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세례

  유아세례 세례는 죽은 자라는 표현이다. 세례를 받는 자는 하나님께 대하여 죄인으로서 죽어야 할 자라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물세례(침례)를 받는 것이다.  구약시대 죄인은 희생제물을 성전에 가져와서 죄를 동물에게 전가하고, 죽여서 피를 제단에 뿌리고, 살을 불에 태웠다. 물세례는 피를 제단에 뿌리는 것과 같은 의식이다. 불세례는 살을 제단에서 태우는 것과 같은 것이다. 불세례는 소돔과 고모라 시대에 살았더라면 이렇게 죽었어야 할 자라는 것을 나타낸다. 물셰례와 불세례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신도가 세례를 받을 때 이것들의 의미를 마음에 새기는 것이다. 이게 마음의 할례인 것이다. 할례는 구약시대 포피를 베므로서 죽은 자라는 것을 나타내며 언약백성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언약은 계약을 맺는데, 언약을 맺었다고 언약백성이 되었다는 확증을 얻은 것은 아니다. 하나님은 믿음을 보시는 것이다. 하나님이 아브람에게 구십구세때 나타나셔서 이름을 아브라함이라고 개명해주셨다. 그리고 할례를 명하셨다. 그리고 태어난지 팔일이 되면 할례를 하도록 명하셨다. 그리고 사래에게도 사라라고 하며, 아들을 주고, 여러 민족의 어머니가 되게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언약의 말씀을 믿지 않았다는 것이다. 창세기 17장 17절에서『아브라함이 엎드려 웃으며 마음속으로 이르되 백 세 된 사람이 어찌 자식을 낳을까   사라는 구십 세니 어찌 출산하리요 하고』믿음의 확증은 100세가 되어서야 이루어진다. 99세와 100세 사이에 무슨 변화가 있었는가? 로마서 4장 2절에서『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 바 되었느니라』아브라함이 99세때 하나님을 믿는 것은 자기의 의에 해당한다고 말을 한다. 할례가 믿음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로마서 4장 9-10절 『그런즉 이 복이 할례자에게냐 혹은 무할례자에게도냐 무릇 우리가 말하기를   아브라함에...

성령세례

  성령세례   요한복음 1 장 33-34 절 『나도 그를 알지 못하였으나 나를 보내어   물로 세례를 베풀라 하신 그이가 나에게 말씀하시되 성령이 내려서 누구 위에든지 머무는 것을 보거든 그가 곧 성령으로 세례를 베푸는 이인 줄 알라 하셨기에 내가 보고 그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언하였노라 하니라』 예수님은 성령세례를 주시는 분이다 . 성령세례는 부활생명을 의미하기도 한다 .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으므로 , 제자들에게 부활생명을 줄 수 있다 . 부활은 영적으로 죽은 자를 일으키고 , 이전의 영의 몸으로 되돌리는 의미를 갖는다 . 부활은 십자가에서 예수와 연합하여 죽은 자 ( 물세례와 불세례 ) 를 하나님이 성령으로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시키는 것이다 .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의 첫열매이다 . 예수 그리스도가 성령의 능력으로 부활한 것처럼 ,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다시 제자들에게 부활생명을 주는 것이다 . 부활하신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부활생명을 불어넣어주셨다 . 요한복음 20 장 21-22 절 『예수께서 또 이르시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 같이 나도 너희를 보내노라 이 말씀을 하시고 그들을 향하사 숨을 내쉬며 이르시되 성령을 받으라』이것이 바로 성령세례인 것이다 . 불세례와 성령세례가 동시에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 물세례를 받아서 언약을 체결하고 , 불세례와 성령세례를 통해서 언약을 완성하는 것이다 . 그 사이에는 사탄의 시험이 있다 . 갈라디아서 3 장 2-3 절『내가 너희에게서 다만 이것을 알려 하노니 너희가 성령을 받은 것이 율법의 행위로냐 혹은 듣고 믿음으로냐 너희가 이같이 어리석으냐 성령으로 시작하였다가 이제는 육체로 마치겠느냐』신도들이 성령의 불세례로 시작해서 성령세례로 끝나야 하는데 ,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는 자들이 있다는 말이다 . 그래서 성령모독죄가 성립되는 것이다 . 사도행전 19 장 1-5 절에서『 아볼로가   고린도에 있을...

불세례

  불세례   마태복음 3장 11-12절『 나는 너희로 회개하게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베풀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하지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베푸실 것이요 손에 키를 들고 자기의 타작 마당을 정하게 하사 알곡은 모아 곳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불세례에 대해서 알고 있는 신도들은 많지 않다. 이는 성령모독죄와 연관이 있는 것이다. 사실상 성령모독죄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으니, 불세례를 어떻게 알겠는가? 누가복음 12장 49-50절『내가 불을   땅에 던지러 왔노니 이 불이 이미 붙었으면 내가 무엇을 원하리요 나는 받을 세례가 있으니 그것이 이루어지기까지 나의 답답함이 어떠하겠느냐』불은 불세례를 의미하며, 예수님이 받을 세례는 성령세례로서 부활을 의미한다.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은 세상의 모든 죄를 대속하기 위한 죽음이다. 원죄이건 세상죄인건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면 다 용서받는 것이다. 성경은 십자가의 죽음을 물세례와 불세례로 표현했다. 물세례는 노아의 시대에 살았다면, 홍수로 다 죽었어야 할 그런 존재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아들이 사람의 딸들과 결혼해서 하나님이 분노하셨다는 말씀이다. 이는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자처하는 악한 천사의 영이 흙이라는 육체와 결합되어 사람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세례는 신도가 예수와 함께 죽었음을 고백하는 것이다. 불세례는 소돔과 고모라에 살았다면 하늘에서 내려오는 불로 다 타 죽을 그런 자라는 것이다. 불세례를 받은 자도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은 자임을 고백하는 것이다. 이는 형식적 의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새긴다. 소돔과 고모라의 이야기는 간음을 주제로 널리 인용된다. 육체적 간음이라기 보다는 영적 간음을 말한다. 영적 간음은 하나님을 믿으면서, 또한 우상을 따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로 말을 하자면 예수를 믿지만, 기복신앙, 율법주의, 영지주의도 따르는 신자를...

물세례

  물세례   세례는 물세례와 불세례와 성령세례가 있다 . 물세례는 죄에 대한 죽음이고 , 불세례는 죄의 몸에 대한 죽음이며 , 이는 예수 그리스도와 십자가에서 연합되어 죽는 죽음을 상징한다 . 성령세례는 십자가에서 죽은 자를 하나님이 성령으로 죽은 자 가운데서 일으키시는 부활을 의미한다 . 물세례는 비신자가 신자가 되겠다고 마음의 결심할 때 주는 언약체결식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 그러나 불세례는 물세례를 받고 신자가 되었는데 , 여전히 죄의 몸이 죽지 않은 자가 회개하여 받는 세례인 것이다 . 성령세례는 물세례와 불세레를 받은 자에게 하나님이 언약을 확증하는 것이다 . 물세례에 대해서 살펴보면 , 요한복음 3 장 5 절에서『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 물은 물세례를 의미하며 , 죄에 대해서 죽는 것을 의미한다 . 죄에 대해 죽으므로 , 하나님께서 성령으로 나게 해 주시는 것이다 . 그래서 하나님이 주시는 선한 마음이 주어진다 . 베드로전서 3 장 21 절에서『 물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세례라 이는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간구니라』물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로 말미암은 구원의 표라는 것이다 .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물세례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 즉 물은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서 죽고 , 그래서 성령의 능력으로 그리스도와 부활하여 구원을 얻게되는 것이다 . 물세례는 구원의 표라고 했다 . 표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앞으로 이루어질 것을 약속하는 것이다 . 물세례는 구원의 약속이라는 의미다 . 그래서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함을 믿을 때 , 하나님이 성령으로 나게 해 주시는 것이다 . 물세례와 성령세례와의 시간적 차이는 알 수 없다 . 오직 하나님 만이 알고 계신다 . 물세례와 성령세례와의...

거짓 선지자와의 전쟁

  거짓 선지자와의 전쟁   요한일서 4장1절 『사랑하는 자들아 영을 다 믿지 말고 오직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분별하라(도키마제테) 많은 거짓 선지자가 세상에 나왔음이라』 아가페토이 (Ἀ γαπητοί ) 는『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자들아』라는 의미이고, 도키마제테 (δοκιμάζετε)   분별하다라는 말은 철저히 검증해서 잘 판단하라는 의미다. 많은 거짓선지자가 나왔다는 말은 인본주의, 율법주의, 영지주의를 바탕으로 거짓복음을 전하는 자가 교회 공동체에 들어왔다는 말이다. 신도의 영적 전쟁의 대상은 사탄이 아니라, 사탄 아래 있는 거짓선지자들이며, 또한 육적 자기자신의 생각이다. 우선 거짓 선지자들에 대해서 살펴보면 그들의 영을 판단해야만 한다. 4 장 2-3절『이로써 너희가 하나님의 영을 알지니(기노스케데)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사르키)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오리라 한 말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지금 벌써 세상에 있느니라』 기노스케테 (γινώσκετε) 는 알다(히브리어:야다)는 의미이며, 성령을 통하서 하나가 되는 것이다. 마음이 성령의 감동으로 역사함을 의미한다. 사르키( σαρκ ὶ ) 는 육체가 아니라 육신이며 성육신을 의미한다. 성육신은 임마누엘을 의미하는 것이다. 성육신을 하나님으로 생각하면 안되고 사람이신 그리스도라는 의미다. 육신 속에 하나님이 임재하는 것이다. 거듭난 성도 역시 그리스도 안에서 성육신 하는 것이며, 그리스도가 성도 안에 들어온 것이다.  (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 안에 오신 것을) 이 부분이 빠져 있는 사본들이 있다. 물론 빠져 있어도 문맥상 앞의 부분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임마누엘 신앙을 믿지 않는 자들은 성도의 임마누엘을 믿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말은 그리스도 안에서 성도의 심령 속에 성전이 세워지고, 그 성전에 그리스도가 재림하여 들어가는 ...

우리도 우리 왕이 있어야 하리니(삼상 8:1-22)

  우리도 우리 왕이 있어야 하리니(삼상 8:1-22)   1-2 사무엘이 늙으매 그의 아들들을   이스라엘   사사로 삼으니   장자의 이름은   요엘이요 차자의 이름은   아비야라 그들이   브엘세바에서 사사가 되니라 사사는 하나님이 지정하는데, 사무엘은 두 아들을 사사로 삼은 것이다. 브엘세바는 라마로부터 80km정도 떨어진 이스라엘 남부지역이었다. 나라의 규모를 통해서 볼때, 사무엘이 남부지역을 다 다스리기 힘들므로 두 아들을 통하여 사사라는 직분으로 그 지역을 다스리게 한 것이다. 요엘은 여호와가 하나님이라는 의미를 갖으며, 아비야는 여호와는 아버지라는 의미를 갖는다.   3-4. 그의 아들들이 자기 아버지의 행위(데렉)를 따르지 아니하고 이익을 따라 뇌물을 받고 판결을 굽게 하니라 데렉은 그의 길(in his way)이다. 사무엘이 사사로서 하던 길에서 벗어난 것은 뇌물을 받고 판결을 굽게 한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데, 자기 생각대로 행동하고 판결하는 것이다. 이런 것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성경을 자기 생각대로 해석하고 적용하는 자들이다. 인본주의, 율법주의, 영지주의가 그것이다. 5.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모여   라마에 있는   사무엘에게 나아가서   그에게 이르되 보소서 당신은 늙고 당신의 아들들은 당신의 행위를 따르지 아니하니 모든   나라와 같이 우리에게 왕을 세워 우리를 다스리게 하소서 한지라 장로들이 왕정을 요구한 이유는 사무엘이 늙었다는 것이고, 두 아들이 사무엘이 가는 길을 가지 않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장로들이 바라보는 사사의 통치는 사람에게 있는 것이지만, 사사는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하나님이 사사를 통해서 이스라엘을 통치하는 것이다. 그들은 하나님이 통치하는 하나님 나라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무엘이 나이가 많다는 말은 틀렸으며, 두 아들은 사무엘의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