동이 트는 시간인 새벽녘에 부리나케 빌라도가 있는 관정으로 예수를 끌고 갔다. 그리고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모여든 이들은 신속하게도 예수에게 사형을 언도하게 했다. 그리고 빌라도를 찾아가 예수는 죽여야 할 죄인이라고 고발했다. 상황이 무척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이방인과 접촉하게 되면 부정하게 되어 유월절 어린양을 먹지 못한다는 율법 관례에 따라, 그들은 이방인 빌라도 관정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았다. 빌라도 관정 밖에서, 그리스도 예수만 관정 안으로 밀어 넣고, 예수의 죽음을 선동하고 있는 그들의 모습은 비열했다.  18장 29-30절 『그러므로 빌라도가 밖으로 나가서 그들에게 말하되 너희가 무슨 일로 이 사람을 고발하느냐 대답하여 이르되 이 사람이 행악자가 아니었더라면 우리가 당신에게 넘기지 아니하였겠나이다』 바리새인들은 예수를 행악자로 고발한 것이다. 신상모독죄로 넘기려 하는 것이다.  18장 31-32절 『빌라도가 이르되 너희가 그를 데려다가 너희 법대로 재판하라 유대인들이 이르되 우리에게는 사람을 죽이는 권한이 없나이다 하니 이는 예수께서 자기가 어떠한 죽음으로 죽을 것을 가리켜(세마이논) 하신 말씀(호 로고스)을 응하게 하려 함이러라』 호 로고스는 말씀아신 그리스도이시며, 호 로고스를 성취하기 위함이다. 세마이논의 기본형은 세메이온으로서 표적을 나타낸다는 의미한다. 표적으로 나타낸 그 호 로고스의 말씀이 성취되도록 하기 위해서 라는 것이다. 그 성취는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심과 부활을 통해서 성취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