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구약성경 인용) 마태복음 26장 39-40절『조금 나아가사 얼굴을 땅에 대시고 엎드려 기도하여 이르시되 내 아버지여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포테리온)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 제자들에게 오사 그 자는 것을 보시고 베드로에게 말씀하시되 너희가 나와 함께 한 시간도 이렇게 깨어 있을 수 없더냐』 포테리온은 마시다 라는 피노에서 유래되었으며, 마시는 그릇, 잔, 상징적으로 죽음, 숙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 잔이 지나간다는 것은 죽음이 지나간다는 것으로서, 십자가의 사역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말씀이다. 예수님의 정체성은 육으로는 마리아로부터 온 죄의 몸을 가지고, 영으로는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이다. 예수님의 정체성은 육적 자아와 하나님 아들이라는 영적 자아가 부딪힌다. 예수님은 십자가의 죽음 이후에 부활이 있음을 알고 있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십자가에서 죽고 삼일 만에 부활할 것을 여러 차례 말씀하신 바 있다. 그럼에도 육적 자아 예수는 영적 하나님의 아들 예수에게 탄식하며 불만을 드러낸다. 그냥 쓴물이 단물이 되게 할 수 없는가라고 말하는 것이다. 출애굽기 15장 22-25절에서 백성들이 모세에게 원망하는 목소리인 것이다. 『모세가 홍해에서 이스라엘을 인도하매 그들이 나와서 수르 광야로 들어가서 거기서 사흘길을 걸었으나 물을 얻지 못하고 마라에 이르렀더니 그 곳 물이 써서 마시지 못하겠으므로 그 이름을 마라라 하였더라 백성이 모세에게 원망하여 이르되 우리가 무엇을 마실까 하매 모세가 여호와께 부르짖었더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한 나무를 가리키시니 그가 물에 던지니 물이 달게 되었더라 거기서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법도와 율례를 정하시고 그들을 시험하실새』 여기에서 한 나무가 등장한다. 쓴물은 죄인을 상징하며, 죄인을 대속해야 하는 예수님의 모습이다. 쓴물에 나무를 던지는 것은 십자가의 죽음을 상징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세에게 불평을...

내가 목자를 치리니 양의 떼가 흩어지리라 하였느니라

  내가 목자를 치리니 양의 떼가 흩어지리라 하였느니라 (구약인용) 마태복음 26장 31-32절『그 때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오늘 밤에 너희가 다 나를 버리리라 기록된 바 내가 목자를 치리니 양의 떼가 흩어지리라 하였느니라 그러나 내가 살아난 후에 너희보다 먼저 갈릴리로 가리라』 스가랴 13장 7-9절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칼아 깨어서 내 목자, 내 짝 된 자를 치라 목자를 치면 양이 흩어지려니와 작은 자들 위에는 내가 내 손을 드리우리라 여호와가 말하노라 이 온 땅에서 삼분의 이는 멸망하고 삼분의 일은 거기 남으리니 내가 그 삼분의 일을 불 가운데에 던져 은 같이 연단하며 금 같이 시험할 것이라 그들이 내 이름을 부르리니 내가 들을 것이며 나는 말하기를 이는 내 백성이라 할 것이요 그들은 말하기를 여호와는 내 하나님이시라 하리라』 하나님이 목자를 친다는 것에 대해서, 하나님이 우상숭배에 빠진 이스라엘을 이민족을 통해서 치므로, 성전은 불타고 백성들은 뿔뿔히 흩어지고, 끌려가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시는 모습과 같은 것이다. 목자되시는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시는 것은 하나님이 죄와 우상에 빠진 인간들을 심판하시는 모습이다. 그래서 제자들도 뿔뿔히 흩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제자들은 예수님을 버리지 않겠다고 결의를 다짐하고 심지어 베드로는 다른 제자들은 예수님을 버릴지라도 자신은 목숨을 걸고 지키겠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예수님의 예언처럼 베드로는 닭이 울기 전에 예수를 세번 부인했다. 하나님이 목자를 치면 양들은 도망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려주신다. 『그러나 내가 살아난 후에 너희보다 먼저 갈릴리로 가리라』예수님이 부활하신 후에 모인 제자들은 열두 제자 외에 오백여명의 제자가 있었다. 예수님이 부활 승천하실 때 이 같은 적은 수의 제자들만 승천을 목격했다. 그러므로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실 당시에는 그보다 더 많은 수가 예수의 표적을 통해서 예수를 따랐던 것이다. 스가랴서를 보면, 하나님이...

내 아버지의 나라에서 새것으로 너희와 함께 마시는 날

  내 아버지의 나라에서 새것으로 너희와 함께 마시는 날  (구약성경 인용) 마태복음 26장 27-29절『 또 잔을 가지사 감사 기도 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그러나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이제부터 내 아버지의 나라에서 새것으로 너희와 함께 마시는 날까지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성만찬에서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포도주가 든 잔을 돌리며, 죄를 대속하는 언약의 피라고 했다. 그리고 다음 날 예수님은 실제로 언약에 따라 십자가에서 죽고 피를 흘리고 죽으셨다. 예수님이 대속을 위해 죽으신 것은 죄의 몸인 옛사람의 죽음이다. 모든 사람의 심령에는 옛사람이 있으며, 이 옛사람이 죽어야만 구원받는다. 옛사람 속에는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탐욕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이제부터 내 아버지의 나라에서 새것으로 너희와 함께 마시는 날까지 마시지 아니하리라 라고 말씀하셨다. 포도나무는 율법 아래 있는 이스라엘을 상징한다. 이사야 5장 1-5절『나는 내가 사랑하는 자를 위하여 노래하되 내가 사랑하는 자의 포도원을 노래하리라 내가 사랑하는 자에게 포도원이 있음이여 심히 기름진 산에로다 땅을 파서 돌을 제하고 극상품 포도나무를 심었도다 그 중에 망대를 세웠고 또 그 안에 술틀을 팠도다 좋은 포도 맺기를 바랐더니 들포도를 맺었도다 예루살렘 주민과 유다 사람들아 구하노니 이제 나와 내 포도원 사이에서 사리를 판단하라 내가 내 포도원을 위하여 행한 것 외에 무엇을 더할 것이 있으랴 내가 좋은 포도 맺기를 기다렸거늘 들포도를 맺음은 어찌 됨인고 이제 내가 내 포도원에 어떻게 행할지를 너희에게 이르리라 내가 그 울타리를 걷어 먹힘을 당하게 하며 그 담을 헐어 짓밟히게 할 것이요』 죄 아래 있는 포도나무에서 난 것은 신 포도주가 되는 것이다. 예수님은 죽음이 임박했을 때, 마지막에 신 포도주를 마셔야만 했다. 마태복...

어린 아기와 젖먹이들의 입에서 나오는 찬미를 온전하게 하셨나이다 함을 너희가 읽어 본 일이 없느냐

  어린 아기와 젖먹이들의 입에서 나오는 찬미를 온전하게 하셨나이다 함을 너희가 읽어 본 일이 없느냐 (구약인용) 마태복음 21장 14-17절『맹인과 저는 자들이 성전에서 예수께 나아오매 고쳐주시니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께서 하시는 이상한 일과 또 성전에서 소리 질러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하는 어린이들을 보고 노하여 예수께 말하되 그들이 하는 말을 듣느냐 예수께서 이르시되 그렇다 어린 아기와 젖먹이들의 입에서 나오는 찬미를 온전하게 하셨나이다 함을 너희가 읽어 본 일이 없느냐 하시고 그들을 떠나 성 밖으로 베다니에 가서 거기서 유하시니라』 예수님이 맹인과 다리저는 사람을 고쳐주셨고 어린이들이 예수님을 보고 호산나하고 소리를 질렀다. 이는 메시야가 세상에 오셔서 하나님의 아들임을 나타내는 장면이다. 그런데,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은 오히려 역정을 내며 예수께 무슨 이런 일이 다 있느냐 라고 빈정거리는 것이다.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은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자처하면서 높은 지위에 있으므로 예수님을 하찮게 생각하는 것이다. 그들은 스스로 하나님처럼 행동하는 것이다. 상황을 보면 예수님이 분명히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인데, 그들은 오히려 예수를 넘어지게 하려고 애를 쓰는 것이다. 무엇이 이렇게 만드는가? 이것은 마음 속에 육적 자아 즉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탐욕이 있기 때문이다. 시편 8편 2절 『주의 대적으로 말미암아 어린 아이들과 젖먹이들의 입으로 권능을 세우심이여 이는 원수들과 보복자들을 잠잠하게 하려 하심이니이다.』주의 대적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를 의미한다. 다윗은 그동안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가 누구인지 몰랐으나, 영적으로 깨닫고 보니, 다름 아닌 자기 자신이었다는 것이다. 육적 자기 자신이 바로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탐욕의 마음을 가진 자라는 것이다. 어린아이와 젖먹는 자는 영적으로 미숙한 자를 상징하며, 바로 다윗 자신임을 고백한다. 그러나 이제 자기 자신을 돌이켜 회개하고 보니, 그동안 영적 어린아이 같은 자였지만, 그...

내가 그의 아들 중에서 한 왕을 보았느니라

  내가 그의 아들 중에서 한 왕을 보았느니라(삼상 16:1-23) 1.여호와께서 사무엘에게 이르시되 내가 이미 사울을 버려 이스라엘 왕이 되지 못하게 하였거늘 네가 그를 위하여 언제까지 슬퍼하겠느냐 너는 뿔(케렘)에 기름을 채워 가지고 가라 내가 너를 베들레헴 사람 이새(이샤이)에게로 보내리니 이는 내가 그의 아들 중에서 한 왕(멜락)을 보았느니라(라아) 하시는지라 사울에게는 기름병을 가져다가 머리에 부었는데, 여기에는 뿔에 기름을 채워서 가지고 가라는 것이다. 케렘은 양의 뿔이다. 뿔은 왕권을 상징한다. 뿔을 사용하는 경우는 좋은 일을 암시하고, 기름병을 사용할 때는 나쁜 일이 다가온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래서 사무엘 상은 사울과 다윗을 비교한다. 사울은 온전한 왕이 아니라는 것과 다윗이 하나님이 보기에 합당한 왕이라는 것이다. 뿔에 대한 찬양은 결국 다윗과 그의 후손인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찬양으로 이어지게 된다. 사무엘상 2장 10절『 여호와를 대적하는 자는 산산이 깨어질 것이라 하늘에서 우레로 그들을 치시리로다 여호와께서 땅 끝까지 심판을 내리시고 자기 왕에게 힘을 주시며 자기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마시아)의 뿔을 높이시리로다 하니라』히브리어 마시아는 메시야를 의미한다. 헬라어로는 그리스도이다. 그리스도를 통한 심판과 구원을 나타낸다. 심판은 십자가의 죽음이지만, 구원은 부활인 것이다. 하나님 나라는 바로 하나님이 다스리는 나라가 되는 것이다. 베들레헴은 떡집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샤이는 여호와께서 살아계시다 라는 의미다. 이사야 11장 1절에서『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메시야의 탄생을 예언하는 귀절이다. 라아는 기본어근은 보다, 문자적으로나 상징적으로(직접적으로나 함축적으로 자동사, 타동사 그리고 사역동사로 다양하게 적용됨)숙고하다, 나타나다, 증명되다, 확실히, 고려하다, 분별하다, 즐기다(-게 하다), 경험하다, 주시하다, 주의를 기울이다 등의 의미를 갖는다. 멜렉은 왕인데, 사울은 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