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구약성경 인용) 마태복음 26장 39-40절『조금 나아가사 얼굴을 땅에 대시고 엎드려 기도하여 이르시되 내 아버지여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포테리온)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 제자들에게 오사 그 자는 것을 보시고 베드로에게 말씀하시되 너희가 나와 함께 한 시간도 이렇게 깨어 있을 수 없더냐』 포테리온은 마시다 라는 피노에서 유래되었으며, 마시는 그릇, 잔, 상징적으로 죽음, 숙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 잔이 지나간다는 것은 죽음이 지나간다는 것으로서, 십자가의 사역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말씀이다. 예수님의 정체성은 육으로는 마리아로부터 온 죄의 몸을 가지고, 영으로는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이다. 예수님의 정체성은 육적 자아와 하나님 아들이라는 영적 자아가 부딪힌다. 예수님은 십자가의 죽음 이후에 부활이 있음을 알고 있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십자가에서 죽고 삼일 만에 부활할 것을 여러 차례 말씀하신 바 있다. 그럼에도 육적 자아 예수는 영적 하나님의 아들 예수에게 탄식하며 불만을 드러낸다. 그냥 쓴물이 단물이 되게 할 수 없는가라고 말하는 것이다. 출애굽기 15장 22-25절에서 백성들이 모세에게 원망하는 목소리인 것이다. 『모세가 홍해에서 이스라엘을 인도하매 그들이 나와서 수르 광야로 들어가서 거기서 사흘길을 걸었으나 물을 얻지 못하고 마라에 이르렀더니 그 곳 물이 써서 마시지 못하겠으므로 그 이름을 마라라 하였더라 백성이 모세에게 원망하여 이르되 우리가 무엇을 마실까 하매 모세가 여호와께 부르짖었더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한 나무를 가리키시니 그가 물에 던지니 물이 달게 되었더라 거기서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법도와 율례를 정하시고 그들을 시험하실새』 여기에서 한 나무가 등장한다. 쓴물은 죄인을 상징하며, 죄인을 대속해야 하는 예수님의 모습이다. 쓴물에 나무를 던지는 것은 십자가의 죽음을 상징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세에게 불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