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도 열두 보좌에 앉아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심판하리라

   너희도 열두 보좌에 앉아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심판하리라 (구약성경 인용) 마태복음 19장 28-30절『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세상이 새롭게 되어(팔링게네시아) 인자가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을 때에 나를 따르는 너희도 열두 보좌에 앉아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심판하리라 또 내 이름을 위하여 집이나 형제나 자매나 부모나 자식이나 전토를 버린 자마다 여러 배를 받고 또 영생을 상속하리라 그러나 먼저 된 자로서 나중 되고 나중 된 자로서 먼저 될 자가 많으니라』 『세상이 새롭게 되어』라고 번역한 팔링게네시아( παλιγγενεσίᾳ )는 중생, 거듭남을 의미한다. 세상은 성도를 두고 말하는 것이다. 성도가 옛사람이 예수와 함께 죽고, 부활하신 예수와 함께 부활하였음을 믿을 때, 새롭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심령 속에 새성전이 세워지는데, 새성전은 그리스도께서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는 그 자리를 나타낸다. 새성전에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여 들어와 심령 속의 성전의 주인이 되시는 것이다. 그래서 그리스도께서 옛성전을 심판하시는 것이다. 옛성전은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성전과 같이 유대 율법주의를 상징한다. 옛성전은 파괴되어야 하는 것이다. 『너희도 열두 보좌에 앉아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심판하리라.』열두 보좌는 심령 속의 새성전을 의미하고, 보좌에 앉으신 분은 예수 그리스도이신데,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가 함께 보좌에 있는 것이다. 에베소서 2장 6절에서『또 함께 일으키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하늘에 앉히시니.』심령 속의 하나님 나라를 육체 안에 있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사람은 아무도 알 수 없다. 사도바울도 셋째 하늘에 가 보았는데, 육체 안에 있었는지 밖에 있었는지 알 수 없다고 말을 했다. 고린도후서 12장 2절『내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한 사람을 아노니 그는 십사 년 전에 셋째 하늘에 이끌려 간 자라 (그가 몸 안에 있었는지 몸 밖에 있었는지 나는 모르거니와 하나님은 아시느니라)』 이스라엘의 열두지파는 유대 율법주의를...

너희 속에 소금을 두고 서로 화목하라

  너희 속에 소금을 두고 서로 화목하라(구약성경 인용) 마가복음 9장 49-50절『사람마다 불로써 소금 치듯 함을 받으리라 소금은 좋은 것이로되 만일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이를 짜게 하리요 너희 속에 소금을 두고 서로 화목하라 하시니라』 소금언약에 대해서 민수기 18장 19절에서 말한다.『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거제로 드리는 모든 성물은 내가 영구한 몫의 음식으로 너와 네 자녀에게 주노니 이는 여호와 앞에 너와 네 후손에게 영원한 소금 언약이니라』 거제는 제사장이 제단 앞에서 양손으로 예물의 오른쪽 뒷다리 부분을 잡고 그것을 상하로 높이 들어 올렸다가 다시 아래로 내리는 의식을 말하는데, 거제의 히브리어는 테루마로서 일으키다를 뜻하는 룸에서 유래한 것으로 제물을 의미한다. 오른쪽은 완전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예물의 오른쪽 어깨를 드린다는 것은 온전히 하나님께 드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물을 위로 들어 올리는 것은 하나님께 바친다는 뜻이며, 다시 아래로 내려 놓는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제사장의 몫으로 도로 주었다는 뜻이다. 이 거제 예물은 독립적으로 드리는 것이 아니라 소제(음식헌물), 속건제(범법헌물), 속죄제(죄 헌물)와 관련하여 행해졌다. . 성물은 히브리어로 코데쉬인데 하나님을 섬기기 위하여 구별된 거룩한 것, 하나님께 바쳐진 봉헌된 물건들을 뜻한다. 따라서 거제로 드리는 성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것이 어떻게 소금 언약인가? 바다는 율법을 상징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율법을 지키다가 죄를 범하면, 희생제물을 하나님께 바치므로, 죄를 용서받았다. 따라서 율법은 백성들로 하여금 죄에서 벗어날 수 없는 존재임을 알려주시는 것이다. 그래서 율법 속에서 희생제물 되시는 그리스도를 발견하라는 것이다. 이게 창세기 3장 15절의 여인의 후손에 대한 약속인 것이다. 바다물은 짜다. 그러나 소금을 볼 수는 없다. 염전에 있는 바다물에햇쌀이 강력하게 비추어서 수증기가 날라가면 소금이 드러난다....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구약성경 인용) 누가복음 23장 39-43절『달린 행악자(카쿠르곤) 중 하나는 비방하여 이르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이르되 네가 동일한 정죄(크리마티)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우리는 우리가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세메론)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힐 때, 마태복음 27장 44절에서는『함께 십자가에 못박힌 강도(레스타이)들도 이와 같이 욕하더라』라고 하고 있다. 마가복음 15장 31-32절 『그와 같이 대제사장들도 서기관들과 함께 희롱하며 서로 말하되 그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 이스라엘의 왕 그리스도가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와 우리가 보고 믿게 할지어다 하며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자들도 예수를 욕하더라.』요한복음 19장 18절『그들이 거기서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을새 다른 두 사람도 그와 함께 좌우편에 못 박으니 예수는 가운데 있더라』 신도들 대부분은 우편강도 역시 처음에는 예수를 욕하다가, 회개하고 돌이켜 예수에게 자신을 의탁했다고 말을 한다. 이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힌 그 날, 십자가에 못박힌 사람을 세 사람이라고 단정하기 때문이다. 당시 십자가에 못박힌 자들은 예수와 함께 못박힌 강도 둘, 이들은 예수님의 좌 우편에서 있게 되었다. 그리고 또 다른 죄수들이 행악자 둘이다.  순서적으로 예수님과 강도들이 함께 못박히고, 그 다음에 행악자들이 못박힌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예수님으로부터 강도를 한칸 넘어서 못박힌 자들이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 날 못박힌 자는 예수를 포함한 다섯명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런데, 예수님과 대화하는 죄...

좋은 나무마다 아름다운 열매를 맺고

  좋은 나무마다 아름다운   열매를 맺고(구약성경 인용)   마태복음 7장 16-20절『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지니   가시나무에서 포도를, 또는 엉겅퀴에서 무화과를 따겠느냐 이와 같이 좋은 나무마다 아름다운   열매를 맺고 못된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나니 좋은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을 수 없고 못된 나무가 아름다운   열매를 맺을 수 없느니라 아름다운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혀 불에 던져지느니라 이러므로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 좋은 나무는 생명나무이고, 못된 나무는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를 의미한다. 따라서 생명나무는 부활생명의 열매를 맺고,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는 율법이라는 열매를 맺는 것이다. 부활생명이 아름다운 열매가 되는 것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율법이라는 열매는 죄를 깨닫게 해 주지만, 영생을 주는 것은 아니다.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지니』그들의 열매는 부활생명을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율법주의에 빠져 있는가, 또는 부활을 믿지만, 율법도 지키려고 하는가를 보면 알 수 있다. 부활생명을 육체가 죽고 난 뒤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는 신도들은 현재 부활생명이 없는 자들이다. 장차 부활이 이루어진다고 믿으므로 육체에 매달리는 자들이고, 영적으로 부활을 믿지 않으므로, 여전히 율법 속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활을 믿는다고 말을 하면서도 율법을 지켜야 한다는 말은 영적 간음에 해당되므로, 이들도 부활생명이 없는 자들인 것이다. 이들은 부활생명과 율법의 의미를 정확히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행동을 하는 것이다. 부활생명을 받는 것은 예수님이 주인이 되는 것이고, 율법 속에 있는 자들은 자기가 주인인 것이다. 하와가 생명나무의 열매를 먹다가,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었다는 것은 스스로 하나님과 같이 되고 싶은 마음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하나님 나라에서 악한 천사가 하나님을...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구약성경 인용) 마태복음 1장 21-23절『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이 모든 일이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이르시되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번역한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 함이라』 아하스 왕에 대해서 성경은 하나님께 정직하지 못했다고 한다. 역대하28장 1 절『아하스가 왕위에 오를 때에 나이가 이십 세라 예루살렘에서 십육 년 동안 다스렸으나 그의 조상 다윗과 같지 아니하여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지 아니하고.』그의 조상 다윗을 대비시킨다. 그리고 그는 우상숭배와 몰렉 등 가증한 제사를 행했다. 역대하28장2-4절『이스라엘 왕들의 길로 행하여 바알들의 우상을 부어 만들고 또 힌놈의 아들 골짜기에서 분향하고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쫓아내신 이방 사람들의 가증한 일을 본받아 그의 자녀들을 불사르고 또 산당과 작은 산 위와 모든 푸른 나무 아래에서 제사를 드리며 분향하니라.』하나님은 분노하시어 이방 나라를 동원하여 유다를 치게 하셨다. ( 열왕기 하15장 37절) 하나님은 죄 가운데 있는 유다를 쳐서 죄악을 깨닫게 하시고, 회개하여 돌이키기를 원하신 것이다. 그러나 유다의 아하스 왕은 돌이키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북 이스라엘과 알람의 공격을 허용하신 것이다. 백성들은 이들의 공격에 심히 떨었다고 한다. 이번에는 하나님께서 반드시 유다를 지켜주실 것을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서 말씀하시면서 징조(표적)를 구하라고 했다. 이사야 7장 14절『그러므로 주께서 친히 징조를 너희에게 주실 것이라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이사야는 이 말 속에 있는 하나님의 뜻을 전한다. 유다는 여자를 상징한다. 유다는 온갖 우상숭배에 찌든 나라였기에 하나님이 새롭게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