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예수의 일꾼

(로마서 15장 14-21절) 내 형제들아 너희가 스스로 선함이 가득하고 모든 지식이 차서 능히 서로 권하는 자임을 나도 확신하노라 그러나 내가 너희로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혜로 말미암아 더욱 담대히 대략 너희에게 썼노니 이 은혜는 곧 나로 이방인을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의 일꾼이 되어 하나님의 복음의 제사장 직분을 하게 하사 이방인을 제물로 드리는 것이 성령 안에서 거룩하게 되어 받으실 만하게 하려 하심이라 그러므로 내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일에 대하여 자랑하는 것이 있거니와 그리스도께서 이방인들을 순종하게 하기 위하여 나를 통하여 역사하신 것 외에는 내가 감히 말하지 아니하노라 그 일은 말과 행위로 표적과 기사의 능력으로 성령의 능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으로부터 두루 행하여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편만하게 전하였노라 또 내가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곳에는 복음을 전하지 않기를 힘썼노니 이는 남의 터 위에 건축하지 아니하려 함이라 기록된 바 주의 소식을 받지 못한 자들이 볼 것이요 듣지 못한 자들이 깨달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는 총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11장이 복음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고, 12장에서 마지막 장까지는 복음으로 의롭게 된 그리스도인이 삶의 현장에서 어떻게 살아야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이 직접 세우지 않은 로마교회 성도들을 향해 애정 어린 심정으로 내 형제들이라고 부르고 있다. 바울이 다정다감하게 부르고 있는 로마교회 성도들이 어떠한지 증거한다. 『내 형제들아 너희가 스스로 선함이 가득하고 모든 지식이 차서 능히 서로 권하는 자임을 나도 확신하노라』여기서『스스로 선함이 가득하다』는 말은『성령 안에서 선한 마음이』충만하고, 『모든 지식이 찼다』는 말은 하나님 말씀에 대해서도 잘 알고, 세상적으로도 지식이 풍부하다는 것이다.『서로 권하는 자』라는 의미는 약한 자와 강한 자, 즉 유대인과 이방인 신자들이 서로 권면할 수 있는 관계로 살아가고 있다는 의미다....

열방들아 주의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라

(로마서 15장 1-13절) 믿음이 강한 우리는 마땅히 믿음이 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 그리스도께서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나니 기록된 바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위로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너희도 서로 받으라 내가 말하노니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진실하심을 위하여 할례의 추종자가 되셨으니 이는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들을 견고하게 하시고 이방인들도 그 긍휼하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심이라 기록된 바 그러므로 내가 열방 중에서 주께 감사하고 주의 이름을 찬송하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또 이르되 열방들아 주의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라 하였으며 또 모든 열방들아 주를 찬양하며 모든 백성들아 그를 찬송하라 하였으며 또 이사야가 이르되 이새의 뿌리 곧 열방을 다스리기 위하여 일어나시는 이가 있으리니 열방이 그에게 소망을 두리라 하였느니라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본문을 읽어보면, 강한 믿음의 소유자가 약한 믿음의 소유자의 약점을 담당해야 한다는 권면으로 읽기 쉽다. 그러면 강한 믿음의 소유자는 어떤 약점도 없고, 약한 믿음의 소유자는 대단히 문제가 있는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 그리고 신앙생활의 궁극적인 목표가 강한 믿음으로 여기게 될 수 있다. 믿음은 하나님의 선물이지만 그 믿음을 바라보는 성도들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강하게 또는 약하게 반응할 뿐, 믿음 자체는 변하지 ...

오직 성령 안에 있는 의와 평강과 희락이라

(로마서 14장 13-23절) 그런즉 우리가 다시는 서로 비판하지 말고 도리어 부딪칠 것이나 거칠 것을 형제 앞에 두지 아니하도록 주의하라 내가 주 예수 안에서 알고 확신하노니 무엇이든지 스스로 속된 것이 없으되 다만 속되게 여기는 그 사람에게는 속되니라 만일 음식으로 말미암아 네 형제가 근심하게 되면 이는 네가 사랑으로 행하지 아니함이라 그리스도께서 대신하여 죽으신 형제를 네 음식으로 망하게 하지 말라 그러므로 너희의 선한 것이 비방을 받지 않게 하라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 안에 있는 의와 평강과 희락이라 이로써 그리스도를 섬기는 자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며 사람에게도 칭찬을 받느니라 그러므로 우리가 화평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을 힘쓰나니 음식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업을 무너지게 하지 말라 만물이 다 깨끗하되 거리낌으로 먹는 사람에게는 악한 것이라 고기도 먹지 아니하고 포도주도 마시지 아니하고 무엇이든지 네 형제로 거리끼게 하는 일을 아니함이 아름다우니라 네게 있는 믿음을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 가지고 있으라 자기가 옳다 하는 바로 자기를 정죄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의심하고 먹는 자는 정죄되었나니 이는 믿음을 따라 하지 아니하였기 때문이라 믿음을 따라 하지 아니하는 것은 다 죄니라  기독교인들만큼 사랑과 은혜라는 단어를 많이 말하는 사람들은 없다. 기독교의 핵심이기 때문에 그렇다. 세상에 수많은 종교들 중에 단연 기독교만큼 사랑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종교가 없고, 예수님만큼 사랑을 분명하게 가르쳐준 분이 없다. 우리는 그 사랑으로 거듭났고, 그 사랑으로 의롭다함을 얻었으며, 그 사랑을 목적으로 삼고 그 사랑을 힘입어 하나님을 사랑하고, 자기자신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고, 원수를 사랑하고, 나라를 사랑하도록 부름 받았다. 그런데 정작 현실에서는 도리어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분열이 일어날 때가 많다. 더욱 무서운 것은 그 분열이 하나님의 뜻이라는 이름으로, 성경말씀이라는 잣대로 타인의 의견을 판단하고 비교하...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로마서 14장 1-12절)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 그의 의견을 비판하지 말라 어떤 사람은 모든 것을 먹을 만한 믿음이 있고 믿음이 연약한 자는 채소만 먹느니라 먹는 자는 먹지 않는 자를 업신여기지 말고 먹지 않는 자는 먹는 자를 비판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이 그를 받으셨음이라 남의 하인을 비판하는 너는 누구냐 그가 서 있는 것이나 넘어지는 것이 자기 주인에게 있으매 그가 세움을 받으리니 이는 그를 세우시는 권능이 주께 있음이라 어떤 사람은 이 날을 저 날보다 낫게 여기고 어떤 사람은 모든 날을 같게 여기나니 각각 자기 마음으로 확정할지니라 날을 중히 여기는 자도 주를 위하여 중히 여기고 먹는 자도 주를 위하여 먹으니 이는 하나님께 감사함이요 먹지 않는 자도 주를 위하여 먹지 아니하며 하나님께 감사하느니라 우리 중에 누구든지 자기를 위하여 사는 자가 없고 자기를 위하여 죽는 자도 없도다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다 이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셨으니 곧 죽은 자와 산 자의 주가 되려 하심이라 네가 어찌하여 네 형제를 비판하느냐 어찌하여 네 형제를 업신여기느냐 우리가 다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리라 기록되었으되 주께서 이르시되 내가 살았노니 모든 무릎이 내게 꿇을 것이요 모든 혀가 하나님께 자백하리라 하였느니라 이러므로 우리 각 사람이 자기 일을 하나님께 직고하리라 믿음은 하늘로부터 오는 믿음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여기에서 믿음은 하늘로부터 오는 믿음에 대한 각자 신도들에게 나타나는 반응을 의미한다. 사람마다 믿음의 반응 정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서로 차이가 있어 믿음에 대한 논의와 권고는 할 수 있을지라도, 진리의 말씀이 변궤되지 않는다면 그 차이에 대해서 비판하지 말라는 것이다.  성도들은 많은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면서 다양한 갈등을 겪는다. 그 갈등의 원인들은 대부분 사람들이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배워서 아는...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

(로마서 13장 8-14절) 피차 사랑의 빚 외에는 아무에게든지 아무 빚도 지지 말라 남을 사랑하는 자는 율법을 다 이루었느니라 간음하지 말라, 살인하지 말라, 도둑질하지 말라, 탐내지 말라 한 것과 그 외에 다른 계명이 있을지라도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신 그 말씀 가운데 다 들었느니라 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 또한 너희가 이 시기를 알거니와 자다가 깰 때가 벌써 되었으니 이는 이제 우리의 구원이 처음 믿을 때보다 가까웠음이라 밤이 깊고 낮이 가까웠으니 그러므로 우리가 어둠의 일을 벗고 빛의 갑옷을 입자 낮에와 같이 단정히 행하고 방탕하거나 술 취하지 말며 음란하거나 호색하지 말며 다투거나 시기하지 말고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  인생은 누구도 예외 없이 본질적으로, 전적으로, 철저하게 부패한 존재가 맞다. 포장이 그럴듯하고, 속임에 능한 것뿐이지, 인간 마음의 어두움과 더러움, 그 추악함을 말로는 아무리 잘 표현한다 하여도 잘 나타낼 수도 없을 지경이다. 인생이 얼마나 영적으로 눈이 멀었고, 죄와 허물로 죽은 상태인지 자신을 선하게 할 능력도, 스스로 하나님께 돌아올 능력도 전혀 없다. 무력과 무능 그 자체이며 인생 스스로에게는 결코 소망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조금이라도 양심이 있는 인생들은 고통스러운 갈등으로 아우성 칠 뿐이다.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것이 로마서의 선언이다. 시편 51편 5절에서도 『내가 죄악 중에서 출생하였음이여 어머니가 죄 중에서 나를 잉태하였나이다』 이 다윗의 고백이 로마서의 고백인 것이다.  로마서 2장 10-16절에서 『선을 행하는 각 사람에게는 영광과 존귀와 평강이 있으리니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라 이는 하나님께서 외모로 사람을 취하지 아니하심이라 무릇 율법 없이 범죄한 자는 또한 율법 없이 망하고 무릇 율법이 있고 범죄한 자는 율법으로 말미암아 심판을 받으리라 하나님 ...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

(로마서 13장 1-7절)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 권세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지 않음이 없나니 모든 권세는 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바라 그러므로 권세를 거스르는 자는 하나님의 명을 거스름이니 거스르는 자들은 심판을 자취하리라 다스리는 자들은 선한 일에 대하여 두려움이 되지 않고 악한 일에 대하여 되나니 네가 권세를 두려워하지 아니하려느냐 선을 행하라 그리하면 그에게 칭찬을 받으리라 그는 하나님의 사역자가 되어 네게 선을 베푸는 자니라 그러나 네가 악을 행하거든 두려워하라 그가 공연히 칼을 가지지 아니하였으니 곧 하나님의 사역자가 되어 악을 행하는 자에게 진노하심을 따라 보응하는 자니라 그러므로 복종하지 아니할 수 없으니 진노 때문에 할 것이 아니라 양심을 따라 할 것이라 너희가 조세를 바치는 것도 이로 말미암음이라 그들이 하나님의 일꾼이 되어 바로 이 일에 항상 힘쓰느니라 모든 자에게 줄 것을 주되 조세를 받을 자에게 조세를 바치고 관세를 받을 자에게 관세를 바치고 두려워할 자를 두려워하며 존경할 자를 존경하라 11장까지는 복음의 내용, 즉 성도가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는가 하는 교리적인 문제를 말씀하고, 12장부터는 구원받은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살 것인가, 즉 그리스도인의 윤리적인 삶의 문제를 다루었다. 그리스도인의 삶의 문제를 다루면서 대원칙이 있는데,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삶의 영역 중 네 가지 기본적인 관계, 즉 하나님과의 관계, 우리 자신과의 관계, 서로와의 관계, 원수와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설명했다. 하나님을 사랑해야 하고, 자기를 부인하고, 이웃을 사랑하고, 원수를 사랑해야 하는데, 어떻게 그들을 사랑할 수 있는가?  육의 마음으로는 불가능하다. 다만 육의 마음을 부인하고 영의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13장에서 바울은 더하여 세 가지 관계 즉 국가와의 관계, 율법과의 관계, 주의 재림의 날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국가와의 관계에 대해서 바울은 먼저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명령을 말한다.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로마서 12장 9-21절) 사랑에는 거짓이 없나니 악을 미워하고 선에 속하라 형제를 사랑하여 서로 우애하고 존경하기를 서로 먼저 하며 부지런하여 게으르지 말고 열심을 품고 주를 섬기라 소망 중에 즐거워하며 환난 중에 참으며 기도에 항상 힘쓰며 성도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축복하라 축복하고 저주하지 말라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 높은 데 마음을 두지 말고 도리어 낮은 데 처하며 스스로 지혜 있는 체 하지 말라 아무에게도 악을 악으로 갚지 말고 모든 사람 앞에서 선한 일을 도모하라 할 수 있거든 너희로서는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목하라 내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가 친히 원수를 갚지 말고 하나님의 진노하심에 맡기라 기록되었으되 원수 갚는 것이 내게 있으니 내가 갚으리라고 주께서 말씀하시니라 네 원수가 주리거든 먹이고 목마르거든 마시게 하라 그리함으로 네가 숯불을 그 머리에 쌓아 놓으리라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사랑에는 거짓이 없나니 악을 미워하고 선에 속하라』사랑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다. 즉 옛사람은 죽고, 영의 몸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육적 몸이 죽기 전에는 그 속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리스도 밖에 있는 자는 하나님의 사랑을 알지못한다. 바울은 기독교 공동체에서의 관계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형제를 사랑하여 서로 우애하고 존경하기를 서로 먼저 하며 부지런하여 게으르지 말고 열심을 품고 주를 섬기라 소망 중에 즐거워하며 환난 중에 참으며 기도에 항상 힘쓰며 성도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 바울은 유대인과 이방인들로 구성된 로마교회 교인들에게 서로 사랑하되 형제자매처럼 그리고 가족처럼 사랑(서로 우애하고)할 것을 권면했다. 유대인과 이방인들로 구성된 로마교회 교인들에게 사랑하되 가족처럼 친형제 자매처럼 사랑하라고 한다. 영적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육으로는 할 수 없지만, 영으로서는 할 수 있...