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세례
유아세례 세례는 죽은 자라는 표현이다. 세례를 받는 자는 하나님께 대하여 죄인으로서 죽어야 할 자라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물세례(침례)를 받는 것이다. 구약시대 죄인은 희생제물을 성전에 가져와서 죄를 동물에게 전가하고, 죽여서 피를 제단에 뿌리고, 살을 불에 태웠다. 물세례는 피를 제단에 뿌리는 것과 같은 의식이다. 불세례는 살을 제단에서 태우는 것과 같은 것이다. 불세례는 소돔과 고모라 시대에 살았더라면 이렇게 죽었어야 할 자라는 것을 나타낸다. 물셰례와 불세례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신도가 세례를 받을 때 이것들의 의미를 마음에 새기는 것이다. 이게 마음의 할례인 것이다. 할례는 구약시대 포피를 베므로서 죽은 자라는 것을 나타내며 언약백성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언약은 계약을 맺는데, 언약을 맺었다고 언약백성이 되었다는 확증을 얻은 것은 아니다. 하나님은 믿음을 보시는 것이다. 하나님이 아브람에게 구십구세때 나타나셔서 이름을 아브라함이라고 개명해주셨다. 그리고 할례를 명하셨다. 그리고 태어난지 팔일이 되면 할례를 하도록 명하셨다. 그리고 사래에게도 사라라고 하며, 아들을 주고, 여러 민족의 어머니가 되게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언약의 말씀을 믿지 않았다는 것이다. 창세기 17장 17절에서『아브라함이 엎드려 웃으며 마음속으로 이르되 백 세 된 사람이 어찌 자식을 낳을까 사라는 구십 세니 어찌 출산하리요 하고』믿음의 확증은 100세가 되어서야 이루어진다. 99세와 100세 사이에 무슨 변화가 있었는가? 로마서 4장 2절에서『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 바 되었느니라』아브라함이 99세때 하나님을 믿는 것은 자기의 의에 해당한다고 말을 한다. 할례가 믿음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로마서 4장 9-10절 『그런즉 이 복이 할례자에게냐 혹은 무할례자에게도냐 무릇 우리가 말하기를 아브라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